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cephalograms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8초

III급 부정교합의 조기 치료 예후 예측를 위한 두부방사선 계측 변수의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cephalometric measurement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early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18
    • /
    • 2004
  • III급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했을 때, 치료 후 retention 기간 중에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재발되어 성장 완료시기에 악교정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어린 년생부터 장기간에 걸쳐 교정치료를 했음에도 재발되어 악교정수술을 하는 경우에, 환자와 보호자는 소모된 시간과 경비에 대해 많은 실망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교정치료 후 보정기간 중에 있는 30증례를 조사했다. 치료 완료된 교합상태를 교합안정 정도에 따라 good, fair, relapse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골격형태를 관찰한 결과, AB-MP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조기에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우에, 치료 후 안정에 관한 예후를 평가하는데 AB-MP를 활용할 수 있다. AB-MP이 65이상인 경우에 조기치료가 권장되고, 60이하인 경우에는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연기할 수 있다.

한국인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TTBA 치료 후 상악골 견인 효과 (Maxillary protraction effects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therapy in Korean Class III children)

  • 김혜진;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1-240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고안된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TTBA)의 상악골 견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TTBA로 치료받은 88명(소년 42명, 소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 연령은 7세 6개월${\pm}$1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13개월${\pm}$3개월이었다. 치료 전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계측이 동일 조사자에 의해 투사 및 중첩되었으며, modified McNamara analysis과 pitchfork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과 상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하악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이 양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Net dental changes와 apical vase change가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유리한 방향으로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이 일어났다.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에 대한 기여 정도는 net dental movement 26%, apical vase change 74%였다. 이상의 결과는 TTBA 치료가 상악골 결핍을 가진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유의한 상악골 견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clusal plane angle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정우준;손우성;김용덕;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71
    • /
    • 2007
  •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natural head position시 안모의 연조직에 대한 측모두부방사선학적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soft tissue profile between Korean and Caucasian young adults under NHP)

  • 강승구;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3-337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연조직 측모두부방사선학적 기준치를 설정하고, 이를 성별간, 인종간 비교하여, 한국인의 치아안모 변이를 위한 교정적 진단과 치료계획을 확립하기 위한 한 가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있다. 저자들은 균형 잡힌 안모를 가진 젊은 한국인 성 인 남녀 각 27명, 20명을 선발하였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남자 $23.8{\pm}2.6$세, 여자 $22.5{\pm}1.7$세였다. 높은 신뢰성과 재현성을 가진 natural head position에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고, 필름을 트레이싱한 뒤 Arnett등이 소개한 분석요소들을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그 결과를 독립 모수 검정을 통하여 한국인 남녀를 우전 비교하였고, 한국인 남녀 각 군을Arnett등이 제시한 백인들의 남녀 기준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인 남자는 한국인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비후한 하안모 연조직과 작은 비순각, 긴 안면고경, 깊은 측모상, 그리고 더 돌출된 하안모를 가지고 있었다. Amett등이 제시한 백인 기준치와의 비교에서는 한국인이 남녀 모두에서 덜 노출되는 상악 절치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더 긴 안면 길이를 보였고, 더 짧은 측모 깊이를 보였다 또한 두 인종 모두 상악 구조물들은 TVL에서부터 유사한 수평적 위치에 있었으나, 한국인 군에서 유의성 있는 상악-하악간 전후방적 거리차를 나타내었다 이는 한국인이 백인에 비해 기준선인 TVL로부터 하악 구조물들이 상대적으로 더 후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균형잡힌 안모를 가진 개체의 안면각은 성, 인종에 상관없이 170도 전후를 나타내어 보편적으로 신뢰할 만한 평가항목으로 사료되었다.

