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55초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젖산탈수소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n Acanthogobius hasta)

  • 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4-272
    • /
    • 2008
  •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 효소의 특성을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및 역학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풀망둑 골격근과 눈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활성이 65.30과 53.25 units였고, 심장과 간 조직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골격근 조직의 LDH/CS는 22.29로 가장 높고, LDH 특이활성도는 뇌 56.45, 눈 38.04 및 골격근 11.04 units/mg였다. 각 조직에 대해 $A_4,\;B_4$, eye-specific $C_4$, 및 liver-specific $C_4$에 대한 항혈청으로 면역 침강 반응시킨 후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하였다. 골격근, 뇌 및 눈 조직에서 $A_4$ 동위효소가 우세하게 확인되었고, 심장에서는 $A_4$ 동위효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극의 eye-specific t와 음극의 liver-specific $C_4$가 한 종에서 함께 발현되었으며, 눈 조직의 eye-specific $C_4$는 활성이 크고 간 조직의 liver-Specific $C_4$의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결과 $A_4$$C_4,\;A_4$$B_4$ 및 eye-specific $C_4$와 liver-specific $C_4$의 분자구조의 일부가 서로 유사하지만 $B_4$$C_4$의 구조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하부단위체 A는 보존적이고 하부단위체 B는 하부단위체 A보다 빠르게 진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골격근 조직의 LDH $A_4$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NAD^+$를 함유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고,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A_4$ 분획에 이어 용출되었으므로 eye-specific $C_4$$A_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_{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_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_4$$A_4$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_4$$B_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I. 한국산 뱀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김순옥;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5
    • /
    • 1973
  • 한국에서 서식하는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에 속하는 몇종의 파충류에서 각 장기별로 MDH 및 LDH isozyme을 조사하였던 바 MDH는 2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동일하였다. 그러나 대륙유혈목이의 MDH isozyme은 이동속도가 빠른 점이 다른 종과 다르다.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구성원 각 종에서 4개의 LDH isozyme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과 간조직의 LDH isozyme은 근본적으로 같은 pattern이었고 $LDH_4$가 없는 것이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특징이었다. 한편 심장에서는 2개의 LDH isozyme이 발견되는데 근조직과는 반대되는 pattern 이었다. 위 homogenate에서 나타나는 LDH isozyme은 심장의 pattern과 동일하다고 볼수 있는데 살모사과와 북살모사과에서는 4개의 isozyme이 나타나는 점이 독특하였다. 따라서 실험 동물의 MDH 및 LDH isozyme pattern에서 의미있는 다양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기아상태에서 Ldh-C가 발현된 생쥐(Mus musculus)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의 대사 (Metabolism of Lactate Dehydrogenase in Tissues from Ldh-C Expressed Mice (Mus musculus) in a Starvation State)

