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inari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4초

이온화 방사선 조사에 의해 얻어진 저분자 laminarin의 분자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ow Molecular Weight Laminarin Prepared by Ionizing Irradiation)

  • 최종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780-783
    • /
    • 2013
  • 저분자량의 laminarin은 항산화능과 같은 생물학적 물성이 고분자량의 laminarin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저분자화에 따른 laminarin 생물활성의 증가 원인을 밝히고자 본 논문에서는 이온화 방사선 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저분자량 laminarin의 분자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5 kDa 크기의 분자량을 갖는 laminarin을 이온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13.5, 8.5, 7, 6 kDa 크기의 저분자량 laminarin 시료들을 얻었다. 얻어진 저분자량 laminarin은 고분자량 laminarin에 비하여 낮은 polydispersity 값을 가졌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저분자화에 따른 laminarin 기능기들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Fourier-transform infrared 분석을 수행한 결과, 분자량 감소에 따라서 대부분의 기능기들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carbonyl group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Laminarin 입자의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분석으로부터 저분자량 laminarin에서 glycosidic 결합의 분해에 의한 입자 균열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laminarin과 같은 다당류의 저분자화에 따른 기능성 변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마선 조사된 저분자 laminarin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Laminarin Prepared with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현주;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6권6호
    • /
    • pp.565-568
    • /
    • 2011
  •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aminarin degraded by gamma irradiation. Because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s have been attributed to various mechanisms, different assay methods have been conducted and compar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of degraded laminarin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non-degraded. All of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aminarin degraded by irradiation was increased depending on the absorbed dose. Therefore, gamma irradi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degraded laminarin with higher antioxidant activity.

Pyrococcus furiosus의 β-1,3-glucanase를 처리한 laminarin 분해 산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 (Application of β-1,3-Glucanase from Pyrococcus furiosus for Ethanol Production using Laminarin)

  • 김동균;김은영;김유리;김중균;이한승;공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3
    • /
    • 2011
  • 갈조류 유래의 다당류인 laminarin을 기질로써 호열성 미생물인 Pyrococcus furiosus의 $\beta$-1,3-glucanase와 반응 시킨 뒤, 분해산물을 yeast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과정을 통하여 에탄올을 생산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33 kDa (297 a.a, 894 bp)의 재조합 $\beta$-1,3-glucanase를 대장균에게 발현 후 순수하게 정제 하였으며, 정제한 $\beta$-1,3-glucanase와 laminarin을 반응시킨 결과 단당을 포함하여 oligo당 형태로 분해됨을 TLC와 HPLC로써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해산물을 에탄올 생산 배지의 유일한 탄소원으로써 첨가하여 yeast를 배양한 결과 48시간뒤에는 세포 외로 최소 0.3%의 알코올을 생산함을 gas chromatography로써 확인하였다. 따라서 $\beta$-1,3-glucanase와 laminarin의 최적 분해반응 및 yeast의 최적 알코올 발효 조건을 확립한다면 본 연구의 방법을 이용한 해조류로부터의 bio-ethanol의 생산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으리라고 판단된다.

감마선 조사와 푸코이단/라미나린 병용처리가 돈육 패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Fucoidan/laminarin on Ready-to-eat Pork Patty)

  • 김현주;최종일;박진규;송범석;김재훈;윤요한;김천제;신미혜;변명우;이주운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4-39
    • /
    • 2009
  • 저급미역에서 추출한 푸코이단/라미나린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돈육 패티에 이를 첨가하여 품질평가를 하였다. 푸코이단/라미나린 첨가 돈육 패티의 지질산패도를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효과적으로 패티의 지질산화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사선량에 따라 지질산화 억제 효과가 증진하였다. 감마선 조사한 돈육 패티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시료 무첨가구와 라미나린 첨가구는 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푸코이단 처리구의 경우 패티의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돈육 패티에 푸코이단/라미나린을 첨가 하였을 때 패티의 보수성이 증가하여 경도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마선 조사와 푸코이단/라미나린 병용처리는 패티의 미생물을 제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감마선 조사와 이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한 푸코이단/라미나린을 병용처리 하였을 때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을 개선시켜 식품산업에서의 천연 항산화제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갈조류의 알긴산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에 관하여 (SEASON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ROWN ALGAE WITH SPECIAL REFERENCE TO ALGINIC ACID)

  • 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82
    • /
    • 1969
  • The present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making clear the fundamental features of the seasonal variations in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rown algae. Three species of samples, Ecklonia cava, Sargassum sagamianum and Hizikia fusiforme have been analyzed monthly for their contents of total ash, crude protein, alginic acid, mannitol, and laminarin over a year period. Three kinds o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ame locality, situated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Che-ju Island, from September 1966 to August 1967. In addi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on fronds and stipes of the plant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general, the three species examined underwent a similar mode of seasonal variation, and no essential difference was detected among them. 2.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lant exhibited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es. The content of total ash in H. fusiforme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in the two other species respectively. The alginic acid content was relatively high in S. sagamianum and low in H. fusiform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mannitol and laminarin were appreciably high in E. cava and low in H. fusiforme in general. 3.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n the seasonal variation was that, in general, the total ash, crude protein, and alginic acid contents were at a maximum in the winter months while laminarin and mannitol contents were at a minimum. The converse was true in summer. Total ash-Maximum values were observed from December to February and minimum from August till October. Crude Protein-All species exhibited maxima in January and February, and minima from August to October. Alginic acid-Maximum contents occured from January to March and minimum from September to November. Mannitol-The maximum content of mannitol was In May and lune and minimum in January, February and March. Leminerin-Maximum content was in September and October, and minimum in January and February. 4. The wide seasonal variation in chemical constitution occured in the fronds, but the stipes showed a slight season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stipe was high in alginic acid, low in mannitol and laminarin. The reverse was in the frond.

