• 제목/요약/키워드: lead acetate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4초

생쥐 근위세뇨관에서 납에 의한 신장 독성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Renal Toxicity Induced by Lead Acetate in Proximal Tubules of the Mice)

  • 김종세;이유현;이준행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3호
    • /
    • pp.185-19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납중독에 의한 신장 기능 손상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ICR계 건강한 생쥐를 사용하여 납과 스쿠알렌을 복강 투여한 후, NO와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 설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 1은 정상군, 실험군 2는 납 (30 mg/kg)만 처치한 군, 실험군 3은 납을 처치하고 스쿠알렌 (180 mg/kg)도 함께 처치한 군으로 각 실험군 당 생쥐 10마리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 2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신장, 사립체내막의 파괴, 소포체에서 리보소옴의 탈락이 24, 48시간동안 관찰되었고, 72시간부터 서서히 회복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군 3의 경우 실험군 2에 비해 손상 정도가 덜 하였으며, 48시간 이후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NO의 경우 실험군 2에서는 NO 수치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실험군 3의 경우 정상군보다 NO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납에 의한 NO 수치 감소에 대해 회복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스쿠알렌이 신장 근위세뇨관에 미치는 납 독성을 감소시키면서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ormation of Soluble Intermediate During the Electrochemical Crystallization of Lead Dioxide

  • Hwang, Eui-Jin;Kim, Ha-Suc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5호
    • /
    • pp.390-393
    • /
    • 1994
  • Details on the electrochemical formation of lead dioxide from aqueous plumbous ion are studied by measuring current-time behavior with potential step method at a rotating platinum electrode. A cubic law without induction period can be applied to the crystallization of lead dioxide in both acetate and nitrate media. In the course of the mechanistic study, the presence of a soluble intermediate during the nucleation step is clearly observed with a rotating ring-disk electrode. Decrease in the anodic ring current due to the reduction of soluble species formed during the anodic crystallization of lead dioxide at disk is detected.

녹차가 납 중독된 흰쥐의 간장에 미치는 형태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Green-Tea in Rat Liver Toxicated by Lead)

  • 정경아;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65-172
    • /
    • 2000
  • 흰쥐의 간장에서 납 독성에 대한 녹차의 방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50g 내외의 흰쥐를 대조군, 납 단독 투여군, 납-녹차투여군으로 나누어 4주, 8주간 lead acetate (500 ppm)를 1주에 2번씩 복강 투여하였고, 녹차침수액 (3g of tea/100 ml of water)은 식수로 공급하였다. A-1군은 사립체와 rER의 수조가 팽대되고, 유리 리보솜의 수가 증가되었다. 다수의 리소좀이 관찰되었다. A-2군은 사립체가 팽대되었고, 리소좀이 관찰되고 핵은 정상으로 나타딘다. B-1군은 rER의 수조가 심하게 팽대, 감소되었고 다수의 리소좀이 관찰되었다. 사립체의 수는 감소하고 사립체능이 손실, 절단되고 모양은 변형되었다. 핵이 약간 함입되어 불규칙하였다. B-2군은 B-l군보다 rER과 사립체의 수가 증가하고, 핵은 정상으로 관찰되었다.

  • PDF

생식의 섭취가 납중독 흰쥐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rotective Effect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Lead Induced Toxicity in Rats)

  • 오영주;김재민;송시환;하효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59-967
    • /
    • 2005
  • 생식 제품이 납중독 흰쥐의 피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2mg의 납을 매일 1회 쥐에게 경구 투여하면서 생식제품이 $12.5\%,\;25\%,\;50\%$ 함유된 식이로 6주간 사육 후 체중 증가율 및 사료 효율, 혈액학적 검사, 간 조직의 과산화지질함량, SOD활성, GSH 함량과 간 및 신장 조직내 납 함량을 측정하였다. 체중 증가율과 사료 효율은 납 투여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생식의 급여는 체중과 식이효율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2.5\%$ 생식 섭취군에서는 식이 효율이 납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납에 의한 혈액학적 독성 증상으로 납 단독 투여군에서는 RBC를 제외한 HGB, HCT, MCV, MCH, RDW에서 유의적인 손상이 나타났으며(p<0.05), HCT의 경우 $50\%$ 생식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MCV, MCH, RDW의 경우 $25\%$$50\%$ 생식 급여 시 납에 의한 손상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HGB의 경우 생식 농도에 따른 수치 증가는 관찰되었지만 유의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납 투여로 간조직 의 과산화지 질 생성이 다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12.5\%$$50\%$ 생식 섭취군에서 과산화지질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타나났다(p<0.05). 그러나 납 투여에 따른 SOD활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생식은 SOD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납 단독 투여는 항산화 및 해독 작용 관련 물질인 GSH 수준을 유의적(p<0.05)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에 반해 생식의 섭취는 증가된 GSH의 함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생식은 간과 신장 조직에서의 납 축적을 억제시켜 간 조직의 경우 $25\%$$50\%$ 생식군에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었고, 신장 조직에서는 $25\%$ 생식군에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생식의 섭취는 납중독으로 발생되는 혈액학적 및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켜 주고, 조직에서의 납축적을 억제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나 생식은 납중독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켜줄 수 있는 해독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생식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 일환으로 동물실험 수준에서 평가된 연구로서 인체에 적용하기는 아직 무리가 있으며, 향후 용량 설정에 대한 연구 및 임상단계에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고, 이와 함께 후속 연구를 통한 생식의 납 해독 기전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랫드의 조직 mitochondria 활성에 대한 납 투여의 영향 (Effect of lead on mitochondrial activity in rat tussues)

  • 조종후;권오덕;이주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65-570
    • /
    • 1996
  • Cardiac, hepatic and renal mitochondria in rats fed lead containing diets were isolated and their activities were studied in terms of NADH oxidation. In normal rats, cardiac and renal mitochondria had similar activities and showed activity values of higher than those in hepatic mitochondria. Cardiac mitochondiral activities in rats fed lead containing diets were increased after 4 weeks of feeding but decreased to activity values close to normal. Renal mitochondrial activities showed a trend of inhibition in all groups fed lead containing diets but were no differenes by feeding periods of 4 and 8 weeks. Feeding of lead containing diets could not be attributed to any changes in the hepatic mitochondrial antivities at experimental doses during 4~8 weeks.

