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bacteria count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6초

The Influences of Addition of Sugar with or without L. buchneri on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Maize Silage Ensiled in Air-stress Silos

  • Guan, Wu-Tai;Driehuis, F.;Van Wikselaar,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2호
    • /
    • pp.1738-1742
    • /
    • 2003
  • The whole plant of crop maize was chopped and ensiled in double-layered polyethylene bag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residual sugar on th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and aerobic stability by L. buchneri in whole crop maize silage made in airstress condition. There were a total of six treatments used in this experiment as follow: added 25 g de-mineralised water per kg chopped maize serving as control (con), 3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12.5 g glucose ($g_1$), 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25 g glucose ($g_2$), 25 g, L,.buchneri suspension intended for $10^6$ cfu $g^{-1}$ (L.b.), $g_1$+L.b. and $g_2$+L.b. All silos were opened at day 91 after ensiling for measuring the pH values, microbiological enumeration, fermentative products and aerobic stability. The dry matter lo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due to inclusion of sugar or L. buchneri. The lower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p<0.01) in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only or in combination with sugar addition than the correspondent uninoculated silages. Compared with control silage, ethanol production was about 3 or 6-fold higher due to addition 12.5 or 25 g glucose per kg chopped maize at ensiling. The silages added with sugar contained less acetic acid concentration (p<0.01) than control, but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showed the contrary effects (p<0.01) at different sugar levels. No butyric acid was found in uninoculated silages,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producted more propionic acid, 1-propanol and butyric aci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markedly (p<0.01) due to inoculation with L. buchneri, whereas it was reduced (p<0.01) by added suga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unt of yeast, but inoculation with L. buchneri shows a decreasing trend. Mould count in all silages was less than 2 (log cfu $g^{-1}$). The added sugar had negative effects on aerobic stability of maize silage made under air-stress conditions, whereas inoculation with L. buchneri improves (p<0.01) the aerobic stability.

감초정제물 첨가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Purified Licorice(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 이수현;고영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9-61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감미료로 첨가되는 설탕 대신에 감초정제물을 첨가하여 김치의 품질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치제조원료에 설탕 또는 감초정제물을 첨가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관능적 특성 및 휘발성냄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는 숙성 2일과 3일의 경우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도는 0일과 1일의 경우는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2일과 3일의 경우는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감초정제물의 첨가로 젖산균수는 변화가 없었다. 비숙성시료와 1일숙성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0.01% 이상인 경우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p<0.05). 2${\sim}$3일 숙성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정제물 0.005% 또는 0.01%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p<0.05). 비숙성시료에 비하여 숙성시료에서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일부의 냄새성분 함량은 숙성과정에서 증가하거나 변화를 보였다.

초산, 유산 및 구연산에 의한 냉장 돔의 오염 미생물 제거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Refrigerated Red Seabream by Acetic, Lactic, and Citric Acids)

  • 김창렬;김정숙;고대희;이순자;은종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3-267
    • /
    • 1997
  • 본 연구는 4$^{\circ}C$ 냉장조건에서 신선한 돔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 증진을 목적으로 초산, 유산 및 구연산 침지법을 이용하여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억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로 만든 돔포는 각 0.25~1.0%의 초산, 유산 및 구연산의 위생수에서 5분 침지 후 처리구별로 플라스틱 저장백에 넣은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2반복 시료는 4$^{\circ}C$, 12일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취한 다음 분석에 사용하였다. 0.25~1.0%(v/v) 초산 처리구는 4$^{\circ}C$, 12일 저장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0.25~1.0%(v/v) 유산 처리구 그리고 0.5~1.0%(w/v) 구연산 처리구는 각각 4$^{\circ}C$, 저장 9일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돔포의 냉장 동안 초산처리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 PDF

Selection of Beef Quality Factors Represented by Time-Temperature Integrator (TTI)

  • Kim, Eun-Ji;Kim, Kee-Hyuk;Jung, Seung-Won;Chung, Ku-Young;Lee, Seung-J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98-603
    • /
    • 2012
  • Beef qualities which can be properly predicted by time-temperature integrator (TTI), a chromatic indicator, were selected in terms of its similarity of temperature dependence between beef qualities and TTI, denoted by Arrhenius activation energy ($E_a$). The high similarity is required to afford accurate prediction. A devised enzymatic TTI based on laccase (an oxidase), which catalyses the oxidation on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producing color development, was applied. The factors of beef quality, such a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pH, color (CIE $L^*$, $a^*$),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Pseudomonas spp.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count were considered for the selection. $E_a$ (55.48 kJ/mol) of the TTI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beef qualities (all referred) in the order of LAB count (53.54 kJ/mol), CIE $a^*$ value (61.86 kJ/mol), pH (65.51 kJ/mol), Pseudomonas spp. Count (44.54 kJ/mol), VBN (67.98 kJ/mol), WBSF (40.67 kJ/mol), and CIE $L^*$ value (33.72 kJ/mol). The beef qualities with more similar $E_a$ to that of the TTI showed less difference between real and TTI predicted levels. In conclusion, it was found out that when applying TTI to food packages, their $E_a$ similarity should be checked to assure accurate estimation of food quality levels from TTI response.

