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k of support from teache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에 기반한 가정과교사의 포괄적 성교육 실천 탐구 (A Practical Exploration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of Teacher Agency)

  • 이혜원;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359-376
    • /
    • 2022
  • Based on an ecological model of teacher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HE (home economics) subjects and CSE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for HE teacher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HE class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HE teachers nationwide for which 24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HE teachers who were actively practicing CS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were as follows. First, HE teachers strongly recognized the relevance of HE subjects and the topic of CSE with an average score of 4.63 (out of 5 points), and practiced CSE at an average of 72.23% (97.12%~43.21%) in their class. Second,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model of teacher agency, the factors facilitating the CSE practice of HE teachers included: childbirth and parenting experienced as parents, experiences of students encountering sexual problems in school, the philosophy and content of HE subjects,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and intention to help students in their lives. Conversely, HE teachers cited a lack of sexual education experience as learners, complaints from parents, weakness of HE teacher networks, lack of specific statem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insufficient class content and teacher training, and lack of absolute class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at CSE is highly relevant to the contents of HE subjects and is already being practiced in HE classes.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요구 (Perception of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ssues and Needs in Child Health Management)

  • 김신정;이정은;양순옥;강경아;장은영;오경숙;서원경;이승희;김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0-2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ssues and needs related to child health management as recognized by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teachers from 20 day care centers. Each teacher was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data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For issues on child health management, the analysis scheme consisted of 10 categories and 36 subcategories. For needs on child health management, the analysis scheme consisted of 10 categories and 37 subcategories. Teachers indicated that tools for physical examination and playgrounds were insufficient and they had difficulty in controlling attendance of infectious children. They also indicated the lack of a linkage between day care centers and hospitals, lack of knowledge of health management, high teacher versus child ratio, and lack of help and budget needed for health ca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develop a linkage between day care centers and medical institutions. Also there is a need to provide support from health care personnel, health education for teacher, health management manuals for teachers, and financial aid to satisfy the needs for health management in day care center for children.

수학교사 연수에서 협력적 멘토링의 실제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Collaborative mentoring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s: A case of "PD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 조형미;권오남;이지연;윤정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83-298
    • /
    • 2015
  • This research is the case study of collaborative mentor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lti-tiered mathematics teacher community. We observed the procedures of mentoring, and contents of mentoring in PD program.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PD program with participant unit composed of 3 or 4 teachers in the same school and total 25 teach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and 4 high schools. Also there were 1 mentor and 1 sub-mentor to support each school. Observed mentoring processes were all recorded and the participants not only were interviewed several times but also wrote reflection notes after meetings. While mentoring PD program was implemented, mentor and mentee had joint responsibility about lessons implemented by mentee. Furthermore It showed possibility of change of teacher learning culture, learning culture of community. It means that teacher would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more effectively within teacher community instead of individual. 4 reflection contents was founded in collaborative mentring; 1)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2)motivation and connection between previous lecture and present lecture 3)lack of mathematical contents in lesson 4)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eer Coaching

  • Bang, Young-Joo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1-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eer coaching for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12 college teachers in Korea participated in a 10-week program. They were 7 males and 5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4 to 37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Refle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interview data. From the findings, two significant categories of peer coaching were identified: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o peer coaching experience. However, the overriding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data were the benefits of peer coaching. The participants were almost unanimous in their acknowledgement of the advantages of peer coaching, such as reflective support through other's eyes, improved working environments, greater teaching strategies, higher professional self-esteem, and awar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Negative responses also appeared, mostly in regard to the working principles of implementation; the major issues of difficulties were time management, complexities of implementation procedure, stress and personal vulnerability, and relative lack of reflection and feedback skills. Demonstra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owards the peer coaching program, this study provides EFL teachers with useful insights into peer coaching as an effective tool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 이수아;전영석;홍준의;신영준;최정훈;이인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97-1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develop any implications which may arise in relation to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and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19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al report regarding their science lessons. 30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also answered the same questionnaire. By means of inductive categorical analyzing, th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iculties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in their science lessons fall into three categories; 'professional science knowledge(9.8%)',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78.3%)', 'teaching methodology(11.2%)'. (2)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experienced similar difficulties. However, distribution differed from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science knowledge(39.0%)',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35.6%)', 'teaching methodology(27.1%)'. (3) The causes of these difficult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 lack of time to prepare for science classes, insufficient substanti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a lack of adaptive suppor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PDF

