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t glacial period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9초

단양 수양개 후기구석기 유적 숯의 수종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of Charcoals Excavated at the Late Paleolithic Site of Suyanggae, Danyans)

  • 박원규;김요정;이융조
    • 보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6-30
    • /
    • 2003
  • 후기구석기 유적인 수양개 유적에서 출토된 숯의 수종을 분석하였다. 수양개는 단양 한강유역에 위치한 유적으로, 출토된 숯의 방사성 탄소 연대는 $18,630\~16,400BP$이었다. 수종식별 결과 두 수종만 식별되었다 142점 중 139점의 숯이 소나무류(이엽송)이었다. 나머지 3점만이 가문비 나무속이었다. 이 결과는 소나무가 주로 출토된 상부층, 즉 지표면 기준 $235\~245cm$ 층위는 후빙기 기간 중 건조 온난한 기후에서 형성된 것이고 한 대성 수종인 가문비나무가 출토된 270cm 이하의 하부층은 최후빙기 동안에 형성된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

Organic Carbon, Calcium Carbonate, and Clay Mineral Distributions in the Korea Strait Regio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 Khim, Boo-Keun;Shin, Dong-Hyeok;Han, Sa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2권3호
    • /
    • pp.128-137
    • /
    • 1997
  • This study presents results from a detailed sedimentological investigation of surface sediments obtained from the Korea Strait regio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types of bottom sediments is controlled by the recent fine-grained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combined with the lowerings of sea level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forming a diverse mixture of organic-rich fine-grained and shelly coarse-grained sediments. In comparison to high organic concentra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inner continental shelf and slope areas, the shell-rich coarse-grained sediments on the outer shelf are discernible being further modified. These coarse-grained sediments are confirmed as relict resulting from the sediment dynamics during the lower sea levels of the last glacial period. Clay mineral distribution of the fine-grained sediments gives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 mechanism. Presence of present-day current system (the Tsushima Warm Current) is most probable source for the fine-grained particles into the open East Sea from the East China Sea, indicating that Holocene sediment dynamics may be used to explain the observed distribution of surface coarse-grained shell-rich sediments.

  • PDF

Sedimentary Excess Barium from a Core of the Northwest Pacific Ocean: Geochemical Proxy

  • Suk, Bong-Chool;Park, Chan-Hong;Taira, Asahiko;Hyun,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2호
    • /
    • pp.98-108
    • /
    • 2000
  • A geochemical study on a hemipelagic core sediment taken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eastern edge of the Shikoku Basin) was conducted to use of excess barium (Ba(ex)) for evaluate the paleoceano-graphic changes. Also, the excursion of sedimentary Ba(ex) was compared with those of biogenic opal, carbonate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ediment during the last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The calculated Ba(ex) derived from the major and minor element shows a distinctive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s, and the mass accumulation rate (MAR) of Ba(ex) shows coincident variations with the MARs of biogenic fractions. Especial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2$=0.85) between the MAR of Ba(ex) and the MAR of biogenic carbonate is recognized. Based on the strong positive correlation(r$^2$=0.85) between the MAR of Ba(ex) and the MAR of carbonate content, we estimated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rate during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Assuming the proportional variation and the refractory nature of barium exist between two factors, the variation of index Ca/Ba ratio in sediment indicates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Sedimentary Ca/Ba ratios index clearly show a striking fluctuation between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with higher positive correlation during glacial and lower correlation during interglacial. This fact indicates enhanced carbonate dissolution during interglacial period. Thus, the sedimentary Ca/Ba ratio in sedimentary records can be used as one of the useful tools for estimation of the relativ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The excursion of Ba(ex) and the sedimentary Ca/Ba ratio follows the typical pacific carbonate dissolution type(enhanced dissolution during interglacial and reduced dissolution during glacial time) as suggested by previous work (e.g., Wu et al., 1990). Variation in sedimentary Ca/Ba ratio thus strongly supports that glacial-interglacial fluctuation in carbonate dissolution has been prevailed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 PDF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의 관점에서 (The Last Interglacial Sea Levels Estimated from the Morphostratigraphic Comparison of the Late Pleistocene Fluvial Terrace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최성길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6
    • /
    • 1993
  •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로 부터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한국 동해안 강릉 남대천 유역을 대상으로,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발달과정을 고찰하고, 단구퇴적물의 특징과 하성단구 상호간 및 충적면과의 대비 관계에 근거하여 최종간빙기의 해면변동단구를 동정한 후, 이 단구를 이용하여 당시의 해수면 고도를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릉단구 I면은 최종간빙기의 극상기에 퇴적되었음이 밝혀졌고, 강릉단구 II면은 동 간빙기의 중기 혹은 후기에 퇴적된 것으로 편년되었다. 이 두 단구는 해면변동단구로서, 당시의 해수면은 각각 현재보다 17-20m, l0m 정도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2) 강릉단구와의 교차 관계, 단구퇴적물의 퇴적상 및 풍화도, 매몰곡저와의 연결관계 등으로 부터, 왕산단구 I면은 최종빙기의 전기, 그리고 II면은 최종빙기의 후기로 편년하였다. 3) 강릉단구 I면에 발달된 의사 그라이화 적색토의 형성작용은, 강릉단구 II면의 퇴적기인 최종간빙기의 중기 혹은 후기에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달리, 연구지역에 있어서는 최종빙기 중의 아간빙기에는 적색토화 작용이 미약하였거나 진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limatic Changes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 Yi, HI-Il;Shin, Im-Chu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23-31
    • /
    • 2004
  • Temperature variations, and carbon dioxide and methane concentrations are summarized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Atmospheric temperature varied approximately within $10^{\circ}C$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Most of the time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temperature was lower than today except 410000, 320000, 250000, and 125000 years ago. Temperature was slightly higher or at least similar to today during the time period of 410000. 320000, 250000, and 125000 years ago.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varied between 180 and 300 ppm, and the methane concentration varied between 40 and 700ppb. The present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375 ppm and methane is 1750 ppb. Temperature was 5-$7^{\circ}C$ lower than today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18,000 years ago) and the Younger Dryas(10,000 years ago). Temprature was varied within $1^{\circ}C$ during the past 10,000 years. Especially Middle Holocene Climatic Optimum(6,000 years ago), Medieval Warm Period (500-1,000 years ago), and Little Ice Age(100-500 year ago) were global climatic events. In general, mechanism for the Middle Holocene Climatic Optimum, Medical Warm Period, and Little Ice Age can be explained by the solar insulation, however their exact mechnism is not well know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never reached the current value of 375 ppm. Furthermore, the current methane concentration never reached during the past 20Ma. However, current temperature value has happened several times during the past 400,000 years. The implication of this is unsolved question so far. This should be challenged in the near future.

