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st Interglacial Sea Levels Estimated from the Morphostratigraphic Comparison of the Late Pleistocene Fluvial Terrace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의 관점에서

  • 최성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e estimation of the Last Interglacial sea level was made by using the thalassostatic terrac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lower reach of Namdaechon river in Kangneung,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The fluvial terraces, which have been developed since late Pleistocene, were investiga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at Kangneung terrace I had been formed in the climax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Oxygen isotope stage 5e) was revealed. It was estimated that Kangneung terrace II had been formed during a certain warmer period between the climax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and the early Last Glacial(probably Oxygen isotope stage 5c or 5a). 2) Being judged from the relative heights of the Kangneung terrace I and II, the sea levels of the formation periods of these terraces were estimated to have been relatively 17~20m and l0m higher than the present sea level, respectively. 3) The formation periods of the Wangsan terrace I and II were supposed to be the early and late Last Glacial respectively, being judged from the following 3 details ; a)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ce deposits, b) the relation Wangsan terrace II to the buried valley floor, and c) the cross phenomena of the above two terraces to the Kangneung terraces. 4) The formation period of the pseudogleyed red soil in the Kangneung terrace I was estimated to be the middle or late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로 부터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한국 동해안 강릉 남대천 유역을 대상으로,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발달과정을 고찰하고, 단구퇴적물의 특징과 하성단구 상호간 및 충적면과의 대비 관계에 근거하여 최종간빙기의 해면변동단구를 동정한 후, 이 단구를 이용하여 당시의 해수면 고도를 추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릉단구 I면은 최종간빙기의 극상기에 퇴적되었음이 밝혀졌고, 강릉단구 II면은 동 간빙기의 중기 혹은 후기에 퇴적된 것으로 편년되었다. 이 두 단구는 해면변동단구로서, 당시의 해수면은 각각 현재보다 17-20m, l0m 정도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2) 강릉단구와의 교차 관계, 단구퇴적물의 퇴적상 및 풍화도, 매몰곡저와의 연결관계 등으로 부터, 왕산단구 I면은 최종빙기의 전기, 그리고 II면은 최종빙기의 후기로 편년하였다. 3) 강릉단구 I면에 발달된 의사 그라이화 적색토의 형성작용은, 강릉단구 II면의 퇴적기인 최종간빙기의 중기 혹은 후기에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달리, 연구지역에 있어서는 최종빙기 중의 아간빙기에는 적색토화 작용이 미약하였거나 진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