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nguage education

Search Result 2,4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과학적 소양'의 정의를 향하여 (Toward to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Literacy')

  • 이명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487-494
    • /
    • 2009
  • Since the term, 'scientific literacy' was introduced by P. D. Hurd in 1958, it has been used as a term, representing major goals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term 'scientific literacy' was used in the statement of the summative objective of the 2007 science reformed curriculum. But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m which teachers and researchers works, the definition of the term has not been used consistently. This phenomena would be interpreted as showing limits of the term describi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term in purpose of trying to anchor the definition. In this study, the changing period was divided into before introducing the term and after. The after era was divided into the period of confusing and anchoring in the meaning, and the period of expanding the meaning. Especially, after science as intellectual ability was conceptualized in science education communities, the meaning of scientific literacy was partially confused. In current time, as the concepts of language in cognitive science influenced the use of language in science education, the trends of expending the meaning of scientific literacy has been grasped in science education community.

  • PDF

학문으로서 영어교육의 현실과 위상 : 그 카니발을 위하여 (English Education in Korea as an Academic Field: For Its Carnival.)

  • 이병민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1호
    • /
    • pp.119-143
    • /
    • 2001
  •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practices in Korea in the broad context of research and academia. Furthermore, it attempts to uncover why English education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as a field of science in English-related departments and consequently what has been neglected and what issues should be dealt with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to create a mor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society. First, the author deals with the influence of ‘folk science’ view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by touching on some widely held perceptions and issues. Second, by dealing with the alienation of English education and examining the phenomenon of seeing English education as a secondary field of science in English related departments, an attempt was made to reveal underlying epistemological dualism rooted in Asian cultures. Third, the paper deals with a critical issue related to English education: Exposure and Time. By reviewing and reinterpreting some of basic and fundamental literature with respect to language learning, exposure, and time, the author raises a new issue in English education and proposes new interpretation and an alternative more relativistic viewpoint; he also investigates what should be done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on the basis of research and science in order to deal with the needs and problems of society.

  • PDF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학습전략 연구 동향 탐색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of Learning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o-word Analysis)

  • 허영수;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5-86
    • /
    • 2021
  •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는 교육의 한 축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한국어교육의 경우 교육 내용, 교수 방법, 교재 등에 비해 학습자 연구는 미진한 면이 있었다. 이에 학습자 연구, 그중에서도 학습전략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고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도출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전략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제목에 대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관련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읽기'이고, 대상은 '중국인 유학생'과 '결혼이민자'였다. 또한, 연구 주제에 대한 서브그룹 분석 결과를 보면 주요 서브그룹이 네 개가 나타나는데 '학문 목적 읽기' 관련 그룹, '요청, 거절, 대화 등 화행' 관련 그룹, '쓰기' 관련 그룹, '어휘, 듣기' 관련 그룹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과 관련해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 분야가 '읽기, 화행' 등임을 알 수 있으며,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가 부분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다양한 분야와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비교사들이 프로그래밍 학습 시 발생시키는 오류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error data generated by prospective teachers in programming learning)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05-212
    • /
    • 2018
  • 예비교사들의 소프트웨어교육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안으로 정규 교과시간에 두 종류의 프로그래밍 도구(파이썬,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을 각각 실시하였다.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지속적으로 흥미와 성취감 및 창의성을 저해하는 요소인 각종 오류들의 종류들을 수집하고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들을 활용하면 향후 예비교사들이 초등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소프트웨어교육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들을 줄일 수 있도록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어 최적의 학습효과를 올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적으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기존 형태의 언어와 불럭을 조립하는 형태의 언어 모두에서 프로그래밍 시 가장 많은 오류를 발생시키는 유형이 논리오류(37.63%)로 가장 많았다. 또한, 두 언어에서 차이점이 많이 나타나는 세부적인 오류는 문법 등의 사용미숙, 오타 등으로 인한 단순오류가 파이썬이 14.3%, 스크래치가 3.5%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ython Instructional Model Using Robot for Elementary Students)

  • 박대륜;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7-366
    • /
    • 2018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도구는 블록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블록형 EPL은 SW 교육의 입문 도구로써 장점이 많지만 확장성에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활용한 SW 교육의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파이썬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과 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0차시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을 적용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조절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갈등 관계의 조절 및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 이원미;권연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252-126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among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The participants were 152 children(77 boys, 75 girls) and 14 preschool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peer victimiz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Child's language ability was assessed by researcher using PRES(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peer victimization was related to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Hierarchical ag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s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predicated peer victimization. Child's language ability, whose demonstrated a lower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with peer victimization.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 이연우;김소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5-106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Methods: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generation processes, resulting in three main themes and seven sub-theme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mention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e need for communication support with peers, and a lack of support from families. Second, th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was provid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and through collaborati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tailored training for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ey also call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amilies, and specialized agencie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support needed for guid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초등학생 대상 한국어 기반 Python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방안 (Development Plan of Python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Speaking Elementary Students)

  • 박기령;박소희;김준서;구덕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41-148
    • /
    • 2021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에는 주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된다. 고학년 수준에서는 블록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로 전환하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TPL은 어려운 영어 어휘와 문법으로 이루어져 있어 초등 수준에서 학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대표적인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Python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가 익숙한 학생들이 Python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개념을 중심으로 Python 예약어를 추출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는 영어 예약어들을 초등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한국어로 대체하였다. 대체한 예약어와 Python 예약어를 일대일 매핑하여 한국어를 사용하여 Python 데이터 분석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본 연구가 TPL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상상공동체 관점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동기 이해 (Understanding the Language Learner from the Imagined Communities Perspective: The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

  • 이시원;조혜원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367-402
    • /
    • 2017
  • 본 연구는 언어 학습이 실행공동체 (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학습과정이라는 전제 하에, Norton (2001)의 상상 공동체 (Imagined communities) 개념을 바탕으로 언어학습자들의 다면적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별히 기존 제2언어습득 문헌에서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미국 내 소수민족언어 (less commonly taught languages) 중 하나인 한국어 학습자의 다면적 동기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동부 소재 대학에서 한국어 강의를 수강하는 1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학습자 그룹 내에 관찰되는 상상공동체의 유형으로 K-pop 문화공동체, 직업 공동체, 한국 친인척 공동체, 민족 정체성 공동체의 네가지 유형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학습자 개개인의 상상 공동체는 언어 배경, 학습 기간, 매체 사용 등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발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승어 학습자와 비계승어 학습자 간에 지향하는 상상 공동체의 유형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기존 문헌에서 계승어 관련 동기 (heritage motivation or motivation related to heritage)라 명명되는 개념 내에도 학습자의 경험에 따라 실제로는 상이한 공동체 유형이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Animal Naming Performance in Korean Elderly: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gender, and Typicality

  • Kim, Jung-Wan;Kim, Hya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3호
    • /
    • pp.26-33
    • /
    • 2012
  • The animal naming test (ANT) is known to be influenced not only by age, gender, and education but only by ethnicity, culture, and language. Thus, population-specific norm considering these variables needs to be developed for Korean-speaking elderly. We evaluated 185 healthy elderly people with five measures. Education was the single statistically independent correlate of the total number of words ($R^2$ = .312, p = .038). After adjusting for education, there was slight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215, p = .049) between age and total number of words. Mean number of words produced was $13.71{\pm}3.09$. The production frequen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ypicality rating (r = -0.41, p < .05). The concrete and exact scoring rule could be set up in the comparison of naming performance between a normal and patient with neuro-linguistic disorder and its data could be utilized in a differential diagnosis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