  • 염정주;김규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8
  •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EC 1.1.1.27, LDH)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Ldh testis-specific C가 발현된 생쥐(Mus musculus)를 48 hr과 96 hr 기아상태로 유지시킨 후 조직들의 LDH 대사를 LDH 활성, 역학 및 동위효소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골격근, 간 및 눈조직에서 LDH와 LDH $A_4$활성이 증가되어 혐기적 대사가 우세하였고, 심장과 신장조직의 LDH 활성은 감소되지만 LDH $B_4$ 활성이 증가되어 피루브산을 생성하는 호기적 대사가 우세하였다. 하지만 정소조직에서는 LDH $C_4$가 감소되었고, 뇌조직의 LDH 활성은 조직 중에서 가장 많이 증가되었지만 동위효소의 변화가 작고 피루브산의 양이 감소되었다. 신장조직을 제외한 조직들에서 $K{_m}^{PYR}$이 증가되어 피루브산에 대한 친화력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결과 Ldh-A, B가 발현된 조직에서는 상대 농도가 큰 동위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Ldh-A, B, C가 발현된 정소조직은 LDH $C_4$가 감소되어 기능이 저하되었으며 특히 뇌조직에서 LDH는 피루브산 환원효소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과정은 기아상태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젖산탈수소효소 eye-specific C4 동위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과 큰입우럭(Micropterus salmoides) (Biochemical Properties of Lactate Dehydrogenase Eye-Specific C4 Isozyme: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 염정주;구보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9-219
    • /
    • 2012
  • 눈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LDH, EC 1.1.1.27) eye-specific $C_4$ 동위효소의 특성을 native-PAGE, Western blotting, 면역침강반응 및 효소 역학을 이용하여 연구하였고,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파랑볼우럭(Lepomis macrochirus)과 큰입우럭(Micropterus salmoides) 눈조직의 세포기질에서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확인되었으며 $B_4$ 동위효소보다 $A_4$ 동위효소에 유사하였다. 파랑볼우럭 눈조직의 LDH/CS는 9월에 증가하여 혐기적 대사가 높게 이루어졌다. 파랑볼우럭과 큰입우럭 눈조직 미토콘드리아 LDH의 전기영동상은 세포기질 LDH와 유사하였다. 눈조직의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Preparative native-PAGE에 의해 정제되었다. 파랑볼우럭과 큰입우럭의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의 활성은 피루브산 0.2 mM과 0.1 mM 이상의 농도에서 각각 감소되었고, 피루브산 10 mM에서 5.2%, 15.8% 활성이 남아 저해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눈조직의 LDH 활성도 젖산 22 mM과 24 mM 이상의 농도에서 각각 감소되어졌다. 파랑 볼우럭 eye-specific $C_4$ 동위효소의 $Km^{PYR}$는 0.088 mM, 큰입우럭 eye-specific $C_4$ $Km^{PYR}$는 0.033 mM였으며, 세포기질과 미토콘드리아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alpha}$-ketobutyric acid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눈조직과 eye-specific $C_4$ 동위효소의 활성은 피루브산 0.5 mM과 Tris-HCl 완충액, pH 7.5에서 측정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 큰입우럭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파랑볼우럭 LDH eye-specific $C_4$보다 피루브산에 대한 친화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더 낮은 피루브산의 농도에서 최대 활성에 이르고, 더 높은 젖산의 농도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가 포식 행동의 초기 반응에 사용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sulin이 흰쥐의 LDH Isozym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ulin on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in the Liver, Muscle and Serum of Albino Rats.)

  • 임중기;최기송
    • 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2-96
    • /
    • 1976
  • A series of experimental groups has been studied in the state of hypolycemia caused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insulin after 24 hrs of fasting albino rats and then the variation of LDH activities and LDH isozyme patterns in the liver, muscle and serum had been reported. The total LDH activity has been elevated in the liver and the muscle above the average level for control group, but increased continusly during 20 min and decreased in the 20-45 min intervals and increased again 45 min in the serum. The change of LDH isozyme patterns had been shown that in the liver LDH$_{5}$ was increased, LDH$_{4}$ was decreased and in the muscle LDH$_{1}$ was diminished by 30 min ws restored again after 45 min and LDH$_{2}$ decreased about 94 percentage at 30 min, decreased by 45 min and increased greater again after 45 min and in the muscle LDH$_{3}$, LDH$_{4}$, and LDH$_{5}$ were increased to the greatest by 20 min, decreased in 20-45 min intervals and increased again after 45 min.

  • PDF

햄스터와 소의 젖산탈수소효소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inhibitor의 영향 (Effect of Mitochondrial Inhibitor on Lactate Dehydrogenase of Mesocricetus auratus and Bos taurus coreanae)

  • 조성규;이상학;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0-105
    • /
    • 2005
  •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inhibitor는 햄스터와 소 골격근 미토콘드리아에서 분리하였다. 햄스터 골격근조직의 LDH inhibitor는 175 mM NaCl과 초음파로 분리하였다. 소 골격근조직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분리된 inhibitor는 열에 강한 특성을 보였고, $A_4$ 동위효소에 대한 저해정도가 높았으며, 분자량은 22,000 kDa으로 나타났다. Inhibitor는 심장조직을 제외한 골격근, 신장 및 간 조직의 미토콘드리아에서 LDH 결합 시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었다.

