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wood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초

Qualitativ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Wood, Lateral Wood, and Opposite Wood in a Stem of Ginkgo biloba L.

  • Purusatama, Byantara Darsan;Kim, Yun-Ki;Jeon, Woo Seok;Lee, Ju-Ah;Kim, Ah-Ran;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25-13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nd to compare the qualitative aspects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in compression wood (CW), lateral wood (LW), and opposite wood (OW) in a stem of Ginkgo biloba.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examined by op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W in Ginkgo biloba disks were dark brown in color, and the OW and LW were light brown in color. CW and OW showed abrupt transitions from earlywood to latewood, while LW showed a gradual transition. Cross sections of CW presented circular tracheids with angular outlines, many intercellular spaces, and varying sizes of lumens. Cross sections of LW and OW showed rectangular tracheids, fewer intercellular spaces, and varying sizes of lumens. In radial sections, CW showed an irregular arrangement of tracheids in earlywood, while LW and OW showed comparatively regular arrangements. Slit-like bordered pits on the tracheid cell wall, piceoid pits in the crossfield, and a few spiral checks were present in CW. LW and OW showed bordered pits with slightly oval-shaped apertures, as well as cuppresoid pits in the crossfields. Rays were primarily uniseriate, with few biseriate rays in the tangential sections of CW, LW, and OW. The tips of the tracheids were branched in CW but had a normal appearance in LW and OW.

1주기 수확을 끝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재래용 톱밥배지 분해의 현미경적 특징 (Microscopical Characteristics of Softwood Sawdusts Cultivated with Enokitake (Flammulina velutipes))

  • 이광호;김윤수;이성진;채정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2-107
    • /
    • 2001
  • 팽이버섯 1주기를 수확한 폐배지 톱밥을 버섯재배 용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팽이버섯을 재배한 침엽수재 의 톱밥을 현미경적 관찰을 통해 그 분해정도와 분해양태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팽이버섯 재배에 사용된 톱밥의 수종 식별도 실시하였다. 팽이버섯 재배용으로 사용된 톱밥의 수종은 대부분 소나무속 경송류로 식별되었고 극히 일부만 미송 (Douglas-fir)톱밥이 존재하였다. 팽이버섯 1주기를 수확한 폐배지 소나무 톱밥에는 균사에 노출된 부분과 방사조직에서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팽이버섯균의 공격을 받은 세 포벽은 박벽화현상과 침식현상을 보였으나, 이 같은 부후양태를 보인 세포벽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이상의 현미경 관찰결과 팽이버섯을 1주기 수확한 소나무 톱밥은 버섯재배용으로 재활용하기에 충분한 세포벽 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aulownia tomentosa Root Wood

  • Qi, Yue;Jang, Jaehyuk;Hidayat, Wahyu;Lee, Aehee;Park, Sehwi;Lee, Seunghwan;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57-165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several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aulownia tomentosa roots. The root wood was separated into three parts from stem base (top, middle, and base) at different positions below ground. Qualitative anatomical data suggested that the growth rings in earlywood and latewood were structurally different. Furthermore, the root wood vessels were found having 2 to 3 radial multiples and they were appeared in the form of clusters. In addition, some sheath cells and septate axial parenchyma were observed. Regarding the quantitative anatomical characteristics, vessel and ray numbers per $mm^2$, as well as ray width and height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op, middle, and base rood wood par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ssel diameters, cell wall thickness, and width and length of wood fibers among those parts. The crystallinity of the root top par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and base parts. Furthermore, the vessel numbers, ray numbers, and ray width and height in the near pith (NP) area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in the near bark (NB) area. However, the fiber width and fiber length at NP were lower than those at NB.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p, middle, and base parts of root wood from Paulownia tomentosa.

간벌강도에 따른 낙엽송의 휨 및 종압축강도성능 (Bending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Larix kaempferi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 정성호;원경록;홍남의;박병수;이경재;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85-392
    • /
    • 2014
  • 우리나라의 중요한 조림 수종 중에서 낙엽송을 대상으로 하여, 간벌실시에 따른 물리 역학적 성질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간벌 실시가 목재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과 양질재 생산 및 목재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벌정도에 따른 시료는 무간벌, 약도간벌, 강도간벌을 실시한 광릉시험림에서 벌채하여 사용하였다. 간벌 정도에 따른 평균 만재율은 무간벌 < 약도간벌 < 강도간벌의 경향이었고 평균 연륜폭은 무간벌 < 약도간벌 또는 강도간벌의 경향이었다. 간벌 정도에 따른 평균 휨강도는 무간벌 > 약도간벌 >강도간벌의 경향이었고 간벌 정도에 따른 평균 압축강도는 무간벌 > 약도간벌 >강도간벌의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낙엽송은 간벌에 의하여 휨 및 종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인위적(人爲的)인 결체(結締)에 의해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 수간(樹幹)의 종양재(腫瘍材)에 관한 조직특성(組織特性)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ous Wood Formed in a Stem of Robinia pseudoacacia L. by Artificial Fastening)

