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quer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2초

옻과 아교를 이용한 토기 복원용 천연접착제 제조 및 특성 분석 (A Study on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Adhesives with Lacquer and Animal Glue for Ceramics Conservation)

  • 김은경;박대우;장성윤
    • 접착 및 계면
    • /
    • 제14권3호
    • /
    • pp.128-1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합성수지 접착제를 대체하여 토기 유물에 활용할 수 있는 천연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해 옻과 아교를 배합하여 시료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조분석 결과 옻에 배합하는 아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carbonyl (C=O), amine (N-H), aromatic (C=C) 결합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한 천연접착제를 합성수지 접착제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접착강도를 가진 Paraloid B-72부터 높은 접착강도의 Araldite rapid type에 상응하는 다양한 점도와 접착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체계적이고 심화된 분석이 이루어 진다면 훼손된 토기 유물의 접착 및 복원을 위한 친환경 천연접착제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황칠나무의 분포 및 황칠의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Dendropanax morbifere and Component Analysis of the Golden Lacquer)

  • 정병석;조종수표병식황백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93-400
    • /
    • 1995
  • 전통도료인 황칠의 재현을 위한 황칠나무의 다량 증식 및 이용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황칠나무의 자생지 분포조사 및 황칠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였다. 1. 황칠나무의 자생지는 완도, 상황봉 등 8개 지역이었으며, 해남 두륜산은 처음으로 자생지로 확인되었다. 2. 황칠나무는 해발 lOO~450m 사이에셔 자생하고 있으며 해발 200m 부근에서 빈도가 가장 높게 냐다났다. 또한 자생지의 토양은 pH 4.9~5.8로 약 산성이며, 수분 함유량은 16.5~27.4%로 비교적 습 기가 많은 지역에서도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군락지 조새에서 보길도와 제주도가 우점도 및 군도가 교목층에셔 3.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완도는 아교목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4. 생육상황은 보길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흉고 직경 1.O~20cm, 높이 O.2~9m 까지의 개체가 다수 확인되었다. 5. 황칠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표적 인 성분이 ${\beta}$- selinene과 capnellane-8-one을 확인하였다.

  • PDF

옻나무 근삽시 삽상배지의 효과 (Effects of Cutting Media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양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6
    • /
    • 2001
  • 옻나무 근삽에 의한 묘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종류의 삽상배지를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상배지는 PV(peatmoss vermiculite = 1 : 1)와 PVS(peat moss : vermiculite : sand = 1 : 1 : 2) 처리구에서 3주 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고, 삽 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PVSC(peatmoss : vermiculite : sand : clay loam = 1 : 1 : 2 : 2)배지에서 80%로써 가장 높았다. 삽수당 신초형성수는 PH와 PVC 삽상배지가 2.2개로써 가장 많았고 HSC 삽상배지 는 1.3∼1.5개로써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eatmoss, vermiculite, sand 및 clay loam을 각각 1:1:2:2 (v/v/v/v)로 혼합한 PVSC 삽상배지가 옻나무 근삽의 삽상배지로 이용하기에 양호하였으며, 수장,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등의 묘소질 역시 양호하여 본포에 이식하기에 적당하였다.

  • PDF

중국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적용한 옻칠 조형가구디자인 (A Design of Ottchil Molded Furniture with Chinese Qing Dynasty Ceramic Vase)

  • 추완려;김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53-360
    • /
    • 2019
  • 청나라 화병의 형태를 활용한 옻칠 조형 가구 디자인 개발 논문은 중국 도자 역사상 가장 탁월하게 발달하였던 청나라시대 화병도자 기형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 시대 화병도자기의 기본형을 찾고 화병에서 나타난 화병 자체의 형태를 응용하여 칠기작품 디자인의 조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청나라시대의 화병에 나타난 조형요소 중 형태에 주안점을 두고, 그 형태의 종류를 분석하고, 사용된 재료의 조사와 각종 문헌을 통하여 중국 청나라시대 병도자기의 형태를 고찰한다. 중국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실험에 의해 나온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옻칠 제작법 중에서 협저탈태칠기로 적용하여 앉는 가구를 디자인 한다. 이번 옻칠 조형가구 제작과 연구를 통하여 만들어진 결과물이 옻칠과 가구디자인의 결합에 새로운 학문적인 체계 구축과 오늘날 옻칠가구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새로운 조형사고와 신 조형기술을 발전시키는데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전자 기기의 유해 전자파 차폐를 위한 친환경 제품 디자인 활용도 분석 (Synthesis of Application on the Product Design for the Shielding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n the Electrical Appliances)

  • 성낙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9-13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생활가전기기와 정보통신가전기기의 다양한 외형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옻과 숯을 이용한 친환경 소재의 전자파 차폐 물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전자파 차폐 물질은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되는 2.45 GHz에서는 약 96.3%, 이동전화의 사용 주파수 900 MHz, 1.8 GHz에서 각각 97.2%, 98.7%의 전자파를 차폐하였다. 기존에는 전자레인지와 이동전화에서는 방출되는 강한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표면에 도전성 재료를 피복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친환경 소재인 옻과 숯을 활용함으로써 금속 재질을 탈피하여 제품의 경량화, 내열성, 내마모성, 내식성을 이룰 수 있는 한편, 부드럽고 친근한 이미지의 제품디자인이 가능하다.

