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obilit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생의 졸업연기 유형과 취업성과 : 취업목적 휴학의 효과를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nd Employment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Effects of Employment-Oriented Delay on the Employment Outcomes)

  • 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28-236
    • /
    • 2017
  • 본 논문은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있어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4GOMS)'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정규학기 졸업과 비교해 취업여부와 첫 일자리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취업확률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은 투명한 채용기준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이 필요한 역량계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은 학생들이 재학 중 단기 일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야 하며, 정부는 이중노동시장 구조를 완화하고 불평등을 해소하여 청년층의 첫 일자리 선택에 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Roy's Adaptation Model에 의한 모성영역에서의 간호진단 확인연구 (A Study for Identification of Nursing Diagnosis using the Roy's Adaptation Model in Maternity Unit)

  • 조정호
    • 대한간호
    • /
    • 제33권3호
    • /
    • pp.79-9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ful nursing diagnosis in maternity unit and to suggest formally the basal data to the nursing service with scientific approach. The subject for this paper were 64 patients who admitted to Chung Ang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Mar. 10, to July 21,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is from 64 patients were 892 and average number of nursing diagnosis per patient was 13.9. 2. Applying the division of nursing diagnosis to Roy's Adaptation Model, determined nursing diagnosis from the 64 patients were 621 (69.6%) in physiological adaptation mode and (Comfort, altered r/t), (Injury, potential for r/t), (Infection, potential for r/t), (Bowel elimination, altered patterns r/t), (Breathing pattern, ineffective r/t), (Nutrition, altered r/t less than body requirement) in order, and 139 (15.6%) in role function mode, (Self care deficit r/t), (Knowledge deficit r/t), (Mobility, impaired physical r/t) in order, 122 (13.7%) in interdependence adaptation mode, (Anxiety r/t), (Family Process, altered r/t) in order, 10(1.1%) in self concept adaptation mode, (Powerlessness r/t), (Grieving, dysfunctional r/t) in order. 3. Nursing diagnosis in maternity unit by the medical diagnosis, the average hospital dates were 3.8 days in normal delivery and majority of used nursing diagnosis, (Comfort, altered r/t) 64.6%, (Self care deficit r/t) 13.6% in order, and the average hospital dates were 9.6 days in cesarean section delivery and majority of used nursing diagnosis, (Comfort, altered r/t) 51.6%, (Self care deficit r/t) 15.2%, (Infection, potential for r/t) 9.9%, (Injury, potential "for r/t) 8.1%, (Anxiety r/t) 5.0%, (Mobility, impaired physical r/t) 3.3% in order, and the average hospital dates were 15.8days in preterm labor and majority of used nursing diagnosis, (Comfort, altered r/ t), (Anxiety r/t), (Injury, potential for r/t) in order, and the average short-term hospital dates were 2.5days, long-term hospital dates were 11.5days in gynecologic diseases and majority of used nursing diagnosis, (Comfort, altered r/t). (Self care deficit r/t), (Injury, potential for r/t), (Infection, potential for r/t) in order.

  • PDF

집중재활프로그램이 하지 절단 환자의 신체활동 및 의지 착용감에 미치는 영향 -후향적 연구- (Effect of an Int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Activity and Wearing Satisfaction in Traumatic Lower Limb Amputees -A Retrospective Study-)

  • 김진홍;홍예지;김유리;이강표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3호
    • /
    • pp.453-46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intensively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gait, balance, functional performance, and wearing satisfaction of patients with traumatic lower extremity amputation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Methods: In this study, the anonymiz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among those who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belonging to the Labor Welfare Corporation) due to an industrial accident from August 2018 to September 2019 were collected. As a result, the records of 12 subjects meeting the screening criteria were analyzed. Results: According to the time of application to the int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the 10 Meter Walk Test (10MWT) (p < 0.01), Berg Balance Scale (BBS) (p < 0.01), Timed Up and Go Test (TUG) (p = 0.01), the L Test of Functional Mobility (L-test) (p < 0.01), Prosthetic Limb Users Survey of Mobility (Plus-M) (p < 0.01), and Houghton Score Question (HSQ) (p < 0.01) value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im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an int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gait, balance, functional performance, and wearing satisfaction of patients with traumatic lower extremity amputation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by the absence of a control group, and, thus, it highlights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with a large sample.

기업규모별 비자발적 비정규직의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Involuntary Non-standard Employment by Firm Size)

  • 김진하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1호
    • /
    • pp.39-81
    • /
    • 2018
  • 본 연구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노동시장에서 사용자와 자발적 계약에 의한 매칭이 실현되는가에 주목하고 기업규모별로 입지가 다른 상황을 고려하여 비자발적 선택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노동이동에 관한 push/pull 이론 하에서 자발적/비자발적 비정규직으로 분류하였다. 2016년 8월 경활 부가조사에 의하면 기업규모가 작아질수록 비자발적 비정규직의 비중이 자발적 비정규직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 대기업에서의 비정규직은 자발과 비자발로 구분하는 것이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과 영세기업에서는 장년층, 저학력일수록 비자발적 선택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영세기업에 비자발적으로 입직할 유인이 중소기업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정규직에 관한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2차 노동시장의 비자발적 비정규직을 정책 대상으로 삼고, 비자발적 선택 이유가 되는 보상, 전공 경력의 미스매칭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소 영세기업의 급여 및 근로조건 개선뿐만 아니라 직무능력 및 경력에 맞는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는 고용서비스 시스템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이동약자를 위한 AI 홈케어 솔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I Home Care Solution for the Mobile Vulnerable)

