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k of sleep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44초

재가 노인의 수면 양상과 우울 및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f Sleep Pattern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Difficulties among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 이예선;탁영란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633-648
    • /
    • 2016
  • 본 연구는 재가 노인들의 수면 양상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하여 확인하고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2008년도 실시된 전국 노인 생활 실태 및 복지 요구 조사(보건복지부, 2008)의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의 남녀 12,087명이었으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들은 연령, 성별, 나이, 기상 시 숙면 정도, 하루의 총 수면시간, 우울, 인지 기능의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 자료분석(secondary data analysis)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학적으로는 나이가 많은 여성들이 수면 양상이 좋지 않았으며 양적 수면의 형태인 하루의 총 수면 시간과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는 하루의 총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이거나 9시간을 넘을 경우 우울 증상이 더 많았으며 질적 수면의 형태인 기상 시 숙면 정도와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는 숙면의 횟수가 적을수록 우울, 인지기능이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면 양상의 변화가 노인들에게서 병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위의 결과들을 볼 때 일차 보건 현장에서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수면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면의 시간과 같은 수면의 양, 숙면 정도와 같은 수면의 질에도 초점을 두어 다각적인 접근을 통하여 노인들의 수면 양상을 확인하고 수면 장애를 관리하기 위하여 대상자 개개인에게 맞는 여러 방법의 중재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Chronic Health Effects of Work-Related Stressors Experienced by Police Communications Workers

  • Perez, Rodolfo A.;Jetelina, Katelyn K.;Reingle Gonzalez, Jennifer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3호
    • /
    • pp.365-369
    • /
    • 2021
  • Background: Law enforcement communications (i.e., 911 dispatch and call takers) is a challenging and stressful occu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stressors associated with employment in law enforcement communications, and to identify and provide context to how these stressors affect workers' health and wellbeing. Methods: This research study included focus groups with 23 call takers and 911 dispatchers employed by a large, urban law enforcement agency in 2018. Themat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rends. Results: Four themes of stressors emerged (i.e., the high stakes nature of some 911 calls for service, understaffing, supervisor-related stress, and recruiting practice). Two health-related themes emerged as being occupation-related: weight gain and poor sleep patterns/insufficient sleep). Specifically, participants reported negative eating habits resulting in weight gain and obesity, lack of sleep and irregular sleep schedules, and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nd/or diabetes since beginning their jobs. Conclusion: Law enforcement communications professionals experience a number of the same stressors facing law enforcement officers in patrol. These stressors, combined with the sedentary nature of the job, could result in long-term, chronic health problems.

Treatment Outcomes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in Mild, Moderate, and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A Preliminary Study

  • Hye Kyoung Kim;Mee Eun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8권3호
    • /
    • pp.96-105
    • /
    • 2023
  • Purpos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MAD) are known to be insufficiently effective in all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s of MAD therapy according to OSA severity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the lack of response to MAD therapy. Methods: A total of 29 patients diagnosed with OSA received an adjustable two-piece MAD treatment. Sleep parameters measured with the home sleep apnea test device, including apnea-hypopnea index (AHI) and oxygen saturation (SpO2), and daytime sleepiness using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both before and after the MAD treatment. Result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HI severity: mild (n=16, AHI<15), moderate (n=6, 15≤AHI<30), and severe OSA (n=7, AHI≥30). MAD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the sleep parameters (p<0.001 for AHI and p=0.004 for minimum SpO2) and daytime sleepiness (p<0.001 for ESS). Furthermore, successful outcomes (reduction in AHI>50% and AHI<10 events/h) were achieved in 83.3% and 71.4% of moderate and severe OSA cases, respectively. Of 13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OSA, 10 were classified as responders and 3 as non-responders. The non-responders had significantly lower baseline value of SpO2 (p=0.049 for average SpO2 and p=0.007 for minimum SpO2) and higher baseline AHI (p=0.049) than the respond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AD is effective i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OSA of varying severities. The success of MAD therapy does not seem to depend solely on AHI severity. In addition to AHI, minimum SpO2 may be a prognostic measure of the efficacy of MAD treatment in clinical dental practice.