친환경 실내 디자인 소재 개발 활용 방안 (Application of the Eco-friendly Materials for the Interior Design)

  • 성낙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09-21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의 친환경 소재로 응용할 수 있는 한지, 옻, 숯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 물질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의 전자파 차폐 및 심미성 증대를 위한 이미지월 디자인의 예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전자파 차폐 물질은 한지 위에 옻과 숯을 도포하여 두께 2.0 mm의 시료로 제작되었고, 직류 전원에서 2 GHz의 교류에 대해 95% (13 dB 이상) 이상의 전자파 차폐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의 전자파 차폐 물질을 벽지나 아미지월에 적용하여 실내 디자인에 활용함으로서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인체의 유해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 소재를 통해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과 같은 각종 유해 화학물질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옻칠의 경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ing of Commercially Available Chines Urushiol)

  • 김영백;박덕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1-26
    • /
    • 1996
  • 시중에서 판매하는 중국산 옻칠을 그대로 혹은 유기용매에 녹는 부분과 녹지 않는 부분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경화현상을 연구하였다.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수분이 포화된 상태에서 경화를 관찰하였으며 유기용매로 분리한 부분의 경화는 섭씨 $100^{\circ}C$$150^{\circ}C$에서 경화를 관찰하였다. 서로 다른 방법으로 얻어낸 도막의 성질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옻 중 유기용매에 녹는 부분과 1,6-diisocyanohexane, toluendiisocyanate(TDI)를 공중합하였을 때 얻어지는 도막과 다른 도막과의 성질로 비교하였다. 가열하여 형성된 도막은 매우 깨어지는 성질(취성)이 매우 높았으며 자연상태로 경화된 도막에 비하여 친수성이 낮았다. Diisocyanate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화에 산소가 필수적이어서 오랜 시간이 지나도 내부는 경화가 되지 않았다.

  • PDF

Conservation of the Lacquer Artifacts Excavated from Suchon-ri, Gongju, Korea

  • Song, Ji Ae;Jeong, Ah-reum;Kwon, Hyeok-nam;Han, Woo-rim;Lee, Hyun-sang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49-556
    • /
    • 2018
  • In November 2011, various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No. 8 stone-lined tomb in Suchon-ri, Gongju by the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These included artifacts with lacquered mainframe and silvery metal ornament. These were recovered together with soil and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lacquere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uchon-ri site. Among our findings is that the artifacts have three layers of lacquer coating and the metal parts are primarily composed of Ag. As the artifacts were recovered with soil from the site, the soil was removed from underneath and inside the artifacts. The inside of the lacquerware was reinforced with rayon paper using 3% funori, and the metal was treated with acrylic resin after removing the acrylic resin previously used to recover the artifact, followed by cleaning. The metal was also internally reinforced with gauze. Finally, the interior reinforcement was made using PVA and resin in pulp and attached with funori to preserve the shape of the lacquerware, and the exposed rayon was finished with acrylic paint. The main advantages of this study are its review of conservation treatment strategies for lacquer artifacts whose numbers have recently increased, and the application of new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of Seonunsa Temple, Gochang(2) - Analysis of Gold Leaf Layers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Clay Buddha Statues

  • Lee, Hwa Soo;Kim, Seol Hui;Kim, Won Woo;Yu, Yeong Gyeong;Han, Kyeong Soon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54
    • /
    • 2021
  • In this study,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gold leaf layers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in Seonunsa Temple, Gochang (Treasure No. 1752) was conducted. The surface of the Buddha statues is a gold foil, and the gold leaf layer consists of four layers. The gold leaf layer first composed on the molding clay was produced in the order of lacquer-fabrics-lacquer-gold foil.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was performed three times in the same way. The composition of the Buddha statues was divided into the head, body or upper body, lower body, and pedestal. The body was made in a cylindrical form by connecting vertically oriented wooden materials, and the head and lower body were also connected to the body in an empty form. Thus, the head, body, and lower body are grafted structures that are connected to a single Bokjang-gong.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in Seonunsa Temple was made using wood materials for the basic form, after which the detailed form was created with molding clay, and the surface was finished with a process of layering gold foil and substances presumed to be lacquer.

Investigation of Wood Species and Conservation Status of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of Yongmunsa Temple, Yecheon, Korea (Treasure)

  • CHOI, Jaewan;PARK, Junghae;KIM, Soo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193-217
    • /
    • 2022
  •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Altarpiece have not been the subjects of definitive species identific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In this study, visual investigation, portable X-ray fluorescence (p-XRF),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cquer layer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riginal materials and conservation status. Cracks, exfoliation and discoloration were detected during the visual investigation. The p-XRF data indicated that chrome oxide green, malachite, gold, cadmium red, cinnabar, minium, hematite, lead white, ink stick (Carbon), and copper were used for pigments and the coronet accessory. Tilia spp., Abies spp., and Pinus spp. were identified from both the Buddha Triad and Altarpiece. Finally, lacquer layer analyses of the base layer, lacquer layer, orange pigment layer, and gold leaf layer observed modern synthetic pigments likely used in previous conservation. As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Charter and the International Charter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onuments and Sites clearly state that objects of cultural heritage must be conserved using their original materials, future conservation of these objects should utilize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to employ traditional materials. Furthermore, a deterioration map diagnosis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obtained analysis data to understand the conservation status of and inform an appropriate and authentic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Buddha Triad and Altarpi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