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atory instructi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8초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Teachers' Questioning in Verification Laboratory Instruction and Discovery Laboratory Instruction)

  • 김오범;안은하;김은애;고민석;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354-1366
    • /
    • 2013
  • 이 연구는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에서 교사 발문 유형을 분석하여 두 수업유형별 교사 발문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에서 교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발문 유형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두 실험수업유형 모두에서 폐쇄적 발문의 사용이 많았다. 이는 교사들이 두 실험수업유형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단지 개념습득에 핵심적인 주안점을 두고 실험수업을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에서 아동들의 과학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기회를 적게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방적 발문의 사용이 적어 아동들의 과학적 사고를 촉진시키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과학 실험을 위한 수업 전략 수립할 때, 실험수업유형별 특성에 적합하고 실험수업유형을 보완할 수 있는 발문 전략을 잘 계획해야 할 것이며, 이를 잘 활용한다면 과학실험수업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과학적 실험과 공학적 실험에서 초등교사의 수업 과정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Laboratory Instruction Process through Experiments from Science Laboratory and Engineering Laboratory)

  • 임재근;이소리;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515-52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d their classes of a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and an engineer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a science subject class. For this study, science laboratory and engineering laboratory lessons were selected and for each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atory lesson,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video-recorded of their lessons. The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atory lessons were analyzed by utilizing processes of the science model and the engineering model based on Schauble et al. (1991).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In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some participants didn't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laboratory goal and the engineering laboratory goal. All of participants used search and end strategy of engineering laboratory for science laboratory lesson. In engineering laboratory instruction, all of participants guided to students engineering laboratory goal and used inferences and search strategy of engineering laboratory. However they didn't use the trial and error strategy or redesign which can be an essential element in engineering and design proces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The Development of Laboratory Instruction Classification Scheme)

  • 양일호;정진우;허명;김석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2-355
    • /
    • 2006
  •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실험수업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류틀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의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실험수업의 다양한 특성들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실험수업 분류틀(CSLI)을 생성하였다. 실험수업 분류틀(CSLI)은 실험수업에 따르는 절차와 접근방식의 두 개의 분류자로 구성하였다. 실험수업에 따르는 절차는 절차 제시의 주체에 따라 절차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경우와 학생들에 의해 설계되는 학생생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수업의 접근 방식은 개념 제시의 순서에 따라 연역적 접근과 귀납적 접근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였다. 두 개의 분류자에 의해 실험수업을 네 가지 유형 - 확인실험, 발견실험, 탐색실험, 연구실험 -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실험수업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기술하였다. 개발한 실험수업분류틀에 대해서 과학교육전문가 6인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분류틀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이 현장검증의 부족으로 인해 실험수업의 다양한 특성을 제한적으로 나타낼지라도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한 모델로서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초 . 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 양일호;김석민;조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5-241
    • /
    • 2007
  • 이 연구는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을 사용하여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실험수업의 유형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의 타당도는 4.23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100차시, 중등학교에서 30차시의 실험수업이 분석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실험수업들의 유형을 분석결과, 분석자간 일치도는 0.91이었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발견실험수업과 확인실험수업이 주요 수업 유형임이, 중등학교에서는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이 주요 수업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대부분 실험절차가 교사나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주어지고 있었다. 실험의 접근방식은 초등에서는 귀납적인 형태가 많았고, 중등에서는 연역적인 형태가 많았다.

Design of 32 bit Parallel Processor Core for High Energy Efficiency using Instruction-Levels Dynamic Voltage Scaling Technique

  • Yang, Yil-Suk;Roh, Tae-Moon;Yeo, Soon-Il;Kwon, Woo-H.;Kim, Jong-Dae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7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design of high energy efficiency 32 bit parallel processor core using instruction-levels data gating and dynamic voltage scaling (DVS) techniques. We present instruction-levels data gating technique. We can control activation and switching activity of the function units in the proposed data technique. We present instruction-levels DVS technique without using DC-DC converter and voltage scheduler controlled by the operation system. We can control powers of the function units in the proposed DVS technique. The proposed instruction-levels DVS technique has the simple architecture than complicated DVS which is DC-DC converter and voltage scheduler controlled by the operation system and a hardware implementation is very easy. Bu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osed instruction-levels DVS technique having dual-power supply is similar to the complicated DVS which is DC-DC converter and voltage scheduler controlled by the operation system. We simulate the circuit simulation for running test program using Spectra. We selected reduced power supply to 0.667 times of the supplied power supply.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osed 32 bit parallel processor core using instruction-levels data gating and DVS techniques can improve about 88.4% than that of the 32 bit parallel processor core without using those. The designed high energy efficiency 32 bit parallel processor core can utilize as the coprocessor processing massive data at high speed.

