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optics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안경조제의 광학적 허용오차 설정 (The Optical Tolerances' Decision of the Ophthalmic Dispensing for Korean Models)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9-199
    • /
    • 1998
  • 완성안경의 광학적 허용요차에 대한 system을 안경처방서 작성시 환경, 주시거리, 하방 주시각, 테의 늘어남, 정정간 거리(VD), 토릭렌즈의 축, 렌즈의 기울기 등의 누적 오차 합 형태로 만들었다. 굴절력(D)에 따른 $O{\cdot}C$의 허용치 크기(T) 관계를 $T=T_0e^{-aD}$으로 주어지고 여기서, $T_0$는 굴절력이 0인 평면렌즈의 허용치 크기이고, ${\alpha}$는 허용치 factor이다. RAL-915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허용오차를 적용하는 경우, 허용오차가 큰 방향에 대해서는 허용치 factor ${\alpha}$$0.166(T_0=5.90)$이고, 허용오차가 작은 방향에 대해서는 허용치 factor ${\alpha}$$0.166(T_0=2.95)$ 값을 갖는다.

  • PDF

폴리머 단일 링 Add/Drop 필터와 지연 도파로로 구성된 튜닝 가능 광 신호 지연기 (Tunable Optical Delay Line Based on Polymer Single-Ring Add/Drop Filters and Delay Waveguides)

  • 김경래;문현승;정영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74-180
    • /
    • 2016
  • 튜닝 가능한 광 신호 지연기를 설계, 제작 및 특성 측정을 하였다. 광 신호 지연기는 네 개의 폴리머 링 공진기 add/drop 필터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지연 도파로들로 구성되었다. 폴리머 도파로는 한변의 길이가 $1.8{\mu}m$ 인 정사각형 매립 구조이고,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율은 각각 1.48과 1.37이다. 이와 같은 도파 구조로 인하여 매우 작은 반경의 곡선도파로를 활용함으로써, 콤팩트한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각각의 add/drop 필터의 링 공진기 상에 전극을 형성하여 열 광학 효과에 의한 튜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측정 결과, 각각의 add/drop 필터를 튜닝함으로써 지연 도파로의 수에 비례하는 지연 시간인 110 ps, 225 ps, and 330 ps를 확인할 수 있다.

광섬유와 필름격자를 이용한 가속도 센서 (Acceleration Sensor Using Optical Fibers and Film Gratings)

  • 이윤재;조재흥;권일범;서대철;이남권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81
    • /
    • 2008
  • 상용의 전자기 가속도 센서에 비해 신호의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제작이 비교적 용이한 필름 격자를 이용한 광세기 방식의 새로운 가속도 센서를 제안하고 이를 제작하였다. 외부의 진동에 반응하는 외팔보(cantilever beam)에 서로 주기가 어긋난 2장의 진폭 변조용 필름 격자가 나란히 부착되어 이 필름격자를 지나가는 출력광이 외부진동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으로 변조된다. 이 두 필름격자에 의한 출력의 위상각을 이용하여 출력광 신호의 위상을 구하고, 위상 연속화 과정을 거쳐 외팔보의 변위를 계산하여 가속도 환산 관계식을 통해 가속도를 측정하였다. 본 논문의 필름 격자를 이용한 광섬유 가속도 센서는 대형 구조물 및 토목 구조물의 모니터링에 알맞은 7 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광섬유 가속도 센서는 광섬유를 이용하였으므로 전자기적 노이즈가 예상되는 곳에서도 구조물의 진동 측정에 적합하다.

광학 성능 및 제작성 향상을 위한 탐조등 렌즈 연구 (Study of a Searchlight Lens to Improve Optical Performance and Fabricability)

  • 조예지;정미숙
    • 한국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1-8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좁은 지향각, 높은 최대 중심광도를 갖는 탐조등 광학계 설계 기술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탐조등 광원인 할로겐램프와 제논램프는 진동과 충격에 취약하며, 크기가 크고 무거워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탐조등 후면부에 위치한 포물경은 제작 시 광원과 조립 오차에 따른 성능 저하와 낮은 광 효율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1 kW 할로겐램프를 150 W급 고출력 COB LED로 대체하고 목표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고효율 TIR 렌즈를 설계하였다. 이후 광학계 사출 시 발생하는 표면 오차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TIR 렌즈 어레이를 제시하여 제작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설계된 광학계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제작한 후 시중 할로겐램프 탐조등과 성능을 비교하여 광학 성능의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스윙암 방식의 형상 측정기를 이용한 대형 반사경의 정밀가공에 관한 연구 (Study on Fabrication of a Large Concave Mirror Surface Using a Swing-Arm Type Profilometer)