  • PDF

초고온 고세균 Thermococcus pacificus P-4로부터 내열성 β-glucosidase의 새로운 기질 특이성 (Novel substrate specificity of a thermostable β-glucosidase from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Thermococcus pacificus P-4)

  • 김윤재;이재은;이현숙;권개경;강성균;이정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8-74
    • /
    • 2015
  • Thermococcus pacificus P-4의 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하여 예측되는 GH1 ${\beta}$-glucosid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동정하였다. 그 유전자는 487 아미노산들을 암호화하는 1,464 bp 나타내었으며, 그 아미노산 서열은 Pyrococcus furiosus ${\beta}$-glucosidase와 77%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그 유전자는 Escherichia coli 시스템 내에서 복제 및 발현하였다. 재조합 된 단백질은 금속 친화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정제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제된 단백질(Tpa-Glu)은 pH 7.5와 $75^{\circ}C$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열안정성은 $90^{\circ}C$에서 약 6시간의 반감기를 보였다. Tpa-Glu는 pNP-${\beta}$-glucopyranoside, pNP-${\beta}$-galactopyranoside, pNP-${\beta}$-mannopyranoside, 그리고 pNP-${\beta}$-xylopyranoside 순으로 우수한 $k_{cat}/K_m$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Tpa-Glu는 ${\beta}$-1,3-linked polysaccharide (laminarin) 그리고 ${\beta}$-1,3-와 ${\beta}$-1,4-linked oligosaccharides에 대하여 exo-hydrolyzing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초고온 고세균으로터 ${\beta}$-glucosidase가 exohydrolyzing 활성을 처음 확인한 것으로 이 효소는 laminarin의 당화공정에 ${\beta}$-1,3-endoglucanase와 함께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sarium moniliforme이 생산하는 효모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yeast cell wall lytic enzyme from Fusarium moniliforme)

  • 장판식;박관화;이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67-471
    • /
    • 1986
  • Fusarium moniliforme으로부터 순모세포벽 분해효소를 생산하고 분리, 정제하여 효소특성 및 protoplast 제조실험을 하였다. Ammonium nitrate를 0.2% 첨가한 Baker's yeast 배지에서 7일간 진탕배양으로 효소를 생산한 후 Ammonium sulfate로 분획하고 Sephadex(G-10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세개의 peak를 얻었다 첫 번째 peak는 proteolytic, lytic activity 및 laminarin 분해력가를 보였으며, 두 번째 Peak는 lytic activity와 laminarin 분해력가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으며, 세 번째 peak는 lytic activity만을 가지고 있었다. 분리된 세개의 peak를 혼합하였을때 개개의 peak보다 훨씬 높은 역가을 나타내어 상승효과를 보였고 또한 환원제에 의한 효소력가의 상승효과도 있었다. protoplast 수율은 99.2%정도였다

  • PDF

Rhizopus japonicus 에 의한 Ginsenoside $Rb_1$ 전환효소의 생산조건 (Production of the Convertible Enzyme of Ginsenoside $Rb_1$ by Rhizopus japonicus)

  • 김상달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4
    • /
    • 1989
  • 인삼 saponin중 조성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 Rb1만을 약효면에서 보다 우수한 ginsenoside Rd로 선택적 전환시킬 수 있는 Rhiz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해서 인삼 saponin 전환효소의 최적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Wheat bran 배지를 기본으로 할 경우 배양 5일에 가장 많은 효소가 생산되었으며, 인삼류의 천연유기물중에는 홍삼분말을, 저급당류중에는 xylose를, 다당류중에는 laminarin을 flavonoids중에는 naringin을, 질소원중에는 beef extract와 $KNO_3$를 첨가할 경우 인삼 saponin 전환효소가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PDF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의 arginine kinase 유전자 분석 및 발현 패턴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sequence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the arginine kinase gene in response to laminarin challenge from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 정지은;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79
    • /
    • 2013
  • 동양달팽이의 arginine kinase 유전자는 염기서열 1065개로 이루어져있으며 35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BLAST 결과를 토대로 유사도가 높은 25개의 참고 서열과 동양달팽이의 arginine kinase의 아미노산 서열을 MEGA5 프로그램의 clustalW 모듈을 이용하여 multiple sequence alignment 를 수행한 결과, 연체동물문에 속하는 복족강 (5종), 두족강 (5종), 이매패강 (4종) 등에 속하는 생물들이 같은 군으로 묶였으며, 절지동물문 곤충강 에 속하는 나비목 (2종), 벌목 (1종), 노린재목 (2종) 등에 속하는 생물들이 같은 군으로 묶이고, 갑각강 (5종), 거미강 (1종) 에 속하는 생물들이 묶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sipred 소프트웨어를 통해 2D 구조를 비교 분석한 결과도 multiple align 및 phylodendrogram 결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arginine kinase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control에 비하여 6시간에서 약 1.2배 정도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2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를 통해 밝혀진 N. samarangae 의 Ark 서열은 근연종들의 서열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무척추동물에서의 선천성 면역 관련 유전자 연구에 동양달팽이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