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ur proces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19초

능력과 실행의 차원에서 본 맑스의 노동과정 분석 (An Analysis on Marx's Labour Process Focusing on the Dimension of Capability and Execution)

  • 박지웅
    • 사회경제평론
    • /
    • 제29권1호
    • /
    • pp.155-197
    • /
    • 2016
  •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많은 논자들이 인간의 능력을 존재의 형태로 파악해왔다. 주류경제학의 시장 분석, 맑스의 자본제적 노동과정 분석 심지어 사회주의 국가의 사회주의적 노동과정 분석에서 실행에 앞서 능력을 전제하였다. 물론 맑스는 자본제적 노동과정에서 능력의 가치와 실행의 가치가 다르고 생산자가 생산물을 자신의 것으로 가지지 못하는 타율성을 밝혀낸다. 사회주의적 노동과정이라고 해서 타율의 올가미를 벗겨내지 못했다. 타율의 올가미를 벗겨내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발상의 전환은 구체적으로 노동을 수단이 아니라 삶 그 자체로서 목적인 본래의 노동으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인간의 능력은 잠재적이다. 잠재를 존재의 형태로 규정할 수 없다. 인간의 능력은 자유의지를 통해 고양될 수 있다.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의 '필요에 따른 분배' 원칙에 따라 (생활수단 뿐만 아니라 생산수단)의 개인적 소유를 재건함으로써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고양하는 완벽한 자유를 구가할 수 있다.

산부의 가족분만참여 요구 (A study on needs of women in labour to have family participation during the labour process)

  • 김혜숙;최연순;장순복;전은미;정재원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8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suggest modification in the present hospital policy for Labour and Delivery which separates women in labour from their families. The design for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e number of subjects consisted of 82 postpartum women who had delivered within 12 hours and for whom there were no complications either for the mothers or for the newborns.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i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of subjects (90.2%) wanted their family to participate in the labour process. Husband were chosen as the primary participant(79.3%). The number of subjects who wanted their family to support them through the whole labour process (35.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uring labour(32.9%), as contrasted to, during delivery (1.2%). 2. Support from husband during pregnancy ranged from 55.6%-87.6% for all items. Primary support was from husband during the pregnancy. 3. The subjects wanted support from their families in labour by way of encouraging(84.1%), consolidating(81.7%), changing position(43.9%), maintaining relaxation(35.4%) and helping with respiration control (29.3%). The results showed higher support on the emotional level than the physical and informational level (26.8%). 4.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expected that participation by their family during the labour process would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security for the women in labour(79.3%), providing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the women in labour (57.3%) and the newborns(34.1%), and making for an easier labour courses (23.2%). 5. The priority of family members that the subjects wanted support from was, the husband, mother and mother-in-law in that order. It can be concluded that nurses help to maintain a management policy in the maternity setting which ignores the needs of the women in labour. If consideration is to be given to these subjects, future programs should include participation by the family in the labour process.

  • PDF

산부가족의 분만참여 요구 (Study on the families' participation need for labour women)

  • 장순복;최연순;김혜숙;조영숙;이혜우
    • 대한간호
    • /
    • 제31권3호
    • /
    • pp.62-75
    • /
    • 1992
  • This study was done to suggest basic modifications in the present situation for the family of women in labour which is a separation management method.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The number of the subjects were 80. they were husbands, mothers in law, and mothers of women in labour who were full term and for whom there were no complications, either for the mother or the fetus.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analyzed using frequenc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subjects(95.0%)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labour process. 2. The subjects wanted to support the women in labour by way of encouraging(95.0%), consoling (95.0%), listening to(75.0%), praying with(68.8%), hand holding(97.5%), stroking(63.8%), helping with respiration control(50.0%), maintaining relaxation(46.3%), changing position(58.8%), and illustration (58.8 %). 3.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expected their participation to have the effect of an easier labour course(52.5%), security for the women in labour(95.0%), and providing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 women in labour(66.3%) and the new baby(55.0%). 4. The priority of the response as to who is the best supporter was husband, and mother of the women in labour in that order. It can be concluded that nurses maintained a management method which ignored the needs of the families of women in labour. If given consideration is to be given to these subjects, future programs should initiate ways to let the families participate in the labour process.

  • PDF

이용자를 통한 미디어 자본의 가치 창출 (The Valorization of Media Capital through User's Activities)

  • 김동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0권
    • /
    • pp.165-188
    • /
    • 2015
  • 오늘날 변화된 미디어 지형에서 미디어를 이용하는 활동이 자본의 가치증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미디어 정치경제학과 비판언론학에 새로운 연구 영역과 노동가치론의 시각을 제시해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디어 이용 활동을 포스트 포드주의 축적 체제의 새로운 노동 범주로 파악하거나 자본이 스스로 생산하지 못하는 지대라는 관점을 넘어설 새로운 매개 개념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수용자상품론을 또 다른 상품의 생산을 위한 자본재로 파악하는 입장을 토대로 미디어 이용 활동을 이 자본재를 생산하기 위한 노동의 대상임을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자본재 생산의 노동이 이루어지는 시공간으로 미디어 플랫폼이 그 중심에 있음을 논했다. 이러한 재개념화를 통해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연구 영역은 플랫폼을 통한 가치의 창출이라는 범위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영국의 근로복지(Workfare) 개혁에 관한 연구 : 노동당의 이념적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Workfare Reform in Britain :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Ideological Change of Labour Party)

