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pse rat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초

환경조건 차이에 따른 밭 토양중 제초제 Napropamide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Residue of Herbicide Napropamide and Change of Microorganism in Upland Soil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한성수;정재훈;최찬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8-313
    • /
    • 1994
  • 잔효기간이 긴 것으로 알려진 토양처리형 제초제 napropamide를 밭토양중 여러 환경조전하에 처리하여 이 약제의 토양중 분해성을 검토하고, 이 제초제가 토양미생물 상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토양과 비살균토양에서의 napropamide의 분해반감기는 각각 28.3, 14.6 일이었다.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 속도는 60% > 80% ${\geq}$ 40% 순이였으며 napropamide의 처리와 무처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유의성이 없었고, 처리구내의 60% 수분함량구가 40% 수분함량구에서보다 세균수와 총균수가 많았다. pH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pH가 낮을수록 빨랐으며, napropamide처리구내 총균수는 pH5.5에서 경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27^{\circ}C$ > $37^{\circ}C$ > $17^{\circ}C$의 순으로 빨랐으며, 각 온도에 있어서 napropamide 무처리구와 처리구간의 미생물수는 $17^{\circ}C$에선 방선균이, $27^{\circ}C$, $37^{\circ}C$에선 세균이 무처리구보다 처리구에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Napropamide의 반감기는 10ppm과 20ppm처리에서 각각 16.6일과 21.1일이었고, 미생물 발생수는 20ppm처리구에서보다 10ppm처리구에서 많았다. 식양토와 미사질 양토에서 napropamide의 반감기는 27.7일, 17일이었으며,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차이가 없었다. 포장 및 실내조건에서의 napropamide의 반감기는 각각 5.4일과 19.1일로 포장에서가 실내에서 보다 분해속도가 3.5배 빨랐다.

  • PDF

풋거름작물의 토양환원이 수박의 생육 및 토양의 질산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 임태준;박진면;이성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3
    • /
    • 2018
  • 수박 휴작기에 풋거름 작물로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재배한 후 토양으로의 환원이 후작물 수박의 생육과 수량 그리고 토양의 질산태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파종 후 151일간 재배한 후에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토양 질소 환원량은 각각 79 kg/ha와 88 kg/ha였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은 시설하우스 한 동씩 두 동의 면적에 풋거름 작물구, 풋거름작물에 요소 25%, 50%, 75% 처리구, 요소 100% 등 5처리를 각각 두었다. 수박의 생육은 각각의 헤어리베치 및 호밀 처리에서 동일한 생육을 나타냈고 수박의 수량에서도 처리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토양의 질산태 질소함량은 수박 정식 후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정식 후 75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호밀처리구는 호밀만 투입만 처리가 52 mg/kg으로 가장 낮았고, 헤어리베치 처리간 비교에서도 마찬가지로 헤어리베치만 공급한 처리가 가장 낮은 44 mg/kg이었다. 헤어리베치와 호밀 등 녹비작물만의 투입으로도 수박의 재배기간 동안에 토양의 질산태 질소가 40 mg/kg 이상으로 존재하여 화학비료의 추가적인 시비 없이도 동일한 생육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수박의 수량과 재배기간에의 토양 중 질산태질소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용 속옷의 착용효과 -소재별 발한량과 체중감량을 중심으로- (The Wearing Effect of Sport Underwear -Focusing on the Loss of Weight and Amount of Sweat according to the Materials-)