  • PDF

Paleo-Tsushima Water influx to the East Sea during the lowest sea level of the late Quaternary

  • Lee, Eun-Il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14-724
    • /
    • 2005
  • The East Sea, a semi-enclosed marginal sea with shallow straits in the northwest Pacific, is marked by the nearly geographic isolation and the low sea surface salinity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The East Sea might have the only connection to the open ocean through the Korea Strait with a sill depth of 130 m, allowing the paleo-Tsushima Water to enter the sea during the LGM. The low paleosalinity associated with abnormally light $\delta^{18}O$ valu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is interpreted to have resulted from river discharge and precipitation. Nevertheless, two LGM features in the East Sea are disputable.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volume transport of the paleo-Tsushima Water via the Korea Strait and further examines its effect on the low sea surface salinity (SSS) during the lowest sea level of the LGM. The East Sea was not completely isolated, but partially linked to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during the LGM. The volume transport of the paleo-Tsushima Water during the LGM is calculated approximately$(0.5\~2.1)\times10^{12}m^3/yr$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seismic reflection profiles along with bathymetry and current data. The annual influx of the paleo-Tsushima Water is low, compared to the 100 m-thick surface water volume $(about\;79.75\times10^{12}m^3)$ in the East Sea. The paleo-Tsushima Water influx might have changed the surface water properties within a geologically short time, potentially decreasing sea surface salinity. However, the effect of volume transport on the low sea surface salinity essentially depends on freshwater amounts within the paleo-Tsushima Water and excessive evaporation during the glacial lowstands of sea level. Even though the paleo-Tsushima Water is assumed to have been entirely freshwater at that time period, it would annually reduce only about 1‰ of salinity in the surface water of the East Sea. Thus, the paleo-Tsushima Water influx itself might not be large enough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aleosalinity of about 100 m-thick surface layer during the LGM. This further suggests contribution of additional river discharges from nearby fluvial systems (e.g. the Amur River) to freshen the surface water.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 가능성과 제4기 화산활동과의 관계 (Some Evidences for Glacial Landforms on the Baekdusan and Its Implications to Quaternary Volcanic Eruptions)

