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vision of Labour in Risk Governance: Cases of Public Deliberation for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the UK and Korea

기술위험 거버넌스에서의 역할분담: 영국과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 공론화 사례

  • 이윤정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부)
  • Received : 2016.09.04
  • Accepted : 2016.11.01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In order to deal with uncertainty and conflicting interests in technological risk policy-making, various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models have been practiced. This participatory approach is an alterative to the traditional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making where scientific experts provide evidence and government officials make decisions. However, there still remain different opinions on who should play what kind of role in decision-making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division of labour in the public deliberations for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olicy carried out in the UK and Korea. It discusses the ways in which various actors are defined, and the rationales are employed for allocating actors to certain roles and participatory methods. In so doing, this paper unfolds the ways in which the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ocess for risk governance is delivered in real policy contex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vealed in the division of labour of two case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olicy and the policy instruments for risk governance.

과학기술 전문가가 근거를 제시하고 정책관료가 결정을 내리던 기존의 정책결정체계와는 달리, 불확실성과 이해관계 대립으로 특징지어지는 기술위험 영역에서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이 바람직한 모델로 상정되어왔다. 이어 여러 가지 정책실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누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술위험 거버넌스에 대한 사회적 배경이 다른 두 나라인 영국과 한국에서 각각 수행된 방사성폐기물 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공론화 프로그램을 역할분담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본고는 영국과 한국의 공론화 프로그램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참여자 그룹이 어떻게 정의되고, 어떠한 근거로 역할이 상정되며, 적용된 의사결정방법은 무엇인지에 관해 논의한다. 공론화과정의 사례연구를 통해 많은 기술선진 민주주의 사회에서 지지 받고 있는 '참여를 통한 의사결정'이라는 기술위험 거버넌스의 규범이자 방법론이 실제 각기 다른 정치사회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 지를 살펴본다. 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공론화에 대한 오랜 경험을 가진 영국과의 비교분석은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정책과 나아가 기술위험 거버넌스를 위한 정책도구를 정교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4a), "제 21차 회의 속기록".
  2.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4b), "제 24차 회의 속기록".
  3.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4c), "제 25차 회의 속기록".
  4.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4d),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실행계획".
  5.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a), "제 31차 회의 속기록".
  6.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b), "제 32차 회의 속기록".
  7.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c), "공론화 의견수렴 자료집".
  8.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d), "서울 타운홀미팅 보고서".
  9.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e), "공론조사 보고서".
  10.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f),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609일간의 기록".
  11.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2015g), "사용후핵연료 관리에 대한 권고안".
  12. 산업통상자원부 (2016),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안)". (정부행정예고 2016년 5월 26일)
  13. 원전소재지역 특별위원회 (2013), "제2차 회의 속기록".
  14. 원전소재지역 특별위원회 (2014a), "제6차 회의 속기록".
  15. 원전소재지역 특별위원회 (2014b), "제7차 회의 속기록".
  16. 이영희 (2010), "핵폐기물 관리체제의 국제비교: 기술관료적 패러다임 대 과학기술사회론적 패러다임", 경제와 사회, 제85호, pp. 67-92.
  17. 이영희 (2013),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를 위한 사회적 의사결정과 전문성의 정치: 한국과 스웨덴의 비교", 동향과 전망, 제88호, pp. 249-289.
  18. 이윤정 (2015),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논의와 실험에 내재된 도구적 관점: 영국 공론화 사례 중심", 기술혁신연구, 제23권 제2호, pp. 1-31. https://doi.org/10.14383/SIME.2015.23.2.1
  19. 정익철 (2009), "사용후핵연료 관련 대중 및 이해관계자 참여 설계와 적용방안 연구", 한국수력원자력 연구용역 보고서.
  20. 정지범 (2010), "입지정책분야에서의 갈등과 조정: 경주 방폐장과 스웨덴 방폐장 사례 비교연구", 행정논총, 제48권 제4호, pp. 145-170.
  21. 정태석 (2013), "독일과 한국에서 핵에너지 정책 결정과정에서의 국가-시민사회 관계 비교와 전문성 정치의 함의", 지역사회학, 제15권 제1호, pp. 31-56.