  • 문진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1호
    • /
    • pp.45-70
    • /
    • 2004
  • 본 논문은 영국 블레어 정부의 근로복지 개혁이 유럽대륙 국가의 개혁과는 다른 한편으로, 미국식 신자유주의적 재편과도 다른 성격을 가지고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규명할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근로복지형 제도의 도입과정을 영국 노동당의 이념적 변화, 특히 당헌 제4조의 개정을 둘러싸고 나타난 당내(黨內) 좌 우파간의 갈등과 타협을 통해서 신노동당 프로젝트가 성립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영국 노동당의 제3의 길과 신노동당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노동당의 이념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의 상호주의 원칙'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이러한 상호주의 원칙이 1997년 집권 이후 전개되고 있는 영국의 근로복지 개혁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 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영국의 근로복지 개혁이 유럽대륙 국가와 다른 한편으로, 미국식 근로복지 개혁과도 다르게 전개되는 배경과 그 원인을 영국의 독특한 정치질서에서 찾고, 특히 노동당의 이념적 체질변화 과정에서 확립된 상호주의 원칙이 근로복지 개혁을 지도하였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 PDF

기술위험 거버넌스에서의 역할분담: 영국과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 공론화 사례 (Division of Labour in Risk Governance: Cases of Public Deliberation for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the UK and Korea)

  • 이윤정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59-191
    • /
    • 2016
  • 과학기술 전문가가 근거를 제시하고 정책관료가 결정을 내리던 기존의 정책결정체계와는 달리, 불확실성과 이해관계 대립으로 특징지어지는 기술위험 영역에서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이 바람직한 모델로 상정되어왔다. 이어 여러 가지 정책실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누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술위험 거버넌스에 대한 사회적 배경이 다른 두 나라인 영국과 한국에서 각각 수행된 방사성폐기물 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공론화 프로그램을 역할분담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본고는 영국과 한국의 공론화 프로그램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참여자 그룹이 어떻게 정의되고, 어떠한 근거로 역할이 상정되며, 적용된 의사결정방법은 무엇인지에 관해 논의한다. 공론화과정의 사례연구를 통해 많은 기술선진 민주주의 사회에서 지지 받고 있는 '참여를 통한 의사결정'이라는 기술위험 거버넌스의 규범이자 방법론이 실제 각기 다른 정치사회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 지를 살펴본다. 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공론화에 대한 오랜 경험을 가진 영국과의 비교분석은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정책과 나아가 기술위험 거버넌스를 위한 정책도구를 정교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RFID를 이용한 공정개선 방안-중소기업의 포장공정 사례 중심 (A RFID-based Process Improvement Methodology: Packing Process of Medium size Enterprise)

  • 손미애;김원;강성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7-75
    • /
    • 2007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국방, 물류/유통, 도서 관리 등의 분야에서 바코드를 대체하는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적용 범위가 제품 생산이나 판매 유통 관리 등의 분야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RFID 기술을 공정관리에 적용해 본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통단계뿐 아니라 제품의 이력관리 및 품질관리에 RFID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제조 및 포장공정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RFID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현재 바코드를 부착하는 공정을 RFID로 변경하였을 때 공정 개선 효과를 산출하였으며, 연구 결과 RFID 도입에 소모되는 초기 투자 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 비용절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높은 초기 비용으로 인해 바코드에서 RFID로의 교체를 망설이는 제조업체들의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New Labour Government Policy and Preschool Education in England

  • Kwon Young-Ihm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3권1호
    • /
    • pp.21-36
    • /
    • 2002
  • Recentl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ngland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level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cluding reforms for improving it. This study examines to what extent new Labour government initiatives impact preschool education in England and how effectively the English government implements its preschool education policies. This empirical study uses a combination of methods, including documentary analysis,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 Findings show that recent English government policy,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a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framework combined with an inspection process and funding mechanism, appears to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preschool practices.

노동과 건강 불평등, 그 근원은 어디인가? (What is the Origin of Inequalities in Work and Health?)

  • 손미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3호
    • /
    • pp.241-251
    • /
    • 2005
  • There has been an enormous increasing trend of widening gap of social inequalities since economic crisis at the end of 1997 in Korea. Since then, Korean society has deteriorated in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the unemployment rate, temporary or casual workers and absolute poverty have increased. This paper presents the origin of inequalities in work and health in Korea. The origin of inequalities in work begin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ist and labourers in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The conception and execution are dissolved in the work process in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Thus, captitalists become control over ther labour process from workers. An alienation of the work process from the workers. The distribution of work is the majour source if inequalities in many countries as well as Korea. This paper presents the increasing tendency of unhealthy states such as mortality, early death, morbidity, physical work load, workplace injury amongst the under-privileged: ordinary workers, unemployed people, casual workers and socially deprived peopl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