  • 나미향;김미선;정복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285
    • /
    • 2002
  • Three materials for sport underwear were manufactured by order for study, and among them, suitable material in order to perform an experiment on the effect of wearing was adop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wearing an experimental clothes for sports manufactured as a foundation-type underwear for sports showed that if the same compositional materials were applied, laminating material had higher rate than that of others in the amount of sweat. Concerning relative humidity in clothes and the amount of sweat absorbed in clothes among the two kinds of materials which were produced by laminate, material 2(nylon+modal) was statistically exerts higher influence on the amount of sweat. The humidity in clothes keeps the optimal condition of 59.8%, and breast part showed the highest relative humidity. The material 2(nylon+modal) showed the highest comfortableness, the sense of warmth, humidity and voluminousness, and the sense of pressure. Follow-up survey revealed that in case of material 2, higher amount of sweat than that of the group objects in its early phase, and the amount of sweat varies from individuals. The temperature in clothes of folded parts of experimental clothes and maximum surface temperature was equivalent to that of average skin. With the lapse of time, the weight decreased of 11.03% in maximum, and 3.12% in minimu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irth was greater in part of body frame than that of limbs, and especially, navel and waist part showed high decrease, and upper breast, breast and the largest part of abdomen showed relatively low decrease. The above experiment revealed that materials for suitable to the underwear for sports for loss of weight by an exercise should be made of doubled-nylon and modal, along with the laminate processing, which heightens the amount of sweat. Thus, wearing an experimental wear gave satisfaction in the view of the beauty of appearance as it did not discharge flowing secretion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exercise.

  • PDF

북한지역 평년의 경관규모 기온분포도 제작 (Mapping Monthly Temperature Normals Across North Korea at a Landscape Scale)

  • 김수옥;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남한 전역 기온기후도 제작에 활용된 소기후 모형을 북한의 885개 표준유역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평년(1971-2000) 및 10년 단위(1971-1980, 1981-1990, 1991-2000, 2001-2010) 월별 일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27개 및 남한 17개 기상대 기온자료의 단순내삽 기후도를 관측지점 고도값으로 산출한 기온감률을 통해 고도차 보정을 하였고, 최저기온의 온난대효과와 냉기침강효과, 도시열섬효과 및 최고기온의 일사효과, 바다효과로 인한 기온 추정오차를 보정하였다. 추정된 평년 월별 평균기온의 북한 전체 공간평균값은 한겨울의 경우 남한에 비해 $7^{\circ}C$, 여름에는 $3^{\circ}C$ 가량 낮았다. 북한의 1970년대와 2000년대 사이 기온 상승은 봄철과 가을철에 보다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년의 4월 최고기온이 $15^{\circ}C$ 이상인 지역이 북한 전체의 36.9%인 것에 비해 2000년대에는 44.3%로 증가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평년 1월의 경우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 $10^{\circ}C$ 이상인 지역은 북한 전체의 13.4%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서 17%로 확장되었다.

VRML을 이용한 도심지역 LiDAR 압축자료의 3차원 표현 (A Study of 3D Modeling of Compressed Urban LiDAR Data Using VRML)

  • 장영운;최연웅;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8
    • /
    • 2011
  • 최근 지도제공 서비스 업체 및 각 포털 사이트가 일반 사용자를 위한 3차원 가상도시 모델 서비스에 참여하면서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웹이나 모바일 장비로 이러한 3차원 정보를 제공하게 되면서 자료의 정확도 및 전송속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갱신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웹으로 3차원 자료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중에서 VRML은 간단한 플러그인 설치를 통하여 별도의 비용이 없이 웹상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LiDAR 시스템은 공간자료를 손쉽고 정밀하게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다방면으로 연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LiDAR 자료는 객체의 3차원 정보를 불규칙한 점군 형태로 취득하므로, 자료를 변환없이 3차원 형태로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 처리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높은 사양의 처리 프로세서와 많은 양의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 LiDAR 자료를 압축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3차원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때 LiDAR 자료의 저장공간 및 처리속도 문제를 위하여, 압축 알고리즘을 적용한 2차원 격자 형태의 자료로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또한 3차원 표현을 위하여 압축된 LiDAR 자료를 VRML에 적합한 코드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도심지역을 3차원 형식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남한의 겨울철 주.야간 체감 온도의 공간적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 Daytime and Nighttime Apparent Temperature in South Korea)