  22. 채종헌.정지범 (2010),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 정책의 공론화와 갈등예방에 관한 연구: 사용후핵연료 관리체계 및 공론화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3. Leem, Sung Jin (2015), "Nuclear Waste Disposal Policy and Governance in South Korea",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2권 제3호, pp. 167-187.
  24. Blowers, A. (1996), "Transboundary Transfers of Hazardous and Radioactive Wastes", In Sloep, P. and Blowers, A. (eds.) Environmental Policy in An International Context: Conflicts of Interest, London: Open University of the Netherlands, pp. 151-186.
  25. Blowers, A., Lowry, D. and Solomon, B. (1991),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Nuclear Waste, London: Macmillan.
  26. Chilvers, J. (2007), "Towards Analytic-deliberative Forms of Risk Governance in the UK? Reflecting on Learning in Radioactive Waste", Journal of Risk Research, Vol. 10, No. 2, pp. 197-222. https://doi.org/10.1080/13669870601147581
  27. Collins, H. M. and Evans, R. (2002), "The Third Wave of Science Studies: Studies of Expertise and Experienc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32, No. 2, pp. 235-296. https://doi.org/10.1177/0306312702032002003
  28. CoRWM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2004a), "6th Plenary Meeting Minute", (April 2004). London: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29. CoRWM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2004b), "7th Plenary Meeting Minute", (May 2004). London: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30. CoRWM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2006), "Managing Our Radioactive Waste Safely: CoRWM's Recommendations to Government", London: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31. Demeritt, D., S. Dyer and J.D.A. Millington (2009), "Pest or Panacea? Science, Democracy, and the Promise of Public Participation", (Environment, Politics and Development Working Paper Series No. 10). London: Department of Geography, King's College London.
  32. Dryzek, J. (2000), Deliberative Democracy and Beyo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3. Faulkland Associates (2006), "Evaluation CoRWM Final Evaluation Statement". (CoRWM Doc No 2071).
  34. Irwin, A. (2006), "The Politics of Talk: Coming to Terms with the 'New' Scientific Governanc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36, No. 2, pp. 299-320. https://doi.org/10.1177/0306312706053350
  35. Kemp, R.V., D.G. Bennett and M.J. White (2006), "Recent Trends and Developments in Dialogu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Experience from the UK",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32, No. 8, pp. 1021-1032. https://doi.org/10.1016/j.envint.2006.06.010
  36. Mackerron, G. and Berkhout, F. (2009), "Learning to Listen: Institutional Change and Legitimation in UK Radioactive Waste Policy", Journal of Risk Research, Vol. 12, No. 7-8, pp. 989-1008. https://doi.org/10.1080/13669870903126085
  37. Morton, A., Airoldi, M. and Phillips, L.D. (2009), "Nuclear Risk Management on Stage: A Decision Analysis Perspective on the UK's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Risk Analysis, Vol. 29, No.5, pp. 764-779. https://doi.org/10.1111/j.1539-6924.2008.01192.x
  38. Renn, O. (1998), "The Role of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Dialogue for Improving Risk Management", Risk Decision and Policy, Vol. 3, No. 1, pp. 5-30. https://doi.org/10.1080/135753098348310
  39. Renn, O., Webler, T. and Wiedemann, P. (1995), Fairness and Competence in Citizen Participation: Evaluating Models for Environmental Discourse, Dordrecht and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40. Stern, P. and Fineberg, H. (eds.) (1996), Understanding Risk: Informing Decisions in a Democratic Societ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1. Wynne, B. (1991), "Knowledges in Context",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Vol. 16, No. 2, pp. 111-121. https://doi.org/10.1177/016224399101600108
  42. Wynne, B. (2002), "Risk and Environment as Legitimatory Discourses of Technology: Reflexivity Inside Out?", Current Sociology, Vol. 50, No. 3, pp. 459-477. https://doi.org/10.1177/0011392102050003010
  43. Wynne, B. (2006), "Public Engagement as a Means of Restoring Public Trust in Science-Hitting the Notes, but Missing the Music?", Community Genetics, Vol. 9, No. 3, pp. 211-220. https://doi.org/10.1159/000092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