Academic Research Inspired Design of an Expository Organic Chemistry Lab Course

  • Kim, Thomas Taehyung;Kim, Hyunwoo;Han, Sunkyu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99-105
    • /
    • 2018
  • In this paper, we present fortified instructional methods that contributed i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toward the expository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ourse. Reformed TA (Teaching assistant) training and allocation method, a thorough course orientation session, text-light/graphics-heavy results PPT reports, and journal article templated-term papers have improved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ourse. These methods could be implemented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instruction styles and hence could be broadly applicable.

우수한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과학실험 유형과 학습양식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of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 우주;이향연;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06-3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유형별 실험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과학성적 우수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을 검사한 후 확인실험, 발견실험, 탐색실험, 연구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이 끝난 후 각 실험수업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별로 그룹화 하였으며 그룹 별 학습양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개인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이 있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동기화(자기-동기화, 부모-동기화, 교사-동기화)와 구조화 선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우수 학생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을 선호하였다. 또한 이런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은 학습양식 중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은 서로 관계가 있었다.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구조화되고 폐쇄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신체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Dunn과 Dunn(1993)의 학습양식 측정 결과가 일반 수업뿐 아니라 실험수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고등학교 물리의 기체 분자 운동론에서 웹 활용 모의실험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Web-Aided Laboratory on Molecular Dynamics of High School Physics Course)

  • 노학기;공윤식;박창영;정기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7-55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물리교과의 '기체분자 운동론'단원에 대한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을 개발 적용하여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서 미치는 효과를 조별 전통실험 집단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농촌지역에 위치한 고등학생(조별 전통실험 집단 1학급,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 집단 1학급)을 대상으로 기체 분자 운동론 단원에 대하여 실험 처치를 2차시동안 실시하였다. 모의 시험은 기체에 대한 실험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를 시각화하여 눈에 보이는 입자로 표현되었고, 온도 및 압력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웹 활용 모의실험 집단은 개발된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실험하였고, 전통실험 집단은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을 4인 1조로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로 사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사전 학습동기(PALS) 검사,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학생들의 사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사후 학습동기(IMMS) 검사,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과 조별 전통실험 집단간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는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 집단이 조별 전통실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확인 실험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교사들의 교수 행동 절차 분석 (The Analysis of th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Behavior Procedure in Verification-Type Laboratory Instruction)

  • 양일호;조현준;윤영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418-42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behavior procedure in verification-type laboratory instructions. In order to do this, we should know first what constituted the teaching behavior elements in the teachers' instructions, before the teaching behavior can be analyzed. Thirty sets of instructions were recorded and their transcrip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teaching behaviors numbered twenty four in total, and that the teaching behaviors could be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and finally the procedure used in verification-type laboratory instructions generally followed seven steps. These step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reminding subjects of the preliminary learned concept, presenting inquiry type questions or introducing the main concept, explaining the method used or presenting the predictable outcome/matter for verification, performing lab-based activities, presenting the outcomes, applying the main concept, and finally closing the i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more authentic scientific inquiries using these types of instructions, the authors's claims were discussed.

  • PDF

공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문제해결식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 김익수;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laboratory instruction's approaches and learning principa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process was composed with identifying problems, generating alternative solutions, investigation and research, choosing a solution, acting on a plan, modeling of problem solving, testing and evaluating, redesigning and improving. The skills schema combines a four domain of skilled activity, that is, cognitive skills, psychomotor skills, reactive skills and interactive skil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as composed with five major learning systems-emotional, social, cognitive, physical, and reflective-that can be used extensively as generic lesson plashing. The teacher serves as a coach or guide for student learning. As a facilitator, the teacher challenges, questions, and stimulates the students in their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study. In this process, students represent problem with think aloud,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and mov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