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ntext Sensitive Highway Design Based On Improved Operating Speed Prediction Methods in National Roads

환경 친화적 도로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노선대 지형 및 지역 요소를 고려한 일반국도 주행속도 예측 모형)

  • 김상엽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최재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Highway design speed is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which determines highway design level. When determining highway design speed, one would estimate it utilizing the most likelihood of design speed and vehicle operating speed relationship. Existing operating speed prediction models only include highway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s on speed, which usually can not consider the impact of highway design speed on surrounding roadway environment and land use pattern. If this happens, excessive highway construction cost and huge environmental impact can occur. In this research project, a new vehicle operating speed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which can reflect the effect of surrounding roadway environment into vehicle speed predic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findings : Firstly, highway terrain types and land use pattern on national roads were classified and integrated into drivers' visual recognition pattern. This was performed using a data management software. Secondly, the developed highway terrain types and land use pattern were related to vehicle speed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vehicle speed for each different terrain and land use pattern. Thirdly.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effects of highway geometric features, terrain types, and land use patterns. For two-lane highway and four-lane highway tested in this research project, it was found that R squares were 0.67 and 0.85, respectively. Additionally an optimal highway design speed range table, based on this research project. was proposed for practical use. This table can be reliably used on South Korean national road design, but discretion is required for applying this table to other types of highways including provincial roads and municipal roads.

도로설계속도는 해당도로 규격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설계속도 결정시 개통후 차량 주행속도를 예측하여 상관성이 높도록 계획해야 하는데, 기존 일반국도 주행속도 예측 모형은 설계속도에 따른 기하구조 요인만을 고려하여 도로의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주변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 과도한 공사비 지출과 지나친 환경 파괴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주변환경요소를 고려하는 주행속도 예측모형식의 정립을 시도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일반국도의 지형 및 지역 요소를 운전자의 시각 특성과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의하였다. 둘째, 이렇게 구축한 지형 및 지역 특성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형 및 지역 별로 95% 신뢰도에서 속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섯째, 일반선형 모형(GLM)을 통하여 기하구조 요인과 지형 및 지역 요인을 모두 고려한 예측 모형식을 수립해 보았는데, R-Square가 양방향 2차로는 0.67, 양방향 4차로가 0.85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바탕으로 지형 및 지역요소를 감안한 적정 도로 설계속도 범위를 제시했다. 이 방법론에 따라 산출된 관련 설계속도 범위는 일반국도에 대해 적용할 수 있지만, 지방도등 타 도로에 대해서는 직접 적용하기 곤란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9), '국도기능분류 및 효율적 투자 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pp.95-99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건설교통부, pp.46-48
  3. 강원의(2001), '일반국도의 수행 기능 분석에 의한 적정 설계기준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53-61
  4. 김대웅.임채문(1990), '도로교통에 있어서 운전자 주시특성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8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7-25
  5. 심관보(2005), '기능재분류와 GIS-T를 이용한 도로 설계속도 적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pp.42-48
  6. 정준화.박창호(2005), '주행속도 분포 특성을 이용한 설계기준 적용 방안',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13-122
  7. 정준화(1998), '경제성을 고려한 도로 선형 설계', 건설기술정보, 제11호
  8. 최재성(2004), '국도확장사업을 위한 적정 도로설계 방안연구', 교통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교통개발연구원, pp51-69
  9. 한국개발연구원(2002), '공공투자사업의 예산관리의 효율화 방안(II), 국도건설비합리화 방안', p.199
  10. AASHTO(1994),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ashington, D.C.
  11. AASHTO(2004),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ashington, D.C.
  12. FHWA(1997) Flexibility in Highway Design, U.S. Dep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13. Fitzpatrick, K., Carlson, P. J.(2002) 'Selection of Design Speed Values', In Transpotation Research Record 179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3-11 https://doi.org/10.3141/1796-01
  14. Fitzpatrick, K., Carlson, P. J., Brewer, M. A., Wooldridge, M. D., Miaou, S. P.(2003), 'Design Speed, Operating Speed, and Posted Speed Practices', NCHRP Report 504,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4-15
  15. ITE(1992), Traffic Engeering Handbook, Fourth Edi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Washington, D.C
  16. Krammes, R. A. (2000), 'Design Speed and Operating Speed in Rural Highway Alignment Design' In Transpotation Research Record 170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68-75 https://doi.org/10.3141/1701-09
  17. McLean, J. R.(1978), 'Review of the Design Speed Concept', Australian Road Research, vol. 8, No.1. pp.3-16
  18. McLean, J. R.(1978), 'Speeds on Curves-Side Friction Factor Considerations', Internal Report AIR 200-4,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