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Korean soft tissue cephalometric norms, to compare the norms between sexes and between races, and then to suggest a guideline to execute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dentofacial deformities in Korean. Young Korean adults were selected. They were 27 males $(23.8{\pm}2.6-year-old)$ and 20 females $(22.5{\pm}1.7-year-old)$ who had harmonious facial balance. After taking lateral cephalograms under the natural head position which is widely known as a highly reliable and reproducible reference position, films were traced and analysing factors were measured as introduced by Arnett et at. Comparisons were don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nd between Korean and Caucasian groups using unpaired t-test.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male had generally thicker lower facial soft tissue and smaller nasolabial angle, longer facial height, deeper facial depth, and more protrusive lower face than Korean female. From the comparison with Caucasian norms adopted from the research of Arnett et al., both Korean male and female showed longer facial lengths generally except less exposed maxillary incisor, and shorter facial depth than Caucasian counterparts. Also, both races showed similar horizontal position of maxillary structures from TVL (true vertical line), but there were more significant anteroposterior differences of marilla-mandible in Korean groups. These results mean Korean had relatively more retruded mandibular structures from the reference line, TVL. Individuals who had harmonious facial balance showed similar facial angle, more or less 170 degree, regardless of sexes or race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연조직 측모두부방사선학적 기준치를 설정하고, 이를 성별간, 인종간 비교하여, 한국인의 치아안모 변이를 위한 교정적 진단과 치료계획을 확립하기 위한 한 가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있다. 저자들은 균형 잡힌 안모를 가진 젊은 한국인 성 인 남녀 각 27명, 20명을 선발하였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남자 $23.8{\pm}2.6$세, 여자 $22.5{\pm}1.7$세였다. 높은 신뢰성과 재현성을 가진 natural head position에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고, 필름을 트레이싱한 뒤 Arnett등이 소개한 분석요소들을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그 결과를 독립 모수 검정을 통하여 한국인 남녀를 우전 비교하였고, 한국인 남녀 각 군을Arnett등이 제시한 백인들의 남녀 기준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인 남자는 한국인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비후한 하안모 연조직과 작은 비순각, 긴 안면고경, 깊은 측모상, 그리고 더 돌출된 하안모를 가지고 있었다. Amett등이 제시한 백인 기준치와의 비교에서는 한국인이 남녀 모두에서 덜 노출되는 상악 절치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더 긴 안면 길이를 보였고, 더 짧은 측모 깊이를 보였다 또한 두 인종 모두 상악 구조물들은 TVL에서부터 유사한 수평적 위치에 있었으나, 한국인 군에서 유의성 있는 상악-하악간 전후방적 거리차를 나타내었다 이는 한국인이 백인에 비해 기준선인 TVL로부터 하악 구조물들이 상대적으로 더 후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균형잡힌 안모를 가진 개체의 안면각은 성, 인종에 상관없이 170도 전후를 나타내어 보편적으로 신뢰할 만한 평가항목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