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concentration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3초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한 양파 착즙액의 유산 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Juice Supplemented with Puffed Red Ginseng Extract)

  • 박영서;장재권;최영진;정명수;박훈;심건섭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2009
  •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시킨후 발효액의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각각 0.5, 1, 2, 4%(v/v) 첨가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팽화 홍삼추출액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산도는 팽화홍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액의 pH는 발효 3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 24시간까지는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1%(w/v) 이상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양파착즙액에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는 1%(w/v)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므로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팽화 홍삼 추출액을 1%(w/v)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합식해 발효 중 생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B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Hard Clam Shikhae During Fermentation)

  • 구재근;유정희;박권삼;김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69-573
    • /
    • 2009
  • The b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the hard clam shikhae were studied during fermentation at $4-18^{\circ}C$ for 45 days. For preparation of the shikhae, the shucked hard clams were blanched into 2% saline solution and were soaked in seasoning solution before mixing with salt, cooked grain and spices. During fermentation, the initial pH steadily decreased from 5.0 to 4.6, but $NH_2-N$ and VBN concentrations increased to 127 mg/100 g and 27.0 mg/100 g, respectively. Alanine, taur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but arginine concentration decreased by fermentation. The major organic acids of the fermented shikhae were lactic acid, succinic acid and acetic acid. The major free sugar were maltose, glucose and fructose. The concentration of total viable cell ($2.1\times10^5$ CFU/g) and proteolytic bacteria ($1.2\times10^5$ CFU/g) increased to $4.4\times10^8$ CFU/g and $9.8\times10^7$ CFU/g, respectively until day 15 and then slight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yeast ($2.4\times10^3$ CFU/g) increased to $1.6\times10^7$ CFU/g until day 25, but lactic acid bacteria ($5.0\times10^8$ CFU/g) increased to $5.0\times10^8$ CFU/g until day 9. Vibrio species was not detected on the TCBS agar during fermentation.

게껍질로부터 섬유가공용 Chitin.Chitosan 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if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for Textile Finishing Agent from Crab Shell)

  • 이석영;박성우;조환;구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6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rif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for textile finishing agent from crab shell. Weight loss rate(removing Ca and protein), degree of deacetylation, solubility and MIC(Minimum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 of chitosan and molecular weight of the treated crab shell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Weight loss rate(removing Ca) of crab shell treated with HCI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HCI and treatment time, but it became constant over 60 min. of treatment time. 2) Weight loss rate(removing protein) of crab shell treated with NaOH(0.5N∼2N)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aOH and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but it became constant above loot of temperature and over 200 min. of treatment time. 3) Degree of deacetylation of chitin treated with NaOH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aOH(40∼60%), but molecular weight decreased and thus MIC value increased. 4)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should be above 0.3% to dissolve chitosan easily. Solubility for chitosan was the highest with formic acid, and the next was acetic acid, hydrochloric acid, lactic acid and sulfuric acid in order.

  • PDF

Effect of Organic Acids on Microbial Population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Pork Loins

  • Kang, Seoknam;Jang, Aera;Lee, Sang Ok;Min, Joong Seok;Kim, Il Suk;Lee, Moo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96-99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organic acids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pork loins. Fresh pork loins were sprayed with various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citric acid and acetic acid at various concentrations (0.5, 1, 1.5 and 2%). After spraying, the samples were packaged by HDPE film under air and stored at $4^{\circ}C$ for 14 days, and analyzed. Microbial deterioration of pork loins during the aerobic cold storage was delayed by organic acid spray. The bactericidal effect of acid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However, the inhibitory activity of organic acids during the storage varied with the kinds and concentrations of the acids. As for total plate counts, acetic acid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bactericidal activity, whereas citric acid was found to be the most inhibitory for coliform and S. typhimurium.