  • 엄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08-415
    • /
    • 1991
  • 수간(樹幹) 둘레를 철사(鐵絲)로 결체(結締)함에 따라 인위적(人爲的)인 피해(被害)를 받으므로써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종양재(腫瘍材)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하고 아울러 정상재(正常材)와의 그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실시(實施)하였다. 종양재(腫瘍材)는 일부(一部) 관공(管孔) 및 대부분(大部分)의 목섬유(木纖維)와 방사조직(放射組織)이 정상배열(正常配列)에서 이탈(離脫)된 불규칙적(不規則的)인 배열(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횡단면상(橫斷面上)의 관공(管孔)이 다소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신당(伸張)되어 있는 점, 선단(先端)이 굴곡(屈曲)된 목섬유(木纖維)가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방사조직(放射組織) 사이에서 가끔 관찰(觀察)되는 점, 방사조직(放射組織)의 폭(幅)과 높이가 더 큰 점,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목섬유(木纖維)가 서로 교착배열(交錯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추재부(秋材部)의 복합관공(複合管孔) 출현(出現) 빈도(頻度)가 더 큰 점, 젤라틴목섬유(木纖維)의 발달(發達)이 더 일반적(一般的)인 점 및 농색(濃色)의 검(gum)상물질(狀物質)이 국부적(局部的)으로 목섬유(木纖維), 방사조직(放射組織), 축방향유세포(軸方向柔細胞)의 내강(內腔)에 발달(發達)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정상재(正常材)와의 조직(組織)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 PDF

Soft X-ray분석(分析)에 의한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 자란 해송(Pinus thunbergii)의 연륜(年輪)의 특징(特徵) (Characteristics of Annual Rings of Pinus thunbergii Grown in the Air-polluted Area by Soft X-ray Analysis)

  • 김종갑;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51-359
    • /
    • 1991
  • Soft X-ray에 의한 연륜밀도해석법(年輪密度解析法)으로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 자란 해송(Pinus thunbergii) 성목(成木)의 연륜(年輪)에 대한 특징(特徵)을 알아본 결과, 연륜폭(年輪幅)과 대기밀도(最大密度), 최대밀도(最大密度)와 최소밀도(最小密度)의 차(差)(이하DD)는 공장이 가동된 이후 오염원(汚染源)의 주변지역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오염원(汚染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地域)에서 가장 뚜렷히 감소하고 있었고 추재율(秋材率)과 최소밀도(最小密度)는 오염(汚染)으로 인한 감소와 증가의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연륜폭(年輪幅) 및 최대밀도(最大密度), DD는 공장가동직후 5년동안보다도 5년이후부터 더욱 감소되고 있었으며 감소율(減少率) 역시 공장가동 5년이후 부터 증가되었고 연륜폭(年輪幅)의 감소율(減少率)이 가장 컸다. 이와같이 본조사를 통하여 본 해송의 연륜폭(年輪幅) 및 최대밀도(最大密度), DD는 오염으로 인한 생장저해(生長沮害)의 지표(指標)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 PDF

영국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he Daewoongjeon Hall of Youngguksa Temple)

  • 손병화;박원규;윤두형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38
    • /
    • 2006
  • During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the Daewoongjeon Hall of Youngguksa Templ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for both present wood elements and charred ones excavated under the Hall, were conducted. The species of 74 wood elements of Daewoongjeon Hall, were identified as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only 1 was identified as exotic Pinus species. The latter wood, which was used in the laths, seems to have been replaced during past repairs. Many documentary records and various artifacts pertaining to Youngguksa Temple are being excavated, but none described precisely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present Daewoongjeon Hall. Also, from beneath the Daewoongjeon Hall, cornerstone and foundation of previous building and several charred wood elements were excavated. In comparing the direction of the stone columns of foundation of the previous structure and the existing Daewoongjeon Hall, the previous structure was rotated in an angle of approximately $15^{\circ}$.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association of the previous structure with the present Daewoongjeon Hall, tree-ring dating was conducted. The dating of 41 original timbers and 14 roof-filling timbers of the present construction elements revealed that the last annual ring was of A. D. 1703 with complete latewood, indicating that those woods was cut some time between the autumn of 1703 and spring of 1704, and the building was erected in 1704 when we assume no period of wood storage. The year of the last annual ring of the charred elements, which were excavated from beneath the Daewoongjeon Hall, was analyzed as 1674. The cutting year of the woods used for the present building began in 1698,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hat the Daewoongjeon Hall before the fire was a structure that was elected shortly after 1674 and that a catastrophic fire occurred some time between 1674 and 1698.

