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ine Tree (Pinus densiflora S. et Z.) Damaged by Air Pollution

대기오염(大氣汚染) 피해(被害) 소나무의 목재(木材)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 Kim, Yoon-Soo (College ot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Park, Byung-Dae (College ot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Shim, Keun (Division of Utilization,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윤수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 박병대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 심근 (임업시험장 목재이용부)
  • Received : 1987.04.14
  • Published : 1987.06.30

Abstract

Some anatomical characterisitc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collected from pollution-exposed area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se sites were reportedly the most severe air polluted areas in Korean peninsular. A decline in overall growth rate was apparent since the late 10-year period of growth. P. densiflora in Onsan and in Yeochon recorded in the radial growth reduction of approximately 70 and 60% respectively. The formation of earlywood in the period of air pollution was restricted, whereas the percentage of latewood increased. The maximum wood density was lower in xylem rings formed during a period of air-pollution than in rings found without pollution. Most of pine trees damaged by air pollution showed the classical type of length-on-age curve for tracheids. However, reduction in cell wall-thickness and diameter was revealed in the wood exposed to air pollutants. Nor anomalies in microstructures nor microorganisms in wood structures were found in the damaged trees.

대기오염(大氣汚染)이 극심한 것으로 알려져있는 온산(溫山) 및 여천(麗川) 지역의 소나무 (Pinus densiflor)를 대상수종으로,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지난 10년간 전반적인 생장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생장감소의 시작년대와 상기(上記)지역에서의 공단(工團)의 가동 년도(年度)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연륜년대학적(年輪年代學的) 고찰을 통해 입증할 수 있었다. 대기오염 피해지역의 소나무에 있어서 반경방향의 생장의 감소는 지난 10년간 온산(溫山)의 경우 70%, 여천(麗川)의 경우 60%에 달하였다. 이들 소나무는 춘재(春材)의 형성이 억제된 반면 피해기간 중의 추재율(秋材率)은 약 30% 정도 증가되었다. 대기오염 피해기간중 형성된 연륜내(年輪內)의 최대밀도(最大密度)는 건전재의 그것에 비해 약간 낮게 나타났다. 가도관의 치수의 경우 가도관장(假導官長)의 변이(變異)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피해기간중 가도관벽(壁)의 두께와 그 직경은 감소하였다.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시구조(微視構造)의 관찰결과, 하등의 이상조직(異常組織)이나 미생물(微生物)을 발견(發見)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