시판 정제산소제를 이용한 탁주제조에 관한 연구 (제이보) 탁주의 품질검토 (Studies on Brewing Conlditions of Takjoo with Commercial Enzyme (Part 2) Quality Examination of Takjoo)

  • 강효원;권태종;이일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1-48
    • /
    • 1975
  • 시판정제효소제(당정)와 L. bulgaricus를 이용하여 탁주류를 제조하면서 성분분석과 품질을 검토하였다. 1. 유기산의 함양에 있어서, 밀가루, 옥수수, 팔, 눌린 보리쌀 등 4종류의 원요를 통하여 917~1,350mg/ml의 lactic acid가 생성되었으며 succinic acid는 6~32mg/100m1이다. 종내의 누주중의 유기담으로서 는 lactic acid와 succinic acid가 대표적으로 많이 합유된 유기산인데 비하면 suceinic acid의 함양은 현저하게 적다. 이외에 종내의 탁주에서 검출되여 알려진 유기산에는 citric acid, malic acid, maleic acid, fumaric, malonic acid, oxalic acid 등이 있으며, citric acid와 malic acid는 비교적 그외의 산보다 많은데 비하여 본실험의 것에서는 fumaric acid와 malon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였고 눌린 보리쌀을 사용했을때, 6.5mg/100m1의 citric acid를, 그리고 밀가루와 옥수수를 사용하였을때 각각 1.7 mg/100ml와 1.4 mg/ml의 malic acid를 생성하였을뿐 그외는 흔적으로 검출되었다. 2. fusel oil의 조성은 원요와 효소제의 종유에 관계없이 대동소이하다. 즉, i-amyl alcohol는 (1.50~2.77)$\times$$10^{-2}$g/100m1로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고, i-butyl alcohol는 (0.68~1.30)$\times$$10^{-2}$g/100m1이며 n-propyl alcohol는 (0.20~0.34)$\times$$10^{-2}$g/100m1, $\beta$-phenyl ethyl alcohol는 0.18$\times$$10^{-2}$g/100m1 이하의 순으로 적다. 종내의 효소제에 의한 것도 누룩을 사용하였을때 0.70$\times$$10^{-2}$g/100m1의 $\beta$-phenyl ethyl alcohol을 예외로 하면 각각 상기범전에 들어있다. 3. 아미노산의 조성분은 홍등의 실험에서와 같이 17종을 함유하고 있으며 총아미노기양에 있어서 본실험의 것이 31mg/100m1로서 비교적 적으나 주유의 조미성분으로서 중요한 glycine과 alanine이 0.6023 mg/100m1와 4.3129 ml/100ml 검출되었다.

  • PDF

Bacterial Inoculant Effects on Corn Silage Fermentation and Nutrient Composition

  • Jalc, D.;Laukova, Andrea;Pogany Simonova, M.;Varadyova, Z.;Homolka,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977-983
    • /
    • 2009
  • The survival and effect of three new probiotic inoculants (Lactobacillus plantarum CCM 4000, L. fermentum LF2, and Enterococcus faecium CCM 4231) on the nutritive value and fermentation parameters of corn silage was studi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Whole corn plants (288.3 g/kg DM) were cut and ensiled at $21^{\circ}C$ for 105 days. The inoculants were applied at a concentration of $1.0{\times}10^{9}$ cfu/ml. Uninoculated silage was used as the control. The chopped corn was ensiled in 40 plastic jars (1 L) divided into four groups (4${\times}$10 per treatment). All corn silages had a low pH (below 3.55) and 83-85% of total silage acids comprised lactic acid after 105 days of ensiling. The probiotic inoculants in the corn silages affected corn silag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ignificantly (p<0.05-0.001) higher pH, numerically lower crude protein content and ratio of lactic to acetic acid compared to control silage. However, the inoculants did not affect the concentration of total silage acids (acetic, propionic, lactic acids) as well as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corn silages in vitro. In the corn silages with three probiotic inoculants, significantly (CCM 4231, CCM 4000) lower n-6/n-3 ratio of fatty acids was detected than in control silag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_{18:1}$,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_{18:2}$ and $C_{18:3}$ was mainly found in the corn silages inoculated with the strains E. faecium CCM 4231 and L. plantarum CCM 4000. At the end of ensiling, the inoculants were found at counts of less than 1.0 log10 cfu/g in corn silages.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43-747
    • /
    • 2003
  • 소금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육저해 효과를 보면, 김치초기 생육균인 W. confusa가 3.0%의 저염소금, 제재염에서 5시간의 유도기 후 급격히 증식했으나 3.0%의 천일염, 죽염첨가시 유도기간이 12시간으로 늘어나 이 소금들에 의해 생육이 약간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중기 생육균인 Lactobacillus delbruekii ss lactis나 Lactobacillus pentosus와 말기 생육균인 L. hamsteri는 3.0%의 사용된 소금 모두에서 12시간의 유도기 후 증식이 확인되었다. 소금 농도를 달리하여 배지에 첨가했을 때 저염소금인 농도를 3.0%, 5.0%로 증가시킨 경우 W. confusa를 제외한 다른 균들의 유도기는 12시간으로 늘어났고 이 효과는 5.0%에서 더 컸다. 천일염, 죽염, 재제염도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커질수록 생육저해 효과가 뚜렷했으며 김치 초기 생육균 W. confusa보다는 후기생육균인 L. hamsteri가 소금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커서 5.0% 천일염, 죽염, 재제염에서는 24시간까지 증식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멸치젓에 사용한 염의 종류와 농도가 지질의 산화와 맛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Salt on Oxidation of Lipids and on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Fermented Anchovies)