  • 노창배;나원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65-170
    • /
    • 2023
  • 이동약자가 집에서 밖으로 나오는 순간부터 이동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보호자들 또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 사회적 약자인 가족을 보호시설에 위탁하게 되는 경우 피보호자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보호자의 불안감과 수고를 덜어주고, 보호시설 관계자와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AI 홈케어 솔루션에 대한 설계를 하게 되었다. 비영리재단, 보호시설에 서비스를 무료로 배포하여 사용하는 시설이 많아진다면 보호자의 걱정이 줄어들고, 시설 이용자들을 관리해야 하는 시설 관계자의 부담도 줄어들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약자를 고려하여 이동과 관련한 모든 데이터인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위치, 상태 알람뿐만 아니라 위급한 일이 발생하면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시설 관계자의 편의와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 기능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동약자가 이용하는 셔틀의 위치, 승하차 시간 등 보호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감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시설 관리자는 봉사의 질, 이동약자는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데 목표가 있다.

자동 과일 수확을 위한 드론 탑재형 과일 인식 알고리즘 및 수확 메커니즘 (Drone-mounted fruit recognition algorithm and harvesting mechanism for automatic fruit harvesting)

  • 주기영;황보현;이상민;김병규;백중환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2022
  • 최근 드론의 역할은 농업∙건설∙물류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농업인구가 고령화되는 현 상황에 따라 드론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효과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농업 현장에서의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하고 높은 위치의 과일도 안전하게 수확할 수 있는 드론 탑재형 과일수확 시스템을 제안한다. 과일수확 시스템은 과일인식 알고리즘과 과일수확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일인식 알고리즘은 딥러닝 기반의 객체탐지 알고리즘인 You Only Look Once를 사용하였고,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하나의 모터로 구동이 가능한 과일수확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모터의 회전운동을 기반으로 Scotch yoke을 구동시켜 선형운동으로 변환하여 gripper가 전개된 상태에서 과실에 접근 후 과실을 잡고 돌려 수확하는 메커니즘이다. 제안된 메커니즘에 대한 다물체동역학 해석을 수행하여 구동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대학 휴학기간의 취업 및 임금효과 (Employment and Wage Effects of the Duration of Leave of Absence from College)

  • 정수연;박기성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3호
    • /
    • pp.1-27
    • /
    • 2013
  • 2009GOMS1 자료를 사용하여 "취업준비를 위한 휴학"과 "경제적 어려움에 의한 휴학"을 구분하고 각각의 휴학기간이 대학졸업 후 취업 및 임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다. 휴학기간의 내생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학입학 당시 가구소득과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 여부를 도구변수로 사용한다. 도구변수 추정에 의하면 취업준비를 위한 휴학기간을 1개월 연장하면 취업할 확률은 1.6%포인트 상승하고, 임금은 4.0% 증가한다. 경제적 어려움에 의한 휴학기간을 1개월 연장하면 취업할 확률은 3.6%포인트 하락하고, 임금은 7.2% 감소한다.

  • PDF

An Overview of the Genetic Variations of the SARS-CoV-2 Genomes Isolated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 Yap, Polly Soo Xi;Tan, Tse Siang;Chan, Yoke Fun;Tee, Kok Keng;Kamarulzaman, Adeeba;Teh, Cindy Shuan J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7호
    • /
    • pp.962-966
    • /
    • 2020
  • Monitoring the mutation dynamics of huma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its infectivity, virulence and pathogenicity for development of a vaccine. In an "age of mobility," the pandemic highlights the importance and vulnerability of regionalization and labor market interdependence in Southeast Asia. We intend to characterize the genetic variability of viral populations within the region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regional surveillance in the future. By analyzing 142 complete genomes from South East Asian (SEA) countries, we identified three central variants distinguished by nucleotide and amino acid changes.

Is the Korean IT Manager Different? - A Comparison of Skill Requirements for IT Managers in the US and South Korea -

  • 이충권;;유상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4-23
    • /
    • 2008
  • 정보기술관리자는 기술과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교량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의 직무에 있어서 어떤 스킬이 요구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정보기술관리자에게 필요한 스킬에 관해서 조사했을 지라도, 대부분의 연구들은 미국 내의 기업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IT 산업의 인력이동이 심해짐에 따라 다른 나라에서도 미국에서와 같은 스킬들이 요구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IT관리자들의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스킬에 있어서 한국과 미국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H-빔 구조물에서의 레일을 이용한 수평주행로봇 개발 (Development of Horizontal Locomotion Robot using Rail Mechanism for H-beam Structure)

  • 김종헌;전민석;전경태;이상훈;홍대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1-426
    • /
    • 2013
  • Nowadays in building construction field, workers become aged and avoid dirty, difficult, and dangerous work. Above all, a person who is in charge of beam assembling work in high and narrow space just relies on safety belt. So these workers should be highly trained. This paper deals with a new locomotion robot that can take this in charge, which will be able to provide less labor costs, less time to build a building and safer environments for workers. The geometric features of steel structure in building construction were carefully analyzed and developed a locomotion mechanism optimized to it. The robot was designed to be rugged, strong, and fast rather than having excessive mobility.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robot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