의과대학생의 수면 양상과 성적의 관련성 (Sleep Patter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 신서연;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87-93
    • /
    • 2008
  • 목 적:의과대학생은 수면량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는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 습관 및 수면 양상을 알아보고 이것이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 법: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의 수면 양상을 평일과 휴일로 나누어 설문 조사하였고, 수면과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는 생활 습관, PSQI와 학업 성적을 조사하였다. 총 110명(남자 85명, 여자 25명, 평균 연령 $24.4{\pm}20.6$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 군간 연속변수 비교에는 독립 t-검정, 비연속변수 비교에는 $x^2$-검정, 휴일과 평일 간 비교에는 짝짓기 t-검정,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세 군 이상 비교에는 ANOVA를 이용하였다(p<0.05, 양측검정). 결 과:의과대학생들에서 평일보다 휴일에 더 늦게 자고(평일 1:24;휴일 3:12;t=-5.23, p<0.01) 더 늦게 일어나며(평일 7 :38 ;휴일 10 :30 ;t=-24.48, p<0.01), 휴일 수면시간이 더 길었다(평일 5:57;휴일 8:17;t=15.94, p<0.01).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은 군이 좋지 않은 군에 비해 학업 성적이 더 높았다($3.35{\pm}0.52,\;3.07{\pm}0.67$, t=2.05, p<0.05). 학업 성적은 나이(r=-0.23, p<0.05), 하루 흡연량 및 총 흡연량(r=-0.78, p<0.01;r=-0.75, p<0.01), 평일 및 휴일 수면잠복시간(r=-0.23, p<0.05;r=-0.23, p<0.05) 그리고 PSQI 총점(r=-0.3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의과대학생들은 휴일에 비해 평일에 더 늦게 자고, 더 늦게 일어나며, 수면시간이 더 길어 평일 수면이 부족한 양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았고, 수면의 질이 안 좋은 군에서 학업 성적이 더 낮았다.

  • PDF

불임(不姙)과 생활습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nfluence of life-style on infertility)

  • 방정균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4
    • /
    • 2005
  • Among modern people's life-style, the lack of exercise and sleep is related to infertility. Underexercise accumulates damp-sputum, resulting in the insufficiency of essence. It also obstructs the creation of essence, leading to insufficient essence. Activities at night without sleep cannot create the condition to help the process of yin, causing the insufficiency of essence. Fast food is made from the cattle which are fed the feed containing growth hormone and antibiotics in large quantities. Growth hormone causes the process of yang excessively in human body, while antibiotic suppresses the process of yin, leading to excessive damp-heat and hyperactive ministerial fire. Antiseptic included in instant food hampers the process of fermentation, or yin, and inhibits the digestion mechanism, obstructing damp-heat and bringing about hyperactive ministerial fire. Intake of excessive flesh and meat gives rise to incomplete combustion and hinders the creation of essence, causing hyperactive ministerial fire due to the lack of yin. Milk suits the calf that has a rapid growth cycle. Milk intake by humans leads to the rapid process of yang and eventually hyperactivity of ministerial fire. The imbalance between yin and yang, with essence insufficent and ministerial fire hyperactive, causes infertility in three aspects. First, the lack of essence itself makes conception difficult. Secondly, damp-sputum resulting from ministerial fire obstructs the circulation of qi and blood. It also hampers the normal supply of qi and blood to the uterus. Thirdly, the excessive process of yang may result in infertility. Generally speaking, pregnancy starts with implantation. If the excessive process of yang is in progress in body, static condition needed for implantation cannot be maintained, leading to infertility.

  • PDF

Long Commute Time and Sleep Problems with Gender Difference in Work-Life Balance: A Cross-sectional Study of More than 25,000 Workers

  • Kim, Soojin;Kim, Yangwook;Lim, Sung-Shil;Ryoo, Jae-Hong;Yoon, Jin-H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4호
    • /
    • pp.470-475
    • /
    • 2019
  • Background: There is a lack of statistical analysi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roblems and commute time in Korea. We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representative health symptoms, sleep disturbances, and commute time according to working hours in Korea. Methods: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nd unpaid family workers and workers who work fewer than three days in a week were excluded. Commute time, working hours, and sleep hours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sleep problems were calculated using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10 min commute time as the reference group. Results: Among a total of 28,804 workers (men = 14,945, women = 13,859), 2.6% of men and 3.2% of women experienced sleep problems. In both sexes, long commute time (51-60 minutes and >60 minutes) showed an increased OR [men, 2.03 (CI = 1.32-3.13) and 2.05 (CI = 1.33-3.17); women, 1.58 (CI = 1.05-2.39) and 1.63 (CI = 1.06-2.50), respectively]. In stratification analysis of working hours, long commute time (51-60 and > 60 minutes) showed an increased OR in men working >40 hours/week [2.08 (CI = 1.16-3.71) and 1.92 (CI = 1.08-3.41), respectively]. Furthermore, long commute time (41-50, 51-60, and >60 minutes) showed an increased OR in women working >40 hours/week [2.40 (CI = 1.27-4.55), 2.28 (CI = 1.25-4.16), and 2.19 (CI = 1.17-4.16), respectively]. Moreover, commute time >60 minutes showed an increased OR in women working ≤40 hours/week [1.96 (CI = 1.06-3.62)]. Conclusion: This large cross-sectional study highlights that long commute time is related to sleep problems in both sexes. Shorter commute times and decreased working hours are needed to prevent sleep problems in workers.