  • 장백경;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8-44
    • /
    • 1986
  • 소금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네가지의 멸치젓을 담갔다. 친일염을 사용한 시료는 정제염을 사용한 시료에 비해 과산화물가, TBA가, TMA의 함량이 높았고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질소의 함량은 같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보다는 많았고, 낮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모든 멸치젓에서 lactic acid 와 succinic acid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천일염 시료는 두 유기산의 함량들이 정제염 시료에 비해 크게 낮았고, 낮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는 높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에 비해 lactic acid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는 숙성된 젓들에서 증감의 경향이 흡사하였다. 천일염 시료에서 tyrosine의 감소와, 천일염과 같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에서 aspartic acid의 증가가 특이하였다. 친일염 시료는 다른 정제염 시료들 보다 IMP, ino-sine의 함량은 낮았고 hypoxanthine의 함량은 높았다. 낮은 염도의 정제염시료는 높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보다 IMP의 함량이 낮고 inosine 과 hypoxanthine 의 함량이 높았다. 염수를 첨가한 멸치젓은 다른 젓들에 비해 TBA가 높고, 핵산 관련 물질은 IMP, inosine의 함량이 천일염 시료보다 많았다. 그외의 모든 분석치들은 크게 낮았다.

  • PDF

유산균 발효에 의한 프로바이틱 망고 주스의 생산 (Production of Probiotic Mango Juice by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민주희;위영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0-1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를 통하여 프로바이오틱 망고 주스를 생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미호기성 조건으로 30℃에서 72시간 동안 망고 주스 발효를 실시하였다. 유산균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유산균수, pH, 산도, 환원당 및 유기산을 분석하였으며, 프로바이오틱 망고 주스를 4℃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유산균의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유산균 발효 72시간 후 pH는 초기 4.5에서 3.2로 감소하였으며, 환원당 농도는 초기 12%(w/v)에서 5.8%(w/v)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다른 유산균들과 비교하여 Lactobacillus plantarum의 경우 환원당을 가장 빠르게 대사하였으며 망고 주스의 pH를 가장 빠르게 감소시켰다. 프로바이오틱 망고 주스를 4℃에서 4주간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수는 1.0 × 107 CFU/ml를 유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망고 주스는 프로바이오틱 음료의 생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삼함유 과채류 복합 추출물의 증숙열처리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Evaluation of Intestinal Immunity Activity by Steam-Heat Treatment and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of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containing Red Ginseng)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35-9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소량의 홍삼을 첨가하여 증숙가열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산물의 활성 증가와 장내면역 활성이 현저히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홍삼 단독 추출물 또는 과채류복합추출물에 비해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에서 시너지 효과에 의한 장내면역 활성의 증가가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홍삼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홍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을 과채류 혼합물 질량에 대하여 3~10%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증숙 및 유산균 발효 추출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은 200㎍/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홍삼이 함유되지 않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비해 NO 생성을 약 60% 억제하였으며, IL-1β의 발현은 63%, IL-6의 발현 69%, TNF-α의 발현 76% 수준으로 억제하여 장내면역 활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