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초

존 데이터 기반 수단분담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al Split Model Using Zonal Data)

  • 류시균;노정현;김지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3-12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단별 비용변수를 주요 설명변수로 활용하고 있는 현행 수단분담모형의 문제점으로서 설명변수간 높은 상관관계로 인한 다중공선성 문제와 버스노선의 가변성으로 인한 설명변수의 장래치 추정불가능성 문제를 지적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존을 설명하는 사회경제적 변수, 토지이용변수, 교통체계변수들을 설명변수로 하는 '존 데이터 기반 수단분담모형'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장래교통수요추정모형으로서 수단분담모형의 설명변수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서 목표연도별 설명변수의 추정가능성을 설정하고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존 데이터를 설명변수로 한 수단분담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수단별 비용변수를 주요 설명변수로 하는 수단분담모형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추정된 계수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서 비용변수간 높은 상관관계로 인한 다중공선성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합도 평가(우도비의 비교)를 통해서 존 데이터 기반 수단분담모형이 수단별 비용변수를 설명변수로 한 수단분담모형에 비해서 설명력이 더욱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행태의 다양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 교통모형의 개발 (The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with Taste Heterogeneity)

  • 김익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7-100
    • /
    • 1991
  • 1960년 초부터 토지이용과 교통의 상관관계를 계량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는 경제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개발된 McKinnon-Type 모형과 Mills-Type 모형, 그리고 경제학이 반영되어있지 않은 Lowry-Type 모형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이러한 연구는 각 가정의 주거입지선정과 직장선정에 있어서 취향의 다양성(taste heterogeneity)을 고려하여 있지않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Alonso(1964) 모형을 더욱 발전시켜 토지이용-교통의 일반균형 모형(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개발하였다. 이 통계적 토지이용-교통모형은 완전 경쟁하의 일반균형상태에서 주택임대료, 노동력임금, 상품가격이 내생적으로 산출되어지며, 동시에 효율적인 교통체계하에서 일반균형상태의 생산량과 생산부지 그리고 주거수와 주거부지가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내생적으로 결정한다. 이논문에서 효율적인 교통체계라함은 해당 죤에서 도로에 사용된 토지의 임대료가 교통체증비용의 전통행량에 대한 합과 동일하도록 하는 최적교통체증정도(optimal congestion level)을 유지할 수 있는 도로체계를 뜻한다. 또한 비효율적 교통체계하에서는 토지 이용에 왜곡이 생겨서 전체적 비용의 상승으로 각 국민 혹은 각 주민이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효용가치가 떨어짐을 분석할 수도 있다.

  • PDF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Establishment Model of Entrance and Exit User of Urban Railway Station)

  • 김황배;이상화;배춘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81-91
    • /
    • 2019
  • 도시철도역사 이용자는 철도역 주변의 토지이용계획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우리나라는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상태로 토지이용계획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출입구 너비를 산정하여 일부 출입구에서는 대기행렬이 발생 하거나 이용자가 거의 없는 등 편차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 출입구별 이용수요 추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도시철도역 20개소를 대상으로 출입구별 이용수요, 토지이용면적, 사회경제지표 등을 철도역 중심으로 200 m, 500 m로 조사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정립하였다. 모형의 종속변수(반응변수)를 1일, 첨두 1시간, 첨두 시간대 5분 동안의 철도역 방향별 유출입 이용수요로 설정하고, 철도역 반경 500 m, 200 m 범위의 토지용도(주거, 상업 업무, 공업, 교육, 공원) 면적과 사회경제지표(인구, 고용자, 종사자, 학생)를 독립변수(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시철도 중심 반경 500 m 내 토지용도별 이용면적을 독립변수, 철도역 1일 유출입 이용수요를 종속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모형의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이용자 및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 개선을 위해 도시철도 출입구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추후 교통약자 이용자 수를 반영하여 출입구별 이용자 수 추정, 교통약자 편의시설 적정 규모 산정 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 친화적 도로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노선대 지형 및 지역 요소를 고려한 일반국도 주행속도 예측 모형) (A Study On Context Sensitive Highway Design Based On Improved Operating Speed Prediction Methods in National Roads)

