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culture,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3초

가루녹차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 정다와;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skim milk 배지에 Streptococcus tho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 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0.5\%,\;1.0\%,\;1.5\%,\;2.0\%\;and\;2.5\%$)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고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 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었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가루녹차 $0.5\%$$1.0\%$ 첨가시, 배양 15시간 후에 각각 $1.5\times10^9$ CFU/mL, 또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0.5\%$ 첨가시 배양 12시간 후 $1.4\times10^9$ CFU/mL, $1.0\%$ 첨가시에는 배양 15시간 후에 $1.5\times10^9$ 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시 가루녹차를 $0.5\~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용 요구르트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요구르트의 생화학적 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iochem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Yogurts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containing Yogurt)

  • 류재기;이형선;구본경;김현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59-64
    • /
    • 2015
  • Lactobacillus spp.같은 유산균은 탄수화물을 발효하여 ATP를 생성하며, 시판되는 요구르트 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Lactobacillus spp.는 장관계 건강에 유익한 균으로, 특히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함유하는 요구르트는 대장암 초기단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형 요구르트와 액상 요구르트, 그리고 Lactobacillus acidophilus 세 그룹의 유산균을 배양하였다. 먼저 Lactobacillus spp.의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였고 세 그룹의 생장능과 젖산생성을 비교하기 위해 혼탁도와 pH를 측정하였다. 배양 상층액의 젖산을 비교하기 위해 HPLC를 시행하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spp.의 최적의 배양조건은 $25^{\circ}C$의 온도로 MRS배지에서 24시간 배양이었다. 혼탁도와 젖산 생성은 L. acidophilus가 가장 높았고 액상 요구르트, 고형 요구르트 순으로 나타났다. Paper disk법을 이용한 항균력 시험에서는 S. aureus에 대해서는 세 그룹 모두 항균력이 없었으며 E. coli에 대해서는 L. acidophilus에서 1.8 mm의 억제대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로 L. acidophilus는 높은 젖산 생성 능력과 항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Evaluating Commercial Spray Applications of Lactic Acid, Hot Water, and Acidified Sodium Chlorite for the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n Beef Carcasses

  • Kang, Dong-Hyun;Lee, Sun-Young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2권1호
    • /
    • pp.55-6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actic acid spray, hot water spray, or their combined treatment, as well as the effects of acidified sodium chlorite (ASC), for the decontamination of Escherichia coli on beef carcass surfaces using a commercial intervention system. With this system, the effects of 2 or 4% lactic acid (v/v), hot water ($89{\pm}1^{\circ}C$), or their combined treatment, were examined in terms of reducing inoculated E. coli. ASC (266 ppm), which was adjusted to pH 2.5 using acetic acid or citric acid, was applied using a hand-held spray system. When the beef carcasses were treated with 2 or 4% lactic acid for 10.4 s, less than 1 log reductions of inoculated E. coli were observed. A hot water spray treatment for 9.8 s resulted in a 2.1 log reduction of inoculated E. coli. However, when the hot water was followed with either 2 or 4% lactic acid, no difference in E. coli reduction was found between the hot water alone or the combined treatment with lactic acid. When ASC was adjusted to pH 2.5 with acetic acid and citric acid, 3.8 and 4.1 log reductions of E. coli were observed, respectively. Overall, the lactic acid spray treatment was least effective, and the ASC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for the E. coli decontamination of beef carcasses.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ASC would be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against E. coli than most of the methods currently being used. However,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SC on other organisms, as well as to identify application methods that will not affect meat quality.

  • PDF

김치유래 Lactic acid bacteria에 의한 양배추 즙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임혜은;오유리;김나영;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0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sakei SL1103, Lactobacillus plantarum LS5, and mixed starter). Cabbage juice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at 30 for 72 hrs.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number, pH, titratable acidity, Brix, and color during fermentation were analyzed. After fermentation for 24 hrs,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9.45 log CFU/mL). The pH of all cabbage juice also decreased to 3.88~4.19 sharply, while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 sakei SL1103 showed the highest Brix ($8.38^{\circ}Bx$).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L value (56.83). In the sensory evaluation, cabbage juice fermented by a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cabbage juice as an excellent bioactive functional food.

더덕 추출물이 마크로파지 활성과 발효 중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on Macrophage Activity and on the Growth of Lactic Starter Culture during Fermentation)

  • 임상동;김기성;도정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6-143
    • /
    • 2006
  • 더덕의 마크로파지 활성 효과를 평가하고, 발효유에 첨가 할 경우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NO 분비능과 $IL-1{\alpha}$는 더덕 열수 추출물을 $1,000\;{\mu}g/mL$ 첨가하였을 때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TNF-{\alpha}$는 더덕 열수추출물 및 알콜 추출물 공히 $1,000\;{\mu}g/mL$ 첨가하였을 때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마크로파지 활성은 더덕 알콜 추출물 보다 열수 추출물이 더 높았다. 더덕 열수 추출물이 젖산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더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성장이 억제되었고, pH는 완만히 감소됨에 따라 발효유에 더덕 열수 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Set type보다는 Stirred type이나 Drink type으로 해야 발효유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마크로파지 활성과 우유의 발효 중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on Macrophage Activity and the Growth of Lactic Starter Culture during Fermentation)