  • PDF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理想材) 및 대응재(對應材)에 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Cellular Anatomy of Compression Wood and Opposite Wood in a Branch of Taxodium distichum Rich.)

  • 이필우;정연집;권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96-302
    • /
    • 1991
  • 본 연구(硏究)는 압축이상재가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는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의 기재(技材)로부터 압축이상재율과 편심율 변이에 따른 압축이상재와 대응재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고자 실시하였다. 압축이상재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가도관의 둥근형태, 춘재로부터 추재로의 매우 점진적인 가도관 이행(移行), 가도관 선단부의 뒤얽힘 및 나선강(螺旋腔)과 세포간극의 존재 등에 있어 대응재와 다른 특성(特性)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압축이상재율과 편싱심률에 관계없이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적(數量的) 특성에 있어서도 압축이상재는 가도관장(假導管長)이 대응재보다 짧은 특성을 보였으나 방사조직(放射組織) 밀도(密度)와 단열방사조직(單列放射組織)의 수(數)는 압축이상재가 대응재보다 많았다. 그리고 단열방사조직의 세포고(細胞高)는 대응재가 압축이 상재보다 더 큰 특성(特性)을 나타내었다.

  • PDF

포풀라류의 결정에 관한 연구(I)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 및 수피종의 결정 (Study on the Crystals in the Populus spp.(I) - Crystals in the Woods and Barks of Populus maximowiczii and Populuss nigra × maximowiczii)

  • 이기영;김재경;김남훈;박완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17
    • /
    • 2000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는 전형적인 다습심재(wetwood)로써, 심재 전체가 변재보다 높은 함수유를 나타냈다.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중에 존재하는 결정은 주로 심재중에서도 일부연룬을 따라 또는 착색얼룩을 따라 또는 국소에 집중하여, 수에 가까울수록 많았다. 또한 1연륜 내에서는 만재보다 조재에 많은 경향이 있었다. 심재에서의 결정은 전 종류의 세포에 존재하였으나, 대부분의 결정은 도관과 섬유상가도관에 존재하였다. 수피중에 있는 결정은 내수피에서 외수피까지 비교적 산재하여 존재했다. 양황철나무에서는 잎옹이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나 황철나무에서는 그 출현 빈도가 낮았다.

  • PDF

대기오염(大氣汚染) 피해(被害) 소나무의 목재(木材)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ine Tree (Pinus densiflora S. et Z.) Damaged by Air Pollution)

  • 김윤수;박병대;심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05-112
    • /
    • 1987
  • 대기오염(大氣汚染)이 극심한 것으로 알려져있는 온산(溫山) 및 여천(麗川) 지역의 소나무 (Pinus densiflor)를 대상수종으로,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지난 10년간 전반적인 생장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생장감소의 시작년대와 상기(上記)지역에서의 공단(工團)의 가동 년도(年度)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연륜년대학적(年輪年代學的) 고찰을 통해 입증할 수 있었다. 대기오염 피해지역의 소나무에 있어서 반경방향의 생장의 감소는 지난 10년간 온산(溫山)의 경우 70%, 여천(麗川)의 경우 60%에 달하였다. 이들 소나무는 춘재(春材)의 형성이 억제된 반면 피해기간 중의 추재율(秋材率)은 약 30% 정도 증가되었다. 대기오염 피해기간중 형성된 연륜내(年輪內)의 최대밀도(最大密度)는 건전재의 그것에 비해 약간 낮게 나타났다. 가도관의 치수의 경우 가도관장(假導官長)의 변이(變異)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피해기간중 가도관벽(壁)의 두께와 그 직경은 감소하였다.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시구조(微視構造)의 관찰결과, 하등의 이상조직(異常組織)이나 미생물(微生物)을 발견(發見)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