  • 김상엽;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7-33
    • /
    • 2005
  • 도로설계속도는 해당도로 규격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설계속도 결정시 개통후 차량 주행속도를 예측하여 상관성이 높도록 계획해야 하는데, 기존 일반국도 주행속도 예측 모형은 설계속도에 따른 기하구조 요인만을 고려하여 도로의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주변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 과도한 공사비 지출과 지나친 환경 파괴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주변환경요소를 고려하는 주행속도 예측모형식의 정립을 시도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일반국도의 지형 및 지역 요소를 운전자의 시각 특성과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의하였다. 둘째, 이렇게 구축한 지형 및 지역 특성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형 및 지역 별로 95% 신뢰도에서 속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섯째, 일반선형 모형(GLM)을 통하여 기하구조 요인과 지형 및 지역 요인을 모두 고려한 예측 모형식을 수립해 보았는데, R-Square가 양방향 2차로는 0.67, 양방향 4차로가 0.85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바탕으로 지형 및 지역요소를 감안한 적정 도로 설계속도 범위를 제시했다. 이 방법론에 따라 산출된 관련 설계속도 범위는 일반국도에 대해 적용할 수 있지만, 지방도등 타 도로에 대해서는 직접 적용하기 곤란하다.

GIS와 중력모형을 이용한 국토의 환경적 가치기준 평가모델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Evaluation for Land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Using GIS and Gravity Model)

  • 이동근;김재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8-85
    • /
    • 2004
  • The non-planned development of the rural area surrounding the Metropolitan area has become a social problem. The land development program until now has an aspect of not combining the spacial plan and the environmental plan. The land use and city development system based on development should change into a form that combines developing the area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overlay analysis and the gravity matrix which are ways to evaluate the value land that has a high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The research area is the town of Seonggeo-eup, Cheonan City, and the reason for selecting this area is because it is expected to be densely populated as a connected area to the Metropolitan and the development pressure, such as expanding the industrial area, is high due to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 environmental factors used in the research are the relative altitude, incline, age-class, natural degree of the ecology, classification of the land covering and the NDVI, and the research methods used are the overlay analysis of the GIS and the statistical method. The overlay analysis results showed level 1 13.2%, level 2 30.7%, level 3 47.4%, level 4 1.0%, level 5 2.4%, level 6 5.4% and so on. The gravity matrix was classified as level 1 27.0%, level 2 9.3%, level 3 58.2%, level 4 2.4%, level 5 2.3%, level 6 0.9% and so on. These results are more appropriate than current methods for plans that value the environment becaus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gravity matrix have a tendency to highly condense the environmentally valuable area. Consequently, if the spacial and environmental plans combine and therefore expand the efficient use of the land in the current state where the nation's concern in environment is getting higher, it is thought that it will contribute highl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life quality.

미래 도시성장 시나리오에 따른 수도권 기후변화 예측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Climate Variability under Various Scenarios for Future Urban Growth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Korea)

  • 김현수;정주희;김유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1-272
    • /
    • 2012
  • In this study, climate variability was predicted by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current trends scenario; SC1 and managed scenario; SC2) for future urban growth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e used the urban growth model, SLEUTH (Slope, Land-use, Excluded, Urban, Transportation, Hill-Shade) to predict the future urban growth in SMA.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urban ratio between two scenarios was the maximum up to 2.2% during 50 years (2000~2050). Also, the results of SLEUTH like this were adjusted in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to analysis the difference of the future climate for the future urbanization effect. By scenarios of urban growth, we knew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rface temperature with a maximum of about 4 K and PBL height with a maximum of about 200 m appeared locally in newly urbanized area. However, wind speeds are not sensitive for the future urban growth in SMA. These results show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future land-use changes or future urban extension in the study for th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s.