국공립 어린이집 재원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현재 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 (An Analysi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urrent Practic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 이연정;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9
    • /
    • 2014
  • 본 연구는 학급 내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일반유아의 행동특성들과 이로 인한 유아의 어려움, 교수과정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알아봄으로써, 보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국 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3~5세 보육교사 8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사들이 인식한 유아의 문제행동은 행동적인 문제를 보이는 외현적인 문제행동 유형과 정서적인 문제를 보이는 내현적인 문제행동 유형, 이외의 기타유형이었고, 유아는 자신의 여러 가지 문제행동들로 인해 교사 또래 부모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는 학급 내에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하지 못하거나, 개별적인 지원을 하기도 하며, 어린이집 내 외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안내하고, 가정과 연계하여 육아지원을 하고 있었다. 교사가 주로 사용하는 교수방법은 행동주의적 접근 심리적 접근이었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른 교수의 어려움으로 교수과정에서 생기는 문제 교사의 감정조절에 어려움 시간부족 담임교사가 없는 통합보육시간 활동 진행의 방해 전문성부족 부모상담을 통한 가정과의 협력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들의 반응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당황 수긍 단순지연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위해 가정 어린이집 외부와 지역사회 교사연수를 통해서 현재 도움을 받고 있었지만 적절하지 않았다. 따라서 교사는 전문가 보조인력 지원, 부모와 교사에 대한 교육, 교사에 대한 존중, 심리치료 놀이치료 진단평가 등 외부 기관과의 연계, 경제적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행동: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를 중심으로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With specific focu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spc호
    • /
    • pp.87-11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청소년에게 의미있는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그 영향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 이루어진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및, 교사학생관계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관련된 선행 연구의 결과들을 개관하였다. 이러한 경험과학적 연구 결과들에 대한 종합을 토대로, 부모자녀관계와 일탈행동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세 측면에서 논의가 시도되었다: 1) 부모의 적대적이고 거부적인 양육태도의 영향, 2) 부모의 자녀 성취에 대한 낮은 기대와 압력, 3) 가장 믿고 의지하고 싶은 존재인 부모로부터 버려진 경험. 친구관계와 일탈행동에 대해서도 세 가지 면에서 논의하였다: 1) 친구 사회적 지원의 증가와 부모나 교사 사회적 지원의 감소, 2) 일탈행동 촉진자로서 친구와 관련된 생활 환경의 개선, 3) 일탈 청소년 하위집단별 다양한 친구관계 유형. 한편 교사학생관계와 일탈행동에 관련하여서는 다음과 같이 논의점이 정리되었다: 1) 교사와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일탈 청소년, 2) 교사와 부정적인 관계의 회복, 3) 처벌의 효과에 대한 숙고.

  • PDF

영재교육 교원의 선발·확충·지원에 관한 과제 탐색 (Exploring Selection, Expansion, and Support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 장경혜;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81-290
    • /
    • 2019
  • 이 연구는 영재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선발·확충·지원에 대한 현황과 그 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기서 다룬 주요 문제는, 초등은 신임 강사 지원 비율이 낮고 담당 교원이 노령화되고 있으며, 중등의 경우 영재강사 모집 인원에 비해 지원율과 확보율이 저조한 실정이다. 영재 교육 담당 교사들은 일반 학교에서의 수업과 업무는 기본이고, 여러 영재교육 업무로 상당한 체력의 고갈과 시간의 부족에 시달리며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따른 논의 결과 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이 자긍심과 보람을 지니고 열정적으로 영재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 경감이나 강사료 조정, 자체적 연구회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 현직 교사 외에도 전문성을 갖춘 강사 초빙, 금요일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한 수업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개선과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전문성 신장을 위해 영재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 편성하고, 일반 교육과 영재교육의 상호 작용을 통해 영재교육의 긍정적 인식과 결과까지 가져온다면 우리 교육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Knowledge Assessment of Teache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Applied Behaviour Analysis Perspective

  • Saigh, Budor H.;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288-29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knowledge of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regarding applied behaviour analysis (ABA). The study was concerned with teachers' knowledge of ABA, its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barriers to its use and desired training opportunities and/or resources to enhance teacher application of ABA strategies in the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completed by 190 teachers with students diagnosed with ASD in British schools. The results revealed overall knowledge of ABA strategies for classrooms, with only some teachers uninformed about the broad use and some key elements, and general familiarity with skills crucial for applying ABA. Actual knowledge of ABA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application of ABA,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employed a wide range of known strategies. A number of barrier to the application of ABA were noted including a lack of knowledge and training, a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a lack of time and physical resources. Theoretical knowledge is crucial for practical applications; however, practical training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ensure intervention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