  • PDF

야관문(Lespedeza Caneata) Ethanol 추출물이 납 투여한 생쥐의 간장과 콩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spedeza Caneata ethanol extract on the Liver, Kidneys of Lead administered Mice)

  • 정경아;정민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07-214
    • /
    • 2016
  • 본 연구는 야관문 추출물이 납 투여된 생쥐의 간장과 콩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조군(Nor), 납 단독투여 4주군 (Pb 4W), 납 단독투여 8주군 (Pb 8W), 납-야관문 복합투여 4주군(Pb-LC 4W), 납-야관문 복합투여 8주군(Pb-LC 8W)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대조군은 1차 증류수를, 납 단독투여군은 lead acetate를 증류수에 1000ppm으로 용해하여 식수로 공급하였다. 납-야관문 복합투여군은 납을 식수로 공급하면서 야관문을 500 mg/kg 농도로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혈액의 AST, ALT, BUN 효소활성과 간장, 콩팥의 조직학적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ST, ALT, BUN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의 납 단독투여군 보다 납-야관문 복합투여군에서 수치가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결과는 간장과 콩팥에서 Pb 4W군은 일부가 변형되었고 Pb 8W군은 대부분에서 괴사와 변형이 일어났고 Pb-LC 4W군과 Pb-LC 8W군은 Pb 4W군과 Pb 8W군 비해 변형이 완화되었다. 같은 기간의 납 단독투여군 보다 납-야관문 복합투여군에서 조직 변화가 완화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야관문 추출물이 납 투여한 생쥐의 간장과 콩팥의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납으로 유발된 흰쥐 신장 독성에 대한 키토산의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Rat Nephrotoxicity Induced by Lead)

  • 김영호;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05-2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납 중독된 쥐의 신장에서 키토산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납(30 mg/kg)은 1주 2회 복강투여하고, 0.1% 키토산(1 mg/ml) 수용액은 음용수를 통해 자유자재로 공급하였다. 실험 후, 4주, 8주째에 각각의 신장을 적출해서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Group 1은 납 중독 후 키토산용액을 처치하지 않은 군, Group 2는 납 중독 후 키토산용액을 처치한 군으로 각 군당 10마리의 쥐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납 단독투여군의 경우 세뇨관 세포에서 미세융모의 소실이 나타났으며 용해소체가 증가되었다. 사립체 및 과립형질내세망 수조 내강의 팽대와 과립형질내세망으로부터 리보솜의 탈락이 관찰되었다. 납-키토산 투여군의 경우 세뇨관 세포에서 미세융모의 변화는 없었으며 용해소체의 수가 감소되었다. 기다란 모양의 사립체와 리보솜이 부착된 과립형질내세망이 정상적인 상태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키토산이 쥐의 신장에 미치는 납의 독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APH를 이용한 아세트산비닐의 유화중합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 Using AAPH)

  • Kwak, Jin-Woo;Kim, Joon-Ho;Lyoo, Won-Seok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16
    • /
    • 2003
  • Vinyl acetate monomer can be polymerized through bulk, solution, emuls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However, in the preparation of PVA from bulk or solution polymerization, there are several technical limitations for obtaining high yield and high molecular weight simultaneously. Thus, the improvement of polymerization method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VA with high yield and high molecular weight because that the difficulty in control of high viscosity and in removal of the heat of polymerization, which might lead to side reactions like branching. (omitted)

  • PDF

납이온이 잔틴 옥시다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Ion on The Hepatic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Vitro)

  • 허근;신억섭;이상훈;안원효
    • 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21-527
    • /
    • 1995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ad acetate on the activities of the hepatic cytosofic xanthine oxidase and aldehyde oxidase which were well known as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 in vitro. Lead ion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and the increment of xanthine oxidase(type O) activity and the type conversion ratio from xanthine dehydrogenase to xanthine oxidase dose-dependently. But xanthine dehydrogenase(type D) activity was decreased. Aldehyde oxidase activity was not changed by lead ion. These data suggested that lead-induced cellular to)dcity may be concerned partially with xanthine oxidase mediated lipid peroxidation.

  • PDF

신경독성에 의한 Schwann 세포의 형태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f Schwann cells as neurotoxic responses)

  • 임병무;채현석;이오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1-804
    • /
    • 1994
  • 본 실험에서 초산납 투여로 인한 실험초기에 관찰할 수 있는 신경독성은 Schwann 세포의 종창이었다. 종창의 정도를 계측하기 위해 각 실험군 rat의 좌골신경을 횡단 조직표본으로 제작하여 Schwann세포의 두께와 핵의 장경을 측정 비교하였다. 즉 제1실험군은 30일간 0.5% 초산납이 함유된 음료수를 공급하였고 제2실험군은 제1군과 동일한 처리후 일반 실험실 조건에서 30일간 회복되게 하였으며 제3군은 대조군으로 정상 사육하였다. 초산납을 투여한 제1실험에서는 Schwann세포의 두께가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치를 보였는데, 제2실험군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chwann세포핵의 직경 역시 제1군이 대조군보다 증가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