큰입우럭(Micropterus salmoides)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및 Monocarboxylate 수송체(MCT) 1, 2, 4 (Lactate Dehydrogenase and Monocarboxylate Transporters 1, 2, and 4 in Tissues of Micropterus salmoides)

  • 염정주;연준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8-109
    • /
    • 2012
  • 큰입우럭(Micropterus salmoides)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DH)의 특성 및 골격근과 심장조직의 monocarboxylate 수송체 1, 2, 4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Native-PAGE 결과골격근에서 LDH $A_4$, 심장, 간, 눈 및 뇌조직에서 $A_4$, $A_2B_2$, $B_4$, 눈조직에서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발현되었다. 9월에 심장조직에서 LDH $B_4$ 동위효소의 활성이 강하고 다른 조직에서는 $A_4$의 활성이 강했으나, 11월에 심장조직에서 $A_4$ 동위효소의 활성이 강하게 확인되었다. 골격근과 심장조직에서 LDH/CS로 조직의 혐기적 대사 비율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면역 침강 후 native-PAGE에 의해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가 $B_4$보다 $A_4$ 동위효소에 더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LDH $A_4$ 동위효소가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고, 하부단위체 A의 분자량은 37.200이었다. 피루브산 10 mM에서 조직 LDH의 활성이 11.05-28.32% 남아 저해 정도가 컸고, 눈조직 LDH의 $K_m^{PYR}$이 낮았으며, 조직의 최적 pH는 7.5~8.0이였다. 골격근 미토콘드리아에서 LDH $A_4$ 동위효소, 심장조직의 미토콘드리아에서 $B_4$$A_2B_2$ 동위효소가 확인되었고, 골격근과 심장조직의 원형질막과 미토콘드리아에서 MCT 1, 2, 4가 확인되었다. 골격근 MCT 1, 2, 4 골격근 MCT 1 60 kDa, MCT 2 54~38 kDa, MCT 4 63 kDa, 심장조직 MCT 1 57 kDa, MCT 2 54~38 kDa 및 MCT 4 55.5 kDa이었다. 실험 결과, 큰입우럭이 저산소 조건에 적응되어져 혐기적 대사가 우세하고, 활성이 큰 골격근과 심장조직에서 원형질막과 미토콘드리아 MCT 1, 2, 4를 통해 젖산과 피루브산이 유입되고 유출되며 LDH에 의해 에너지 생성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장기내 젖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Copper Ion on th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in Organs of Catfish, Parasilurus asotus)

  • 정영훈;이춘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2
    • /
    • 1984
  •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심장, 간장, 신장, 골격근 및 난소내의 젖산수소이탈효소 isozyme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을 cellulose acetat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으로 연구하였다. 1. 정상인 메기의 심장에서는 LDH-1과 LDH-2가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 LDH-2, LDH-3 및 LDH-4가 나타났다. LDH-1의 양은 감소되고 LDH-2, LDH-3 및 LDG-4의 양은 증가되었다. 2. 정상인 메기의 간장에는 LDH-4만 있었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4의 양이 감소되고 LDH-5가 새로 나타났다. 3. 신장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 2군에서 LDH-1, LDH-2 및 LDH-4가 나타났는데, 동이온 처리후 LDH-1의 양은 증가되고 LDH-2와 LDH-4는 감소되었다. 4. 대조구의 골격근에는 넓은 band의 LDH-5가 하나 있었으나 처리구에서는 LDH-4와 LDH-5가 나타났는데 특히 LDH-5는 하나의 M형 sub-band를 가지고 나타났다. 5. 정상인 난소에서는 LDH-3 하나만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에서 LDH-5RK지의 5개 LDH isozyme이 모두 나타났다. 6. 동이온 처리 기간중 심장, 간장 및 골격근에서는 대개 유기대사와 연관된 심장형 LDH isozyme은 감소되었지만 무기대사와 연관된 근육형 LDH isozyme은 증가되었다. 이들 기관은 동중독시의 무기대사의 중요한 기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지개송어와 은연어간 잡종3배체의 부화자어에 대한 동위효소 분석 (Isozyme Analysis on the Allotriploid betwee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Coho Salmon (O. kisutch))

  • 홍경표;명정구;김병기;손진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6-261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어과 어류인 은연어, 무지개송어 및 그 잡종3배체의 부화자어에 있어서의 동위효소를 분석하여 부화후 초기의 유전적 특징과 유전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들 종 및 잡종의 식별을 위한 genetic marker를 찾아보고자 5개의 동위효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PGI에서는 종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LDH, MDH, IDH 및 PGM 등은 은연어와 무지개송어간에 종 특이적 pattern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이들 어종간의 발생 초기에 종의 식별을 위한 유전적 marker로써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잡종 및 잡종3배체의 genetic marker로서도 상기 네 가지의 동위효소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