  • 최광용;강철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7-246
    • /
    • 2002
  • 본 연구는 최근 30년 (1971-2000) 최한월 (1월) 평균 기온 및 풍속, 일사량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겨울철 주.야간 바람냉각지수의 분포를 바탕으로 남한의 겨울철 생리 기후지역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 주.야간 바람냉각지수는 기온, 풍속, 일사량 등의 기후요소뿐 아니라 해발고도, 해륙풍, 지형, 해류 등의 기후인자의 영향을 받아 남한은 크게 5개의 생리기후지역으로 세분되었다: 주간 서늘-야간 추움 지역, 주간 쌀쌀-야간 추움 지역, 주간 쌀쌀-야간 매우추움 지역, 주.야간 모두 추움 지역, 주간 추움-야간 극도로 추움 지역, 특히, 남해안을 제외한 해안-도서지역은 계절풍 및 해륙풍의 영향으로 주간에는 싸늘함(Keen), 야간에는 매우 추움(Very Cold)의 체감도를 보였다. 또한, 해발고도가 높은 대관령 지역에서는 기온 감률 및 계절풍의 영향으로 주간에는 추움(Cold), 야간에는 극도로 추움(Extremely Cold)의 체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주야간 바람냉각지수의 분포를 바탕으로 남한의 겨울철 생리기후 지역을 구분함으로써 의복 및 건축 등의 단열에 관한 의사결정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Hybrid Glass Ionomer cement의 비커스경도와 간접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CKER'S HARDNESS AND DIAMETRAL TENSILE STRENGTH OF HYBRID GLASS IONOMER)

  • 권균원;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505-518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water storage on the aspect of hardness and diametral tensile strengths of four hybrid glass ionomer cements(two compomers and two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s) with a resin composite material. One composite resin(Degufill Ultra), two compomers(Dyract, Compoglass Cavifil), and two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s(Fuji Duet, Vitremer) were used in this study. Cylindrical specimens were prepared and stored at $36{\pm}1^{\circ}C$ in distilled water for 10 minutes after set, and then tested on an Instron testing machine(No.4467) at 1.0 mm/min displacement rate. Vicker's hardness and diametral tensile strengths as time elapsed were measured after aging in water for 10 minutes, 1 hour, 3 hours, 1 day, 3 days, 5 days and 7 days at $36{\pm}1^{\circ}C$. During the test of diametral tensile strength, stress-strain curves were obtained, from which the compressive modulu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structure of four set glass ionomer cement mass was observed on SEM(Hitachi, S-2300) after being etched with 9.6% hydrofluoric acid for 1 min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ard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compomer and the resin reinforced glass ionomer cement) did not exceed the value of control group(Degufill Ultra). 2. Vicker's hardness of the Fuji Duet tended to increase succeedingly, Dyract was decreased after 3 hours in water, and Vitremer was the lowest. 3. The control group(Degufill Ultra) presented progressively on increased diametral tensile strength with time, Fuji Duet were decreased after 3 days, Compoglass Cavifil and Vitremer were decreased after 5 days in water storage. 4. Compressive modulus of the control group(Degufill Ultra) and Dyract were increased sharply timely, Fuji Duet and Vitremer were increased smoothly by lapse of time in water. Fuji Duet were stronger than Vitremer. On the other hand, Vitremer exhibited the lowest toughness. 5. The microstructure of compomer was similar with that of the composite resin(Degufill Ultra), and the fillers in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 cements were noticed. It can be concluded that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glass ionomer cements is weaker than composite resin, and that the compomers or the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s can not substitute the composite resins. A plenty of considerations should be done on the application of them to the area under the loading and high wear has a little adverse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n the water storage for 7 days. The further research should be needed to confirm the advantage of the compomer.

