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igration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9초

UR타결후의 한국수산정책의 방향 (The Direction of the Fisheries Policy in Korea after the End of the Uruguay Round of Global Trade Talks)

  • 김경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24권2호
    • /
    • pp.1-16
    • /
    • 1993
  • Because of the radical chang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economic circumstances Koreaa fisheries is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Along the end of the UR marine products of other nations are rushing into Korea. Also migration of labor to other industries and rise of wage level in Korean fisheries deteriorate managerial conditions. But in Korea which has little natural resourses fisheries is still more important. That is \circled1 creating job opportunites \circled2 increase of income \circled3 supply of foodstuffs and animal protein \circled4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y \circled5 enlargement of domestic market for industrial products \circled6 development of other interrelated industries \circled7 rational use of domestic resourses \circled8 diversification of population and production activites \circled9 contribution to balanced growth of national economy by the developing regional economy. These roles of fisheries in national economy mentioned above are to be excuted forward. In spite of the radical change in the economic circumstances at the end of the UR fisheries if crucial in Korea as a industry. For this our fisheries is to be made to compete with foreign fisheries. Through the cheap price and high quality our fisheries must be came to compete with foreign fisheries and meet the people's needs for marine product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high productivity and competitive power. Now with the exception of a portion of the deep - sea fishing, our fisheries is generally paltry, Especially inshore fishery which is the main stock in our fisheries is very paltry and so productivity and competetive power are very low. So to develop our fisheries which has s comparative disadvantage active polices that follows below are to be promoted on a large scale. \circled1 improvement of structure \circled2 augmentation of productivity in fishing ground by making fisheries resourses \circled3 enlargement of finantial and monetary assistance \circled4 effective administ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 union \circled5 activation of R&D etc These polices which need to be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are very valuable. Especially without making fishieries resources we cannot expect economy of scale, promotion of productivity and development of fisheries. And we do also endeavour to ga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nvestigation about fisheries domestic and foreign and do ceaselessly put these to practical use systimatically.

  • PDF

입지특성을 고려한 토지가격의 차등적 산정방안 - 산업시설용지 공급가격을 중심으로 - (A Differential Pricing Model for Industrial Land based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 심재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303-314
    • /
    • 2011
  • 본 연구는 지가산정을 위한 방법론으로 서포트 벡터 회귀분석(SVR)을 이용하여 입지특성에 근거한 산업시설용지의 차등적 가격산정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생산활동을 위한 산업시설용지의 공급가격은 용지부담금, 조성비, 판매 및 관리비, 자본비용 등으로 구성된 조성원가를 바탕으로 책정된다. 그러나 현행 산업시설용지 공급가격 산정방식은 개별적인 용지의 입지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동일한 가격을 단지 내 모든 용지에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불합리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지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시설용지의 차등적 가격산정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정성 및 실무적인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A comparative study on rapid seismic risk prioritization for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in Antalya, Türkiye

  • Engin Kepenek;Kasim A. Korkmaz;Ziya Gencel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1권3호
    • /
    • pp.185-195
    • /
    • 2023
  • Antalya is located south part of minor Asia, one of the biggest cities in Türkiye. As a result of population growth and vast migration to Antalya, many parts of the city that were not suitable for construction due to its geological conditions have become urban areas, and most of these urban areas are full of poorly engineered buildings. Poor engineering has been combined with unplanned urbanization, that causes utter vulnerability to disasters in Antalya. When an earthquake-prone city, Antalya faces with an earthquake risk, fear arises in society. To overcome this problem, it has becom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building stock, expressed in hundreds of thousands, in a fast and reliable way and then perform an urban transformation to create the perception of structural safety. However, the excessive building stock, labor, and economic problems made the implementation stage challenging and revealed the necessity of finding alternative solutions in the field. The present study presents a novel approach for assessment and model based on a rapid visual inspection method to transform areas under earthquake risk in Türkiye. The approach aimed to rank the interventions for decision-making mechanisms by making comparisons in the scale hierarchy. In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the proposed approach, over 26,000 buildings were examined in Antalya, which is the fifth largest city in Türkiye that has a population of over 2.5 Million.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isk classification was defined in the framework of building, block, street, neighborhood, and district scales.