대학(大學) 마스터플렌 형성(形成)의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 정책(政策) 및 조직(組織)의 마스터플렌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하여 - (Form of Master Pla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 An Influence of Educational Policy and Managing Organization -)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9권1호
    • /
    • pp.27-36
    • /
    • 2002
  •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ampus master plan, which is influenced by Korean educational policy and managing organization, with respect to land use and block plans of buildings. It uses a case study method to periodically know specific details to form a master plan. It is found, at first, that design method of master plan was influenced by some educational policies and managing organ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econdly, design method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y master plan was not formulated until the 1960s.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med a master plan adopting radiated sector pattern for land use and a block plan in the early years of the 1970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used a squared space style with a trouble of the learned from the SNU design methods in the year 1974. A concept of axis according to topography] in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Yiosu National University was used in the 1980s. Korean Athletic Educational University used a transportation model for facilitating efficiency to use university land and making pedestrian convenient by classification with fast and slow walker's way.

도시경제모형과 교통 -토지이용모형을 결합한 대도시통합모형- (AN INTEGRATED URBAN MODEL : A COMBINATION OF AN URBAN ECONOMIC MODEL AND TRANSPORTATION-LAND USE MODELS)

  • 전명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3-63
    • /
    • 1994
  • 도시확산과 지방분권화의 시대적 추세는 도시경제 및 교통-토지이용모형의 구조에 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고밀도화로 인한 도시내 제반 경제.사 회활동이 이전보다는 훨씬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둘째, 지방분권화로 인해 대도시내 작은 지역단위별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계획 및 정책은 대도시내 공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익집단에 상이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대도시 모형은 1) 도시내 제반활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2) 도시계획 및 정책의 효과를 도시 내 세분화된 공간별, 업종별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Wilson의 모형에 도시내 중요한 경제활동인 통근과 shopping변수를 추가하여 Wilson의 모형이 대도시모형으로 이용 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Matrix Inversion과 Non-linear Programming Model의 두 가지 방법을 도입하고 그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Matrix Inversion의 경우 해 (Solution)을 찾기가 쉬워 실질적이고 승수계산과정에서 각 Round마다 승수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반면 Programming을 통한 모형의 경우 제약식의 도 입이 용이하고 목적함수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데 유리한 접근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압축도시 개발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The cases of 54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in korea)

  • 이경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5-60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압축도시 이론에서 주장하는 고밀개발, 혼합적인 토지이용과 같은 계획 요소들이 실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 변수들 중에서는 인구밀도와 직주균형비가 높을수록 대중교통 통근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압축도시 계획 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밀도 수준이 높아질 경우 대중교통 서비스를 유지하는데 있어 유리하고 또한 토지를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직장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이 줄어들고 대중교통 이용이 많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밀개발과 함께 직주균형과 같은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도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교통서비스 시설들 중에서는 도로 밀도와 지하철 유무가 대중교통 통근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의 확충이 전제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중교통 통근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밀 복합적인 토지이용 정책의 추진과 함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시설에 대한 투자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패널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교통사고분석 연구 (Traffic Accident Research Using Panel Analysis -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

  • 박준태;이수범;김도경;성정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30-136
    • /
    • 2011
  • Since out of a lot of traffic problems traffic accidents cause damage to life and properties of people, it stands out as one of traffic problems which needs improvement, and the loss due to traffic accident negatively affects not only the parties to the accident but also the national economy. Thus, continual concern of the government toward traffic safety is getting bigger and lately each local government is preparing a basic plan for traffic safety and vitalizing traffic safety policies. As expanding the responsibility and role of local governments for traffic safety, traffic safety measures which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be studied. Most of analytical methods in the existing traffic accidents prediction models with macroscopic vision focus on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local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and present a great deal of prediction error when they are applied in practi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d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in respect of macroscopic level for autonomous districts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eoul City. The model development was not based on the entire city but on the type of local land usage (development density) whose relationship with traffic accident frequency was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