  • 임상동;김기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9-495
    • /
    • 2007
  • 가시오가피의 마크로파지 활성 효과를 평가하고, 발효유에 첨가할 경우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가시오가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마크로파지 활성은 증가하였고, 특히 $1,000\;{\mu}g/mL$ 첨가하였을 때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열수추출물은 70% 알콜추출물보다 NO 분비능이 더 높은 반면, $IL-1{\alpha}$$TNF-{\alpha}$는 알콜추출물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가시오가피 열수추출물이 젖산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가시오가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성장이 억제되었고, pH는 완만히 감소됨에 따라 발효유에 가시오가피열수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Set type보다는 Stirred type 이나 Drink type으로 해야 발효유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당의 종류와 호소처리가 분리대두단백으로 제조한 대두요구르트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weeteners and Enzyme Treatments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Soy Yogurt Containing Soy Protein Isolate)

  • 이숙영;오경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8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SPI) and to examine the quality attributes of soy yogurt prepared by different enzyme treatments, sweeteners and starter cultures. Enzyme treatment increased the solubility and emulsifying capacity of soy proteins, but decreased the emulsifying stability; the enzymatic activity of ${\alpha}$-chymotrypsin was higher than that of trypsin. Enzyme treatments decreased the pH of soy yogurts prepared by both culture methods, the culture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and the culture of L. bulgaricus and K. fragilis, but in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total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Trypsin was more effective than ${\alpha}$-chymotrypsin in decreasing pH and increasing titratable acidity and total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Fructose decreased the pH of soy yogurts more than sucrose in the culture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and vice versa in the culture of L. bulgaricus and K. fragilis. Fructooligosaccharides were more effective in the culture of L. bulgaricus and K. fragilis than in the culture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in increasing the titratable acidity, total coun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 sensory evaluation, soy yogurts containing trypsin treated SPI, fructose and fructooligosaccharides (75%:25%) were more acceptable than those containing untreated or trypsin treated SPI and fructose. This was because of more smooth and less sour, in which the values of pH, titratable acidity, microbial growth, and viscosity were in the range of commercial yogurts. Soy yogurts fermented by L. bulgaricus and K. fragilis showed more smooth mouthfeel than those fermented by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 PDF

Analysis of Vaginal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in Healthy Women

  • Nam, Hye-Ran;Whang, Kyung-Hee;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6호
    • /
    • pp.515-520
    • /
    • 2007
  • Vaginal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of 80 pre-menopausal women were studied by isolation on Blood and DeMan-Rogosa-Sharpe agar, PCR with group-specific primers for Lactobacillus-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PCR with specific primers for V3 region in 16S rRNA-temporal temperature gel electrophoresis (TTGE). Conventional isolation method on media detected only one lactobacillus (Lactobacillus brevis) while TTGE detected only Lactobacillus sp. DGGE detected seven Lactobacillus species; L. coleohominis, L. crispatus, L. iners, L. reuteri, L. rhamnosus, L. vaginalis, and Leuconostoc lactis. L. acidophilus and L. gasseri, which are prevalent in Western women, were not detected in Korean women. Furthermore, L. rhamnosus, Leuc. lactis, L. coleohominis, and Weissella cibaria, which were not previously reported in the vaginal microbiota of Korean women, were detected. The five most prevalent LABs in vaginal microbiota in Korean women were L. iners, Enterococcus faecalis, L. crispatus, Leuc. lactis, and W. cibaria.

한국 재래식 간장덧 발효시 대두 자숙 폐액 첨가가 젖산발효 촉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Boiling Waste Liquor on the Enhance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during Korean Traditional kanjang Mash Maturing)

  • 최청;임무혁;최종동;정현채;김영호;이춘우;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01-207
    • /
    • 1998
  • 재래식 간장의 맛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두 자숙액, 당 및 젖산균과 효모를 접종하고 자연조건에서 발효시키면서 젖산발효와 알코올발효 효과를 조사하였다. 젖산균과 효모 접종구에서 젖산의 생성량이 2.9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간장 덧에 당만을 첨가한 구에서 2.38%, 대두 자숙액 만을 첨가한 대조구에서 2.05%로 나타나 모든구의 간장에서 젖산발효의 효과가 있었으나, 알코올은 모든 처리구에서 소량 검출되어 젖산균에 의해 생성된 초산 때문에 효모의 생육이 저해되어서 알코올발효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에서도 젖산균과 효모 접종구와 당 첨가구가 우수하였다.

  • PDF

방사선중합체로 고정화된 Rhizopus oryzae의 유산생성 (Production of L(+)-Lactic Acid by Rhizopus oryzae after Immobilization in Polymer Supports with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

  • 양재승;타마다
    • KSBB Journal
    • /
    • 제6권4호
    • /
    • pp.403-406
    • /
    • 1991
  • 방사선 중합체로 고정화한 Rhizopus oryzae의 유산생성 방사선 공중합 고분자로 Rhizopus oryzae를 흡착 고정화하였다. 이 고정화 균체는 고정화하지 않은 생균체보다 반응시간도 짧았으며 제품수율도 아주 높았다. 즉 글루코스를 주 탄소원으로 한 경우 고정화 하지 않은 균체 배양은 반응후 96시간에 탄소원을 거의 소비하고 유산생성 수율이 약60%에 다다랐으나 고정화 균체는 반응후 48시간 안에 수율이 약 88%이상으로 되었다. 또 중합체 중 모노머의 비율이 5-10%의 것이 고정화에 좋은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