  • 이기암;김옥현;이응석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1-46
    • /
    • 2008
  • Generally optical components are fabricated by grinding, lapping and polishing processes. Those processes take long time to obtain optical high surface quality. In the case of large optical components, the on-machine measurement is strongly recommended because the workpiece is fragile and difficult to set up for fabricating and measuring. This paper is concerned about a swing-arm mechanism which can be used for on-machine measurement of a surface profile with a sensing probe end-effect, and also for grinding or lapping the surface with a corresponding tool. The measuring accuracy and uncertainty using a swing arm type profilometer have been studi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is useful specially in lapping process with the accuracy of $5{\mu}m$. Those inspection data are provided for correcting the residual figuring error in next processes.

  • PDF

미세패턴 평판 금형가공 기술동향 (Trends of Flat Mold Machining Technology with Micro Pattern)

  • 제태진;최두선;전은채;박언석;최환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
    • /
    • 2012
  • Recent ultra-precision machining systems have nano-scale resolution, and can machine various shapes of complex structures using five-axis driven modules. These systems are also multi-functional, which can perform various processes such as planing, milling, turning et al. in one system. Micro machining technology using these systems is being developed for machining fine patterns, hybrid patterns and high aspect-ratio patterns on large-area molds with high productivity. These technology is and will be applied continuously to the fields of optics, display, energy, bio, communications and et al. Domestic and foreign trends of micro machining technologies for flat mold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ultra-precision machining systems and application fields of micro patterns machined by the machining system.

광 다층박막의 층간확산 효과 (Interdiffusion effects in optical multilayer thinfilms)

  • 이영재;김영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00-306
    • /
    • 1998
  • 광학용 유전체 다층박막의 증착시 높은 열로 인해 형성되는 층간확산의 광학적 효과를 연구하였다. 연속적으로 변하는 굴절률 분포함수를 갖고 하나의 부분구조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층박막의 광특성 계산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Fabry-Perot형 여과막, 넓은 영역에 걸쳐 높은 반사율을 갖는 전반사경 및 반사 방지막에 대해 층간확산이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투과 및 반사 스펙트럼을 얻었다. 층간확산으로 인하여 전반사경의스펙트럼 대역폭이 줄어들었으며 다층 반사방지막의 경우층의 수가 많을 때 특성이 악화되고 파장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가 크게 되었다.

  • PDF

A METHOD FOR TESTING SURFACE DEFORMS OF LARGE CONVEX MIRRORS

  • Kim Young-Soo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254-257
    • /
    • 2004
  • Both ground and space telescopes are being built larger and larger. Accordingly, the secondary mirrors become larger which are convex mostly on the surface form. Testing convex mirrors becomes more difficult and delicate than testing concave mirrors in optics, because additional optical components are needed to make the reflected rays converge. Hindle type tests are frequently used for measuring the surface deforms of convex mirrors, which employs a meniscus lens to reverse the diverted rays from the mirrors. In case of testing large convex mirrors by using Hindle type tests, attention would be needed as larger meniscus lens is required. A method of modified Hindle test has been studied and th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this paper, current method of testing convex mirrors is presented, and a new method is discussed.

  • PDF

Curved Projection Integral Imaging Using an Additional Large-Aperture Convex Lens for Viewing Angle Improvement

  • Hyun, Joo-Bong;Hwang, Dong-Choon;Shin, Dong-Hak;Lee, Byung-Gook;Kim, Eun-Soo
    • ETRI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05-110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rved projection integral imaging system to improv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angles. The proposed system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dditional use of a large-aperture convex lens in conventional projection integral imaging. To obtain the simultaneous display of 3D images through real and virtual image fields, we propose a computer-generated pickup method based on ray optics and elemental images, which are synthesized for the proposed system.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preliminary experiments are carried out.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our system improves the viewing angle and displays 3D images simultaneously in real and virtual image fields.

  • PDF

큰 회절각을 가진 CGH의 위치에 대한 오차의 보정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 of CGH with a large diffraction angle)

  • 이재철;오용호;고춘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8-132
    • /
    • 2005
  • 주기적인 홀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일반적인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의 설계 프로그램은 회절각 공간에서 설정한 모델 방정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회절각을 사용하는 경우 평면에서 관찰되는 이미지는 설계와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오차의 발생원인을 회절이론 분석을 통하여 모델 방정식을 만들었으며 이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회절각 기반의 기존 프로그램을 교정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