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ctic bacteria

Search Result 2,4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dditive Effects of Green Tea on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and the Fermentative Quality of Rhodesgrass Silage

  • Burrenok, Smerjai;Tamaki, Masanobu;Kawamoto, Yasuhiro;Nakada, Tada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20-924
    • /
    • 2007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 laboratory scale. The first involved a study of the effect of green tea on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FJLB was treated with 50 g/L of green tea products as follows: new shoot powder (FJLB+N), leaf powder (FJLB+L), commercial powder (FJLB+P), sterilized new shoot powder (FJLB+SN), sterilized leaf powder (FJLB+SL) or sterilized commercial powder (FJLB+SP). FJLB without any additive was also prepared (Untreated FJLB). After incubatio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FJLB were studied. Subsequently, these FJLB were applied at 10 ml/kg to chopped rhodesgrass to study their effects on fermentation. Compared with untreated FJLB, the addition of green tea increased (p<0.05)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also aerobic bacteria counts in FJLB. At 60 d of ensiling, all the FJLB treated silages were well preserved, pH and butyric acid content were lower (p<0.001) and lactic acid was higher (p<0.001) than that of the control. Lac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with treated FJLB than with untreated FJLB. FJLB treated with sterilized green tea decreased (p<0.001) the pH and the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p<0.001) than that in the unsterilized green tea silages.

젖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Ge-132의 영향 (Effect of Germanium-132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Park, Seok-Kyu;Lee, Sang-Won;Takafumi Kasumi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6-513
    • /
    • 1999
  • 유기게르마늄(Ge-132, carboxyethylgermanium)에 의한 22가지 젖산균의 성장 효과를 0.01~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 액체배지에서 조사하였다. 시험한 대부분의 젖산균은 고농도의 게르마늄에서도 내성이 있었고, 게르마늄의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게르마늄이 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배지에서 Lactococcus factis, Lc. cremoris, Lc. diacetilactis, Enterococus faecium 및 Streptococcus faecalis는 2배 이상 생육촉진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Pediococcus pentosareus는 저해를 나타내었다. Lc. lactic와 Lc. cremoris의 경우, 배양액의 점도는 게르마늄이 첨가된 GPYS배지에서 급격히 증가되었지만, 장시간 배양에 의해서는 약간 감소되었다. 그러나 Lc. diacetilactis, E. faecium와 S. faecalis의 경우, 게르마늄의 첨가에 의하여 생육은 현저하게 촉진되었지만, 배양중의 점도는 증가되지 않았다.

  • PDF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소다 크레커의 최적 스폰지 발효를 위한 혼합젖산균의 선별 (Selection of Mixed Lactic Acid Bacteria for Optimal Sponge Fermentation of Soda Cracker)

  • 김상용;이병돈;김정민;임동준;김우정;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0-155
    • /
    • 1997
  • 소다 크레커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대부분 젖산균인 Lactobacillus의 속이므로 약 20종의 기존에 분리된 Lactobacillus속의 미생물들을 스폰지 발효에 사용하였고, 이중에서 발효후 이취가 없고 총적정산도가 높은 6종의 젖산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젖산균은 소다 크레커의 스폰지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젖산균으로 보고된 L. brevis, L. delbrueckii, L. fermentum, L. leichmanii와 L. plantarum 등 5종과 San Francisco sour bread의 주요 젖산균인 L. sanfrancisco이었다. 선별된 6종의 젖산균을 10%의 밀가루 용액에 접종하여 스폰지 발효 동안의 pH, 총적정산도 및 유기산(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L. brevis, L. fermentum과 L. plantarum의 pH는 많이 저하하였고 총적정산도는 많이 증가하였으며 L. delbrueckii의 경우는 유기산이 빨리 생성되었고 주 유기산인 acetic acid를 비교적 많이 생성하여 혼합균주의 조합으로 사용하였다. 4가지 균주의 여러 가지 조합중 L. brevis, L. fermentum과 L. plantarum의 혼합젖산균을 사용한 결과 총적정산도의 상승과 pH의 저하와 acetic acid의 생성력이 가장 뛰어나 이 혼합젖산균을 최적 스폰지 발효를 위한 가장 좋은 혼합젖산균으로 선택하였다.

  • PDF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마늘 고체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id-fermentation Garlic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6-452
    • /
    • 2016
  • 마늘(Allium sativum L.)은 많은 아시아 지역의 나라에서 민간요법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국내 전통채소류들은 다양한 기능성과 강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고체마늘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늘 고체 발효를 위해 유산균을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분리 및 KCTC로 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발효유산균 선별은 MRS 고체배지에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마늘 착즙액에 저항을 보이며 증식하는 유산균을 선택하였다. 선별된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고체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731.0-845.2 ug/g과 92.68-413.58 ug/g로 각각 조사되었다. 그리고 DPPH 라디컬 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양성대조구인 비타민 C 50 ppm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당뇨 활성인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유산균 발효마늘에서 양성대조구인 acarbose 50 ppm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산균 발효 마늘의 생리학적 활성을 증대를 통해 향후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발효 마늘의 개발을 위해 유산균을 활용이 가능하며, 발효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음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곰팡이 생육 및 곰팡이 독소 생산의 억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역할 (The Role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Control of Fungal Growth and Mycotoxins)

