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bacteria

검색결과 2,445건 처리시간 0.025초

유산균을 함유한 알긴산 미세입자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ncapsuled with Alginate Microsphere)

  • 최창용;강성구;박석규;장미경;나재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54-1759
    • /
    • 2007
  • 해조류에서 추출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는 alginate를 유산균 담지체로 하여 유산균을 담지한 결과, 아주 작은 구형의 유산균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유산균 미세입자는 위에서는 전혀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산균을 안정하게 담지하고 있다가 대장에서 분해가 됨으로써 유산균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유산균 미세입자는 위에서 유산균의 사멸을 방지하므로서 효과적으로 대장까지 전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산균 미세입자는 유산균의 자체효과 외에 유산균을 담지하기 사용된 alginate와 코팅제로 사용된 키토산의 유용한 생리 활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다기능성 유산균 미세입자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매실 추출물이 김치 유산균의 성장과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unus mume Sie. extra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preservation of kimchi)

  • 채명희;최재순;박경남;최우정;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2-297
    • /
    • 2002
  • 매실 추출물의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 0.5%, 1% 농도의 매실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1%, 3%의 매실 추출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숙성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매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유산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 숙성 중 pH, 산도, 총균수, 유산균수, 색상, 기호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매실 추출물 첨가구의 경우 pH 감소속도는 완만하였으며 산도 증가도 낮게 나타났다. 매실 첨가에 의한 김치 숙성 중 유산균수의 변화는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숙성 25일째 유산균수가 6 log cycle 이상을 나타내어 숙성에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매실 추출물 1% 첨가구는 김치의 맛, 향, 색상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으면서 신맛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실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김치는 본래의 맛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고 또한 정장작용이 확인되고 있는 김치 유산균과 매실 내에 함유된 여러 가지 유기산을 함께 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김치의 품질을 한 단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 김현수;함준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6-192
    • /
    • 2003
  • 최근 항산화제 연구는 식품, 의약품, 농업분야 등 다방면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산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항산화제가 약한 활성, 독성 및 사용상의 한계로 인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강한 활성을 지닌 천연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활성산소 제거능력이 향상된 유산균은 식품산업에 중요하며 인간 장내 외인성, 내인성 산화적 스트레스 제거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제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생물학적 기능연구 및 질병모델계에서의 효능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항산화제의 효능검정 및 항산화제 작용 메커니즘 등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물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항미생물 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ul-Kimchi)

  • 김선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3-266
    • /
    • 2005
  • 전남 목포시의 각 가정에서 담근 물김치에서 총 24균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유산균 중 5균주가 인공 위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하였고, 특히 물김치로부터 동정된 유산균 MUL-2, MUL-4, MUL-18은 인공위액에서 3시간 배양 후에도 초기 생균수에 비해 변화가 거의 없어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분리 유산균은 병원성 미생물인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Staphyr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Sa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뚜렷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었다.

Toxic Effect of Endocrine Disruptors on the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 Kim Su Won;Kim Jin Sik;Ryu Hye Myung;Nam Jin Sik;Cheigh Hong Sik;Min Byung Tae;Park Soo Hyun;Yoo M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3-406
    • /
    • 2004
  • Environmental endocrine disruptors (EDs) are toxic, hormone-like chemicals which can be found in our normal daily life. We have examined if EDs can inhibit the monocellular microorganisms such as lactic acid bacteria or if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could be resistant to the endocrine disruptors. We have used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KCTC No. 3165) as an experimental strain and bisphenol A, benzophenone and phenylphenol for the comparison purpose. Experiments included the evaluation of turbidity, absorbance and actual cell counts. We found that No.3165 was somewhat resistant to EDs naturally,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EDs could inhibit the growth of No. 3165 completely. Different EDs showed different spectrum of inhibit.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resistant lactic acid bacteria to EDs and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ermented beverage.

