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orization of Media Capital through User's Activities

이용자를 통한 미디어 자본의 가치 창출

  • 김동원 (공공미디어연구소 정책팀)
  • Received : 2015.02.01
  • Accepted : 2015.03.28
  • Published : 2015.04.15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s: Are media user's activities labour? Or rent? These questions have provoked a debate in the critical media studies and Marx's theory. But it is not a matter of choosing either labour or rent. Even if user's activities could contribute to valorization, it needs some mediating process. Media Platforms-Google, Facebook, etc.-play a key role, and have to employ other forms of labour. Labour in media platform produces some capital commodities. In view of media platform, Smythe's audience commodity can be considered as capital commodity. Assertion in this paper expected to provoke new debate on media platforms and its labourer.

오늘날 변화된 미디어 지형에서 미디어를 이용하는 활동이 자본의 가치증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미디어 정치경제학과 비판언론학에 새로운 연구 영역과 노동가치론의 시각을 제시해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디어 이용 활동을 포스트 포드주의 축적 체제의 새로운 노동 범주로 파악하거나 자본이 스스로 생산하지 못하는 지대라는 관점을 넘어설 새로운 매개 개념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수용자상품론을 또 다른 상품의 생산을 위한 자본재로 파악하는 입장을 토대로 미디어 이용 활동을 이 자본재를 생산하기 위한 노동의 대상임을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자본재 생산의 노동이 이루어지는 시공간으로 미디어 플랫폼이 그 중심에 있음을 논했다. 이러한 재개념화를 통해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연구 영역은 플랫폼을 통한 가치의 창출이라는 범위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