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Adhesives with Lacquer and Animal Glue for Ceramics Conservation

옻과 아교를 이용한 토기 복원용 천연접착제 제조 및 특성 분석

  • Kim, Eun Kyung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Daewoo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ang, Sungyo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은경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박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Received : 2013.09.05
  • Accepted : 2013.09.17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tural adhesives for ceramics conservation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ion for synthetic resins. Samples were prepared by mixing lacquer with animal glue and the structure and adhesion properties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The structure analysis with FT-IR showed that carbonyl (C=O), amine (N-H) and aromatic (C=C) bonds are increased by adding animal glue on lacquer. Comparing to the viscosity and tensile strength of the sample to the Paraloid B-72 and Araldite rapid type, these natural adhesives can be a substitution for the synthetic resins. Through methodical and intensive study, we expect practical uses of this eco-friendly natural adhesives for ceramics conservation.

본 연구에서는 합성수지 접착제를 대체하여 토기 유물에 활용할 수 있는 천연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해 옻과 아교를 배합하여 시료를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조분석 결과 옻에 배합하는 아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carbonyl (C=O), amine (N-H), aromatic (C=C) 결합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한 천연접착제를 합성수지 접착제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접착강도를 가진 Paraloid B-72부터 높은 접착강도의 Araldite rapid type에 상응하는 다양한 점도와 접착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체계적이고 심화된 분석이 이루어 진다면 훼손된 토기 유물의 접착 및 복원을 위한 친환경 천연접착제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필승, 서정호, 보존화학회지, 27, 49 (2011).
  2. 오진경, 임동혁, 김소연, 김현중, 접착 및 계면학회지, 9, 34 (2008).
  3. 심유진, 아교와 첨가제에 따른 물성변화 연구, 한서대학교 예술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학위논문 (2006).
  4. 조남철, 김수철, 김우현, 신연식, 보존과학회지, 26, 371 (2010).
  5. 권상오, 남철균, 노은희, 박종화, 신승우, 이은규, 조성혜, 공예 재료와 기법, 태학원, 파주 (1999).
  6. 신성필, 재현 실험을 기초한 옻칠 도막의 보존과학적 특성 평가,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학위논문 (2008).
  7. 국립중앙과학관, 전통과학기술 조사연구 V.4, 대전 (1996).
  8. 이영희, 박성훈, 백영미, 천연접착제 개발을 위한 전통풀의 물리적 특성 연구, 국립중앙과학관 (2008).
  9. 정세리, 김은경, 유재은, 접착 및 계면학회지, 12, 1 (2011).
  10. 김은경, 정세리, 유재은, 보존과학연구지, 32, 38 (2011).
  11. 김수철, 고대 칠기 분석 및 보존처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2. 남병직, 정세리, 장성윤, 접착 및 계면학회지, 13, 171 (2012).

Cited by

  1. A Study on Transparency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Adhesives Made of Urushiol and Glue vol.31, pp.2,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2.04
  2.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a cosmetic adhesive containing guar gum vol.34, pp.8, 2017, https://doi.org/10.1007/s11814-017-0133-y
  3. Analysis of animal glue by pyrolysis/GC/MS vol.28, pp.3, 2015, https://doi.org/10.5806/AST.2015.28.3.221
  4.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operty of Epoxy Putty with Excellent Low Shrinkage and Cutting Force Using Mercaptan Type and Diamine Type vol.16, pp.4, 2015, https://doi.org/10.17702/jai.2015.16.4.137
  5. 옻과 옻에 아교를 배합한 천연접착제의 자외선에 의한 노화 특성 연구 vol.32, pp.4, 2013, https://doi.org/10.12654/jcs.2016.32.4.05
  6. 탄소나노튜브/아교 접착제를 이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복합재의 계면, 열적 및 방수특성 증가 vol.30, pp.4, 2013, https://doi.org/10.7234/composres.2017.30.4.235
  7. 동궁비 원삼에 사용된 금사의 과학적 분석 vol.37, pp.5, 2013, https://doi.org/10.12654/jcs.2021.37.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