한국인 성인 안면두개골의 형태적 분류와 특징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RANIOFACIAL MORPHOLOGIC PATTERNS RELAYED TO DIFFERENT FACIAL TYPES IN KOREAN ADULTS : A CEPHALOMETRIC ANALYSIS)

  • 조상원;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5-199
    • /
    • 199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raniofacial patterns in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and to compar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facial types. In order to get configurational groupings, standardized lateral and P-A cephalograms of 174 Korean adul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with seven angular, nineteen linear, four ratio, and two index measurements. Ward's minimum variance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to divide the sample into groups having similar craniofacial morphology, and thereafter, inductive statistics(t-test) was used to characterize morphologic differences of the divided groups. And also,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correlation between the cranial dimensions and upper/lower anterior facial height(UAFH, LAFH) in each facial types for both male and fem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existed sexual dimorphism in most of variables except SN-FH angle, palatal plane angle, facial axis angle, facial index,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ratio and upper facial height ratio. 2. A brachycephalic headform ($0.84{\pm}0.05$) with leptoprosopic facial form ($0.92{\pm}0.05$) was appeared in male, and a mesocephalic headform ($0.86{\pm}0.06$) with leptoprosopic facial form ($0.92{\pm}0.04$) was exhibited in female. 3. Facial types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mesoprosopic facial type) and Group B (leptoprosopic facial typ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were as follows: a. Cranial measurements including index, angular and linear measurements were not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Group B in both sexes. b. Increased UAFH, LAFH, and upper/lower anterior dental heights were exhibited in Group Bs of both male and female. c. In both male and female, ramus height and mandible length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genial angle was found to be larger in Group B than Group A. Therefor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male and female were closely related to less favorable anatomic morphology of the mandible. 4. LAFH and UAFH showed no relationships with cranial dimensions in male and female.

  • PDF

앵글 II급 1류 부정교합자의 안모유형에 관한 연구 (The cephalometric study of facial types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전윤옥;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1-218
    • /
    • 1989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facial types of the Class II division I malocclusion groups and skeletal characteristics of the each group and those that anterop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and mandible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of ANB angle and Wits appraisal was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well. Cephalometric headplates of 140 persons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hose mean age was 11.2 years and 69 persons of normal occlusion whose mean age was 12.2 years were utilize as materials. Measurements were recorded, tab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employing the tracings of the lateral cephalograms, the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group was divided into 9 Types according to the angle of SNA and SNB for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nother 9 Types according to the FH-NPog and SN-MP for the horisontal and vertical relationship, and the other 9 Types according to the ANB and Wits appraisal for intermaxillary relationship as well, with which was based on $Mean{\pm}$ 1SD of those of normal occlusion. The result allowed the following conclusion: 1. $37.1\%$ of population demonstrated maxilla within nounal range and retrognathic mandible to the cranial base, $30\%$ for both maxilla and mandible within normal range, $20\%$ for retrognathic maxilla and mandible and $12.9\%$ of the rest were ananged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usion groups. 2. Retrognathic mandible and hyperdivergent face accounted for $30.7\%$, mesognathic mandible and neutrodivergent face for $29.3\%$, mesognathic mandible and hyperdivergent face for $16.4\%$, retrognathic mandible and neutrodivergent face for $13.6\%$, mesognathic mandible and hypodivergent face for $10\%$ of population were computed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groups. 3. It was suggested that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might be due to anomaly in size and shape of cranial base, underdevelopment of mandible, retropositioning of mandible, underdevelopment of posterior face against anterior face, or any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4. Population with underdevelopment and / or retropositioning of the mandible showed hyperdivergent tendency of facia profile. 5. The ANB angle and Wits appraisal did not coincide the severity of anteroposterior dysplasia in $35.7\%$ of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group each other, and this inconsistency was suggested to be related with mandibular rotation, inclination of cranial base, and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maxilla.

  • PDF

성별에 따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관련요인 (Gender-wise analysis of the cephalometric factors affecting obstructive sleep apnea)

  • 황상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4-173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남녀 성별차이에 따른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성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원 수면 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 후 치과에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촬영을 한 118명의 성인 환자들 중에서 남성 80명과 여성 38명을 각각 수면무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10을 기준으로 단순 코골이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 단순 코골이군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군의 비만도가 더 높았고, 여성의 경우는 단순 코골이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군 사이의 비만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군의 평균 연령이 더 높았다. 또한, 남성에서는 연구개의 두께(SPW), 혀 길이(tongue length) 항목이 AHI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여성에서는 하악 하연과 설골 간의 거리(MP-Hyoid)만이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 시 남녀 성별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상악골 수평골절단술 후 비외형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NASAL MORPHOLOGIC CHANGES FOLLOWING LEFORT I OSTEOTOMY)