  • PDF

생물학적 탈질공정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 1. 연제품공장 폐수처리시의 세균Flora의 변동 (Dynamic Studies on the Process of the Biological Denitrification 1. Variation of Bacterial Flora in the Waste Water Treatment of Fish Meat Paste Plant)

  • 신석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98-404
    • /
    • 1984
  • 단백질 폐수처리시의 세균학적 변동을 조사하기위해 연제품 가공공장 폐수중 기계적인 세정수를 시료로 하여 회분 및 연속배양을 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활성스럿지에 의한 연제품 폐수처리에서의 BOD및 COD 제거율은 모두 $90\%$이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단백질폐수의 질산화과정에서 $NH_4-N$$NO_2-N$은 4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NO_3-N$는 별 변동이 없었다. 3. 원료폐수중의 세균을 회분배양에서 10 일간 순양해서 얻은 활성스럿지 가운데는 질산화능이 우수한 균은 나타나지 않았다. 4. 분리균 120균주 가운데서 Enterobacteriaceae가 $25\%$, Pseduomonas가 $23\%$로 이 이속이 우점종이었고 암모니아가 다량생산되는 폭기후기에는 Pseudomonas는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고 Enterobacteriaceae와 Aeromonas가 출현율이 높았다. 5. 염분요구성은 120 세주중 $50\%$$0\%,\;3\%$ NaCl, $75\%$ ASW의 식염농도하에서 생육가능한 균이었음으로 농후한 단백질폐수의 희석수로 해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역단위에서의 임목평균흉고직경과 기온 간의 관계: 안동댐 유역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 Mean DBH and Temperature at a Watershed Scale: The Case of Andong-dam Basin)

  • 문주연;김문일;임윤진;;임철희;김세진;송철호;이우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7-297
    • /
    • 2016
  • 본 연구는 안동댐 유역의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임분평균흉고직경과 기상인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NFI5)자료 중 임령, 임분평균흉고직경, ha당 본수자료를 사용해 임분단위의 평균흉고직경을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NFI6 자료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안동댐 유역 수문기상관측소 6개소와 주변지역의 Automatic Weather System (AWS)의 관측자료에서 취득한 기온 자료를 사용하여 100m 공간해상도를 갖는 상세한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지가 복잡한 산악 지형임을 고려하여 기온감률을 적용 후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보간법을 적용하여 점 형태의 기상자료를 면 형태로 재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구축된 정밀기상인자와 직경생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온 상승은 소나무에 부(-)의 영향을 주며, 참나무류인 신갈나무에는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수문기상관측소와 AWS 자료를 연계하여 세밀한 기후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유역규모의 임목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를 파악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지역규모의 산림변화 예측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llection 5와 Collection 6 Aqua MODIS07_L2 기온과 이슬점온도 산출물간의 비교 및 지상 관측 자료와의 비교 (Comparisons of Collection 5 and 6 Aqua MODIS07_L2 air and Dew Temperature Products with Ground-Based Observation Dataset)

  • 장근창;강신규;홍석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1-586
    • /
    • 2014
  •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로부터 산출된 기온과 이슬점 온도프로파일 자료는 5 km의 공간해상도로 연속적으로 지상을 감시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기존의 산출 알고리즘(Collection 5, C005)을 개선한 Collection 6(C006) MODIS07_L2 대기프로파일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버전의 알고리즘으로 산출된 Aqua MODIS07_L2(MYD07_L2) 대기 프로파일 자료로부터 획득한 기온과 이슬점 온도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전국 77 개소 정규기상관측지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기온과 이슬점 온도를 이용하여 대기수증기압을 추정하여 미기상인자 산출에 대한 MYD07_L2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C006 기온은 지상 관측 자료와 비교에서 C005 기온의 오차(ME = -1.89 K, RMSE = 4.06 K)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ME = -0.76 K, RMSE = 3.34 K). 한편, 이슬점 온도의 경우에는 C006이 C005의 오차(ME = -0.39 K, RMSE = 5.65 K)보다 크게 나타났다. MYD07_L2 산출 고도와 지상 관측지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고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대기기온감률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온의 경우 C005와 C006에서 모두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슬점 온도의 경우에는 C006에서 오차가 소폭 증가하였다(1.4%). 두 가지 버전의 MYD07_L2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수증기압을 추정한 결과, C006 자료를 이용하였을 때 다소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에 대한 C006 MYD07_L2 산출물 중 기온의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