  • PDF

Screening of Conjugated Linoleic Acid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Fecal Samples of Healthy Babies

  • Ham, J.S.;In, Y.M.;Jeong, S.G.;Kim, J.G.;Lee, E.H.;Kim, H.S.;Yoon, S.K.;Lee, B.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7호
    • /
    • pp.1031-1035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r further study on the enzym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CLA which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nd on the development as a probiotic culture. Total 34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19 feces samples of healthy babies. CLA forming ability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by the modification of linoleate 12-cis, 11-trans-isomerase activity measuring method, and CLA of the cultures were extracted, methylated, and examined by HPLC analysis. CLA methyl ester of only one culture showing the highest value of CLA forming ability could be detected by HPLC analysis. The culture was found to be Gram positive, rods and catalase negative. It grows at $45^{\circ}C$ but not at $15^{\circ}C$, and was identified to be Lactobacillus fermentum on the basis of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substrates. These results provide an efficient experimental method to screen CL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ow Molecular Weight(LMW) RNA Profiles에 의한 젖산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Meat by Low Molecular Weight(LMW) RNA Profiles)

  • 차원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81-685
    • /
    • 1992
  • 돼지고기에서 분리한 bacteriocin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진 몇가지 젖산균을 참고균으로 하여 10% denaturing 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으로 전개한 5S rRNA 와 tRNA 등 150개 이하의 핵산으로 구성된 저분자량 RNA(Low Molecular Weight RNA : LMW RNA) profiles에 나타난 15~25개의 밴드 양상이 균에 따라 차이점을 보여 동정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새로 분리한 젖산균은 참고균과는 다른 균종이었다. APT, TSB, MRS의 3종류 다른 배지에서 배양하여도 LMW RNA profiles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겔상의 밴드 전개거리를 3개의 표준 분자량 물질을 이용하여 만든 표준곡선을 사용하여 상대핵산단위(relative nucleotide units : RNU)로 나타낸 밴드의 양상을 도표화 하는 것이 profiles를 서로 비교 하는데 편리하였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ble Lactic Acid Bacteria

  • Yeo, Han-Cheol;Jang, Jin-Young;Park, Hyeong-Jun;Min, Byung-Tae;Yoo, Min
    • Quantitative Bio-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25-132
    • /
    • 2018
  • In this study, nobl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genetic analysis of 16s rRNA. Also, pH-dependent growth curve, cholesterol assimilation ability and sugar production efficiency were measured. Lactic acid bacteria were identified to inhabit in the milks from various animals. Results of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16S rRNA sequence among strains and part of gene deletion was also recognized. Growth rates were varied, too, depending on the pH of the medium. Lactobacillus rhamnosus LOCK908 isolated from cow milk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and high cholesterol assimilation ability. Results of sugar fermentation tests were relatively consistent with the sequencing results. So, we propose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rhamnosus LOCK908 as useful candidate for a starter of fermented beverage and probiotics.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ble Lactic acid bacteria and to the public health.

쪽파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llium wakegi)

  • 김길하;;;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26-137
    • /
    • 2023
  • 본 연구는 쪽파(A. wakegi)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고, 이 균으로부터 얻어진 배양 상징액이 병원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먼저 분리된 유산균으로부터 얻어진 배양 상징액에 대해서 병원성균인 E. coli KCCM 11587, E. coli KCCM 11591, E. coli KCCM 11596, E. coli KCCM 11600, S. Enteritidis NCCP 16947, S. Thompson NCCP 11704, 그리고 S. Typhimurium NCCP 16960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유산균 배양액은 병원성균에 대하여 현저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항균활성은 배양 상징액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에 대하여 얻어진 배양 상징액의 pH 변화와 열의 변성에 의하여 같은 항균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하였다. 즉, 배양 상징액을 pH 7로 조정하여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얻어진 배양 상징액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유기산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배양 상징액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는 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와 같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얻어진 유산균 배양액은 열에 대하여 안정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남은 음식물 발효를 위한 내염성 유산균의 분리 (Isolation of Halototlerant Lactic Acid Bacteria for Fermentation of Food Wastes)

  • 양시용;박홍양;김창원;박근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40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solation of halotolerant lactic acid bacteria for fermentation of food wastes. 5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Among isolated strains, the strain 5-2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food wastes containing medium. The selected strain 5-2 was identified as Pediococcus acidilactici based on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