느린 안구 운동(SEM)과 뇌파의 스펙트럼 동시 분석을 이용한 1단계 수면탐지 (Automatic Detection of Stage 1 Sleep Utilizing Simultaneous Analyses of EEG Spectrum and Slow Eye Movement)

  • 신홍범;한종희;정도언;박광석
    • 수면정신생리
    • /
    • 제10권1호
    • /
    • pp.52-60
    • /
    • 2003
  • 목 적:1단계 수면은, 입면 시점과 관련하여 수면다원기록의 해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1단계 수면은 각성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의 짧은 전이 기간으로, 특징적인 지표가 없어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와 안전도에 대한 디지털 분석을 통하여 1단계 수면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야간수면다원기록 중 검사 시작 시점부터 2단계 수면이 출현하기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알파파와 세타파의 상대 파워를 계산하였고, 알파파의 상대 파워가 50% 이하, 세타파의 상대 파워가 23% 이상일 경우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 변수로 하였다. 또 안구운동의 지속시간이 1.5초에서 4초 사이에 있는 경우에 느린 안구운동(SEM)으로 판정하고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변수로 하였다. 이 들 세 기준 변수들을 고려하여 해당 판독단위에 대해 각성 혹은 1단계 수면으로 최종 판정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는 7명으로 모두 남성이었으며, 23세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69개의 판독단위를 분석하였다. 기준과의 일치도는 79.3%였으며, 카파값은 0.586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느린 안구운동은 169개의 판독단위 중 54개(32%)에서 나타났으며, 70.4%의 일치도를 보였다. 결 론:기존 연구의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판정의 일치도는 70%이다. 본 프로그램의 일치도 79.3%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향상된 것이며, 본 프로그램이 1단계 수면 판정에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뇌파 외에 안전도를 고려한 다중적 접근이 일치도 향상에 기여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1단계 수면 판정에 있어 안전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소아정신과 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평가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Psychiatric Disorders)

  • 신민섭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2호
    • /
    • pp.115-128
    • /
    • 1995
  • Present study reviewed various standardize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methods for children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n child-psychiatric clinic settings to evaluate neurological problems, especially soft neurological signs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by neurological techniques like CT, MRI.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neuropsychological test responses in children with psychiatric disorders that neurological factors are thought to play more important role than psychological factors in their etiology were examined. It is more important and require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al norms for interpreting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for identifying the signs of brain damage in case of children than adult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iagnosing brain dysfunction and conducting research for neurological problems in psychiatric disordered children due to lack of the standardized Korean version of neuropsyhological test for children, Therefore, several issues on developing the Korean version of neuropsyhological tests for children were discussed.

  • PDF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參湯) 투여 후 호전된 과다수면장애 1례 임상 보고 (A Case Report: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Hypersomnolence)

  • 박재경
    •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71
    • /
    • 2019
  • Objective : This case report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hypersomnolence. Methods : A 33-year-old woman complained of hypersomnolence with fatigue and lack of concentration in the daytime. According to the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DPI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Baekhogainsam-tang decoction. The result was evaluated by the Epworth Sleep Scale. Results : After administration of Baekhogainsam-tang decoction for 30 days, the Epworth Sleep Scale score was decreased from 15 (pathologic sleepiness) to 1 (no clinically significant sleepiness). Conclusions : The patient completely recovered from hypersomnolence and fatigue following treatment with Baekhogainsam-tang decoction according to DPIDS.

자동 분석을 이용한 1단계 수면탐지 (Automatic Detection of Stage 1 Sleep)

  • 신홍범;한종희;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9
    • /
    • 2004
  • 1단계 수면은, 입면 시점과 관련하여 수면다원기록의 해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1단계 수면은 각성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의 짧은 전이 기간으로, 특징적인 지표가 없어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와 안전도에 대한 디지털 분석을 통하여 1단계 수면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야간수면다원기록 중 검사 시작 시점부터 2단계 수면이 출현하기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알파파와 세타파의 상대 파워를 계산하였고, 알파파의 상대 파워가 50% 이하. 세타파의 상대 파워가 23% 이상일 경우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 변수로 하였다. 또 안구운동의 지속시간이 1.5초에서 4초 사이에 있는 경우에 느린 안구운동으로 판정하고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 변수로 하였다. 이 들 세 기준 변수들을 고려하여 해당 판독 단위에 대해 각성 혹은 1단계 수면으로 최종 판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7명으로 모두 남성이었으며, 23세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69개의 판독 단위를 분석하였다. 기준과의 일치도는 79.3%였으며, 카파 값은 0.586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느린 안구운동은169개의 판독 단위 중 54개(32%)에서 나타났으며, 70.4%의 일치도를 보였다. 기존 연구의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판정의 일치도는 70%이다. 본 프로그램의 일치도 79.3%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향상된 것이며, 본 프로그램이 1단계 수면 판정에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뇌파 외에 안전도를 고려한 다중적 접근이 일치도 향상에 기여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1단계 수면 판정에 있어 안전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입되는 환경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해안 또는 매립지에 적용될 경우 해수와 침출수에 의한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초순수 중에서 양생 시켰을 때 보다 강도발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시멘트 종에 따라서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마이크로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도의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누출 및 6가 크롬의 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라우트재의 종류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은 현재 규제치를 초과하여 용출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과압 또는 과량의 주입이 6가 크롬의 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현장과 다른 특수한 현장에서는 강도 및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량을 고려한 재료 선택 및 배합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