저온이 묵은지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Temperature on the Qualities of Long-term Fermented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 지설희;한우철;이재철;정철;강순아;이제혁;장기효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04-809
    • /
    • 2009
  • 최근, 저온 장시간 발효된 묵은지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온($5^{\circ}C$)에서 46주 동안 발효된 묵은지의 pH, 산도, 유기산, 생균수, 아미노산, polygalacturonase (PG)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10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4.1, 산도 0.99%를 나타낸 반면, 46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3.9, 산도 1.29%를 보였다. 한편, 10주에서 46주로 발효 기간이 증가하면서, 젖산, 젖산/초산비, Lactobacillus species/Leuconostoc species비 등은 증가한 반면, 호기성 세균, 효모, Lactobacillus species, Leuconostoc species, 유리아미노산, PG 효소 활성은 감소하였다.

절임 배추의 세척 조건에 따른 김치의 숙성중 품질 변화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 박우포;박규동;김종현;조용범;이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4
    • /
    • 2000
  •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1,000 ppm 농도의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tact, GFSE)과 구연산 용액에 절임 배추를 각각 씻어서 김치를 담근 다음 숙성시키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GFSE 및 구연산에 세척한 배추로 담근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pH 저하 및 적정산도의 증가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숙성 기간의 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원장은 GFSE로 처리한 시험구가 숙성 20일까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발효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FSE를 처리한 시험구는 숙성 10일까지 대조구에 비하여 총균수 및 유산균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연산 처리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PDF

Effect of Prebiotics on Intestinal Microflora and Fermentation Products in Pig In Vitro Model

  • Kim, Dong-Woon;Chae, Su-Jin;Cho, Sung-Back;Hwang, Ok-Hwa;Lee, Hyun-Jeong;Chung, Wan-Tae;Park, Jun-Cheal;Kim, In-Cheul;Kim, 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199-20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prebiotics on intestinal microflora and fermentation products in the in vitro fermentation model. The prebiotcs used in this study were IMO (iso-malto oligosaccharide), CI (partially digested chicory-inulin), RA (raffinose) and CD (cyclodextrin). Experimental diet for growing pigs was predigested by digestive enzymes and this hydrolyzed diet was mixed with buffer solution containing 5% fresh swine feces. Then, the mixture was fermented with or without prebiotics at the concentrations of 0.5 and 1.0% for 24 h. Samples were taken at 24 h, and viable count of micoflora, gas, pH,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hort-chain fatty acids were determined. The viable count of Enterobacteriacea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all treatments added with prebiotics in comparison to control without prebiotics. However, the increas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observed in the prebiotics treatment. Gas production increased as the level of prebiotics increased. The pH values in the fermentation fluid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rebiotics. The fermentation with prebiotic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malodorous compounds such as ammonia, hydrogen sulfide, indole and skatole. The increase in short-chain fatty acid (SCFA)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s with prebiotic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ermentation with prebiotics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formation of malodorous compounds and increa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SCFA. These effects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prebiotics. Moreo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 vitro efficacy on the reduction of malodorous compounds and increase of SCFA would also be observed in animals.

민들레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데치기 효과 (Effect of Blanch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Kimchi)

  • 박인경;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199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nch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Kimchi.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BT-group (dandelion was blanched in the $3\%$ brine for 15 seconds at $100^{\circ}C$, then salted in $8\%$ brine for 5 hours) and NT-group (dandelion was salted at $8\%$ brine for 5 hours). Changes in pH, acidity, color, number of total microbe and lactic acid bacteria,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qu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at $10^{\circ}C$. The pH of the BT- and NT-Kimchi maintained higher than 4.1 for 21-days fermentation, but that of BT-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NT-Kimchi. And also, the titrable acidity of BT-Kimchi was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NT-Kimchi. $L^\ast\;value\;and\;b^\ast$ value of BT-Kimchi were higher, while $a^\ast$ value of BT-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NT-Kimchi.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otal microbial count between BT- and NT-Kimchi, while number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BT-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BT-Kimch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BT- and NT-group during the fermentatio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the dandelion Kimchi, toughness, color, flavor and overall quality were good in the BT-Kimchi, while the bitter taste showed relatively strong in the NT-Kimchi.

  • PDF

장류유래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잠재적 Probiotic 특성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Product)

  • 안유진;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49-755
    • /
    • 2014
  • 전통 장류에서 유산균 성상을 보이는 균주를 분리하여, TLC와 PCR을 통하여 HoPS를 우수하게 생성하는 균주 HSB15, JSA22, JSA57, JSB22, JSB66 및 JSB89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6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HSB15는 L. alimentarius, JSA22는 L. plantarum, JSA57은 L. pentosus, JSB22는 L. brevis, JSB66는 L. alimentarius, JSB89는 L. parabrevis로 동정되었다. 항균 활성은 6균주 중에서 JSA22가 4개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을 나타내어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인공위액 저항성은 HSB15, JSA22와 JSA57 균주가 70% 이상의 높은 인공위액 저항성으로 가장 우수했으며, 인공담즙 저항성은 HSB15를 제외한 5균주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며 담즙액 저항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probiotic 특성을 지닌 분리 균주의 prebiotics로써 AOS를 이용한 성장율을 관찰한 결과, 모든 분리 균주가 AOS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며 성장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특히 JSB22가 AOS 이용 성장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류유래 probiotics를 선발하였고 AOS의 새로운 prebiotics로 활용을 검토한 바, synbiotics로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김효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06
  •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