  • 이성이;성영배;강희철;최광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9-178
    • /
    • 2012
  • 백두산의 현재 지형은 반복적인 화산활동과 함께 신생대 제4기 기후변화로 추동된 빙하 활동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여전히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에 대한 의문들은 해소되지 못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통하여, 빙하지형에 관련된 지형들을 제시하고, 이의 연대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제4기 화산 활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가속기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빙하의 후퇴 이후 지표면에 노출되었을 백두산 천지 서사면의 빙하 기반암 지형 면에 대하여, 우주선 유발 동위원소 $^{36}Cl$의 농도를 측정하여 46~26ka의 표면노출연대를 얻었으며, 이는 적어도 천지 서쪽 사면은 지난 최종빙기 이후의 화산활동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을 지시하며, 특히 대략 천 년 전에 있었다고 보고되는 폭발성 분화에도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화산 쇄설물의 비대칭적 퇴적을 고려했을 때, 계절적으로 이 분화는 북서풍이 탁월한 겨울철에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빙하지형과 이의 연대 결과를 바탕으로 지형 발달과정을 복원해보면, 백두산의 빙하 지형은 지난 빙기까지 곡빙하(valley glacier)들이 연합한 빙모(ice cap) 형태에서 고립된 곡빙하를 거쳐 화산체 내부의 소규모 권곡(cirque)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추론된다.

  • PDF

韓反島 中部東海岸 低位海成段丘의 對比와 編年 (The comparison and chronology of the lower marine terraces in the mid-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 최성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3-119
    • /
    • 1995
  • 제4기 후기에 있어서도 지반의 지속적인 융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한국 의 동해안에 있어서는, 어느 한 간빙기 해성면의 동정이 이루어질 경우, 이 지형면을 시간기 준면으로 한 제4기 해성면 전체의 대비와 편년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동해안에 있 어서 시간기준면으로 이용 될 수 있는 지형면은, 단구면과 퇴적물의 특징이 가장 잘 보존되 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최종간빙기의 해수면이라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한반도의 중부 동 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해수면을 확정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단구면의 구정선고 도, 단구퇴적물의 특징, 그리고 고토양 및 화석 주빙하결빙구조 등을 지표로, 묵호-강릉해안 에 분포하는 저위해성단구의 대비와 상대편년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 저위해성단구 I면 은 최종간빙기 극상기(산소 동위체 스테이지 5e), 그리고 II면은 최종간빙기의 중반(5c) 혹은 후기(5a)의 지형면으로 편년되었다. 이는 최종간빙기의 해성면을 I면 밖에 인정하지 않은 기 존의 연구결과와 다른 점으로서, 추후 이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요청된다. 저위해성단구 I면 과 II면의 구정선고도는 각각 18m, 10m이며, 이중에서도 저위해성단구 I면은 분포의 보편성 으로 보아 한국 동해안의 제4기 지사편집시 시간기준면으로서의 이용가치가 크다고 생각된 다.

  • PDF

과거 해수 순환을 지시하는 해수기원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 기록 (Authigenic Neodymium Isotope Record of Past Ocean Circulation)

  • 허영숙;장광철
    • 암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9-259
    • /
    • 2014
  • 해수의 순환이 지구표면의 열 분배 및 궤도함수주기와 천년주기의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과거 해수의 흐름을 지시할 수 있는 지시자의 개발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논평에서는 해수 자생성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를 해수순환의 지시자로 활용하는 원리와 분석방법 그리고 두 가지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먼저 지난 빙하기-간빙기와 아빙기-아간빙기에 걸쳐 북대서양심층수 세기의 변화를 명확히 볼 수 있는 예를 소개한다. 다음으로는 북극해에서 담수의 유입과 해수순환을 재구성한 예를 보인다.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 제4기 지질 연구 (Quaternary Geology of the Conjunction Area of the Yeongsan and Sampo rivers)

  • 김주용;양동윤;홍세선;남욱현;이헌종;이진영;김진관;오근창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하류 무안, 일로 및 동강 지역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분포와 형성시기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의 기존 시추코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동강면 장동리 용동부락 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랜치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렌치 조사에서는 퇴적층에 대한 지층단면 조사, 입도분석 및 대자율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플라이스토세말 영산강 하류 해안평야의 제4기 퇴적층준의 형성시기와 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산강 하류 해안지형을 구성하는 퇴적층준은 LG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도 약 7-10m 사이에 분포하는 해면변동성 단구면과 현재 해안평야 사이에 나타나는 단구애는 최종빙기중의 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도 약7-10m의 해면변동성 단구면은 최종간빙기 초기, 고도 7-10m 단구면과 약 15m 단구면 사이의 단구애는 최종간빙기내의 아빙기, 그리고 고도 약 15m의 단구면은 최종간빙기(5e)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은 한반도 동남해안에 발달하는 다른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과 잘 대비된다. 이 연구는 영산강 하류의 구석기 유적 분포와 관련된 제4기 퇴적층의 분포특성 해석을 통하여 구석기 시대 생태환경 복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