  • 배준수;유준영;류정호;김용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324-329
    • /
    • 1999
  • The facial esthetics are much affected by nasal changes due to especially its central position in relation to facial outline and so appropriately evaluated should be the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of the nose associated with the facial appearance. Generally, a maxillary surgical movement is known to induce the changes of nasolabial morphology secondary to the skeletal repositioning accompanied by muscular retraction. These changes can be desirable or undesirable to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amount of maxillary repositioning. We investigated the surgical changes of bony maxilla and its effects to nasal morpholog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teral cephalogram in the Le Fort I osteotomy. Subjects were 10 patients(male 2, female 8, mean age 22.3 years) and cephalograms were obtained 2 weeks before surgery(T1) and 6 months after surgery(T2). The surgical maxillary movement was identified throu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positioning of point A. Soft-tissue analysis of the nasal profile was performed employing two angles: nasal tip projection(NTP), columellar angle(CA). Also, alar base width(ABW) was assessed directly on the patients with a slide gau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oth anterior and superior movement above 2mm of maxilla rotated up nasal tip above 1mm. Either anterior or superior movement above 2mm of maxilla made prediction of the amount & direction of NTP changes difficult. Especially, a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movement of maxilla and NTP rotated-up was P<0.01. 2. Both much highly anterior and superior movement of maxilla is accompanied by more CA increase than either highly.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movement of maxilla and CA change was P<0.05. 3. Anterior and/or superior movement of maxilla was accompanied by the unpredictable ABW widening. 4. The amount of changes of NTP, CA, and ABW is not in direct proportion to amout of anterior and/or superior movement of maxilla. 5. Nasal morphologic changes following Le Fort I osteotomy are affacted by not merely bony repositioning but other multiple factors.

  • PDF

Comparative study of postoperative stability between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and a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skeletal class III correction

  • Mah, Deuk-Hyun;Kim, Su-Gwan;Oh, Ji-Su;You, Jae-Seek;Jung, Seo-Yun;Kim, Won-Gi;Yu,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1호
    • /
    • pp.23-2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to a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0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for skeletal class III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and 20 patients who underwent a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Serial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to identify skeletal changes before surgery (T0), immediately after surgery (T1), and after surgery (T2, after 1 year or at debonding). Results: The amount of relapse of the mandible in the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group from T1 to T2 was $2.23{\pm}0.92mm$ (P<0.01) forward movement and $-0.87{\pm}0.57mm$ (non-significant, NS)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point B and $2.54{\pm}1.37mm$ (P<0.01) forward movement and $-1.18{\pm}0.79mm$ (NS)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ogonion (Pog) point. The relapse amount of the mandible in the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group from T1 to T2 was $3.49{\pm}1.71mm$ (P<0.01) forward movement and $-1.78{\pm}0.81mm$ (P<0.01)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oint B and $4.11{\pm}1.93mm$ (P<0.01) forward movement and $-2.40{\pm}0.98mm$ (P<0.01) upward movement on the basis of the Pog. Conclusion: The greater horizontal and vertical relapse may appear because of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in surgery-first orthognathic approach. Therefore, careful planning and skeletal s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orthognathic surgery.

청소년기에서 수직적, 수평적 골격형태에 따른 경추골 성숙도 차이 (THE DIFFERENCE OF THE SKELETAL MATURATION OF CERVICAL VERTEBRAE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KELETAL PATTERNS IN THE ADOLESCENTS)

  • 고탁균;강경화;라지영;천상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6-52
    • /
    • 2009
  • 청소년 환자에서 수직적, 수평적 골격형태에 따른 경추골 성숙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10세 환자 198명, 12세 환자 216명, 14세 환자 138명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평가하여, 수직적 골격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각 연령별로 4개의 표준화된 계측치를 합하여 그 합이 극단적인 수직 성장을 보이는 30명과 극단적인 수평 성장을 보이는 30명을 선택하였고, 이들을 수직적인 군과 수평적인 군으로 각각 나누었다. 골성숙의 평가를 위해, 경추 하연의 만곡도와 경추의 수직-수평 비를 관찰하여 연령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10세, 12세, 14세 모두에서 경추 하연의 만곡도는 골격 형태가 수직적인 군에 비해 수평적인 군이 더 컸으나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세의 수평적인 군은 수직적인 군보다 제 3경추와 제 4경추의 수직-수평 비가 유의하게 더 컸으나, 10세와 14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세에서 각 군의 SUM, FMA, 수직-수평비 사이에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