  • 김지후;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128-1139
    • /
    • 2020
  • 최근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서 식품과 농산물에 Aspergillus, Fusarium 및 Penicillium속에 해당하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고 이들에 의해 생성되는 aflatoxins, fumonisins, ochratoxins, patulin, trichothecenes, zearalenone등의 곰팡이 독소로 인해서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고 또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으로 인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온산 및 소브산과 같은 보존료에 대한 거부감이 증가하고 있어 천연의 소재로부터 이를 대체할 만한 항진균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총설에서는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유산균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유산균은 저분자 화합물인 유기산, reuterin, 단백질 유래 화합물, 하이드록시 지방산, 페놀 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대사산물을 통하여 곰팡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으며, 또한 유산균의 세포벽 구성성분과의 흡착, 곰팡이 독소의 분해 및 곰팡이 독소의 생산 저해 등을 통하여 곰팡이 독소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있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유산균은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산을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 갖추고 있으므로, 유산균은 식품에 있어서 곰팡이의 생육을 조절하는 소재로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biotication of Tomato Juice by Lactic Acid Bacteria

  • Yoon Kyung Young;Woodams Edward E.;Hang Yong D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15-318
    • /
    • 200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omato juice as a raw material for production of probiotic juice by four lactic acid bacteria (Latobacillus acidophilus LA39, Lactobacillus plantarum C3, Lactobacillus casei A4,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D7). Tomato juice was inoculated with a 24­h-old culture and incubated at $30^{\circ}C$. Changes in pH, acidity, sugar content, and viable cell counts dur­ing fermentation under controlled conditions were measured. The lactic acid cultures reduced the pH to 4.1 or below and increased the acidity to $0.65\%$ or higher, and the viable cell counts (CFU) reached nearly 1.0 to $9.0\times10^9/ml$ after 72 h fermentation.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four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tomato juice ranged from $10^6\;to\;10^8\;CFU/ml$ after 4 weeks of cold storage at $4^{\circ}C$. Pro­biotic tomato juice could serve as a health beverage for vegetarians or consumers who are allergic to dairy products.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on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Total Mixed Ration

  • Choi, Yeon Jae;Lee, Sang Su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2-140
    • /
    • 2019
  •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TMR) is a novel feed for ruminant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on the quality of TMR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Strains of three LAB spp. (Lactobacillus plantarum, L. brevis, L. mucosae) were used in fermentation of TMR. Inoculations with the three LAB spp. lowered pH an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mpared to non-LAB inoculated control (only addition of an equivalent amount of water) (p<0.05). Bacterial composition indicated that aerobic bacteria and LAB were higher. However, E. coli were lower in the fermented TMR than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 (p<0.05). Among the treatments, L. brevis treatment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acid without fungus detection. Gas production, pH, and ammonia-nitrogen during ruminal in vitro incubation did not differ throughout incubation. However, ruminal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5) in the LAB sp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treatment at 48 hours. Overall, the use of L. brevis as an inoculant for fermentation of high moisture. TMR could inhibit fungi growth and promote lactic fermentation, and enhance digestion in the rumen.

Fermentative Quality of Guineagrass Silage by Using Fermented Juice of the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as a Silage Additive

  • Bureenok, S.;Namihira, T.;Tamaki, M.;Mizumachi, S.;Kawamoto, Y.;Nakad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807-811
    • /
    • 2005
  • This experimen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prepared by the addition of glucose, sucrose and molasses as a fermentation substrate. The effect of FJLB on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during fermentation of guineagrass silage were also investigated. The pH value of the silages treated with FJLB rapidly decreased, and reached to the lowest value within 7 days of start of ferment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the treated silages increased for the first 3 days, thereafter the number of LAB declined gradually up to the end of the experiment. Silages treated with FJLB had larger populations of LAB than the control. Ammonia-nitrogen production increased throughout the ensiling period, which in the control and no-sugar added FJLB silages were higher than the other treated silages. Lactic acid levels varied with the time of ensiling and among the silage treatments. For any sugar FJLB treated silages, the lactic acid increased initially, and then slightly reduced to less than 50 g/kg of dry matter until 49 days after ensiling, except the silage treated with glucose added FJLB. Nevertheless, lactic acid content of the control decreased constantly from the beginning of ensiling and was not found after 35 days. Moreover, acetic acid content increased throughout the ensiling period. All the FJLB treated silage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pH and ammonia-nitrogen content, while significantly (p<0.05) higher lactic acid content and V-score value compared with the control.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ying of FJLB with any sugar substrate improved fermentative quality of silage.

발효한약의 항생제 다제내성균 Pseudomonas aeruginosa를 억제하는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Korean Medicin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 류지연;박영자;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6권6호
    • /
    • pp.543-551
    • /
    • 2011
  • Bacterial antibiotic resistance is a real and growing problem for both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l pathogens in the hospital setting. Among Gram negative bacteria, the ubiquitous bacterium Pseudomonas aeruginosa is a particular concern in immunocompromised and burn patient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antibacterial activity and efficacy of a Korean herbal medicine against eight multi-drug resistant clinical isolates of P. aeruginosa (0225, 0254, 0347, 0826, 1113, 1378, 1731, and 2492) isolated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Methanol extracts of Galla rhois (5 and 10 mg/mL) displayed inhibition diameters for isolate 2492 of 10 and 12 mm, respectively, in a conventional disc diffusion assay. In seven kinds of Korean herbal medicines, increased inhibitory power of Lonicera japonica, Gardenia jasminoides, Galla rhois, and Scultellaria baicalensis was evident with the fermentation of six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Thre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 casei KCTC 3109, and L. fermentum KCTC 3112) were identified as excellent strains for the production of antibacterial materials. In the six Korean herbal medicine extracts, strong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Forsythia suspensa, Glycyrrhizae radix, Lycium chinense, Platycodon grum, and Schizandra chinensis with five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was evident for seven multi-drug resistant P. aeruginosa isol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