숙련 외국인 어선원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 연근해 어업을 중심으로 (Policy Suggestions to Retain Skilled Migrant Fishermen in Korea : Focus on Offshore Fishing )

  • 현채민;최서리
    • 수산경영론집
    • /
    • 제54권1호
    • /
    • pp.1-22
    • /
    • 2023
  • With the restriction of foreigners' entry into Korea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fishery industry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supplying migrant workers. In response to thi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methods that could facilitate the stable employment of migrant worker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system used for the employment of migrant workers in the fishery industr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hem, adequately performs its function of providing a stable and skilled workforce amid the intensified labor shortage resulting from decreasing numbers of households with employment in the fishery and the aging Korean fishermen. To this end, past studies and government documents pertaining to the current system were analyzed, and a survey targeting the owners of offshore fishing boats that employ migrant workers was conducted. A total of 147 owners of fishing boat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data of 499 migrant workers employed by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grant fishermen had difficulty in acquiring minimum scores for the change of visa statu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the Skilled Worker Points System. Furthermore,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employ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and the Foreign Seamen System. Based on this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e reorganization of the skilled migrant worker system in the fishery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the regional specialized visa pilot project.

터키 샹르울파주 목화농업의 전개와 지역사회의 변화 (Development of Cotton Farming and Transformation of Rural Area in Sanliurfa Prefecture, Turkey)

  • 강숙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7-111
    • /
    • 2013
  • 터키의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간의 경제 문화적 지역격차는 국가균형개발을 위해 터키정부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남동 아나톨리아 개발계획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수력개발에서 시작하여, 1980년대 지역균형개발과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는 종합적인 지역개발계획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반건조 기후 지역으로 관개용수의 공급 없이는 상품작물의 재배가 불가능한 터키의 남동부 지역이 개발계획에 의해 주요 목화생산지로 변화한 것에 주목하여, 이를 가능하게 한 남동 아나톨리아 개발계획의 배경, 과정, 내용과 그에 따른 목화 생산성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남동 아나톨리아 개발계획의 중심축으로써,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샹르울파주를 대상으로, 목화농업의 성장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샹르울파주는 터키 전체 목화생산량의 37.6%를 생산한다. 이는 하란평원을 중심으로 시행된 정부의 경지정리 사업, 관개용수로 사업, 도로와 농로 등 농업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이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목화재배에 따른 보조금 지급도 목화재배가 활성화된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관개용수의 공급은 이 지역 인구이동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관개 이전, 계절적 노동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던 심각한 인구유출 현상은 관개 이후, 관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내 이동과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인구 유입 형태로 그 내용이 변화하였다. 관개용수는 국가수자원 총국(DS$\dot{I}$)으로부터 관개용수 관리 운영권을 이양받은 관개용수 조합(Sulama Birli$\breve{g}$i)이 각 농가에 공급한다. 그러나 관개용수 조합은 부족집단(Aşiret)을 기본으로 하는 전통적 봉건사회 구조하에 있으며, 이로 인해 농민을 위한 효율적 경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이는 농민 자치조직의 형성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 PDF

우리나라 단독가구의 실태에 관한 소고 (A Study on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 배화옥
    • 한국인구학
    • /
    • 제16권2호
    • /
    • pp.125-139
    • /
    • 1993
  • Korea has successfully achieved a lowered fertility level owing to the strong population control policy and effective family planning program. Along with fertility decline and decreased number of children in family,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as decreased and nontraditional households such as one person household and households composed of unrelated individuals have prolifirated, even though the absolute number of them are found minimal in Korea. However in recent years several data and survey results suggest that one person households are gradually in the increasing trend.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al state of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and next analyzing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by a few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us providing basic for eatablishing far-singhted population and social welfare policy in the future. Korea has experienced high growth rate of economy through government-led development plans starting from the 1960s.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Korea has shifted from the agricultural state to the industrialized one. In compliance with the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brought about rural-to-urban migration and a great bulk of young population migrated to urban areas, who are seeking for educational and job opportunities. Korean society has also been under drastic change in every aspect of life involving norms, tradition, and attitude, etc. Therefore, in spite of the prejudice on 'living alone' still remaining, young people gradually leave parents and home, and further form nontraditional households in urban areas. Curr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s is partly attributable to the increase in high female educational attainment and femal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s the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changes from primary into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job opportunities for service/sales and manufacturing are opened to young female labor force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Contrary to the forma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by young people, the aged single households are composed when children in family leave one by one because of marriage, education, employment. In particular, a higher proportion of aged female single households occur in rural areas due to the mortality difference by sex. Based on the data released form the 199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in 1985 and 1991, the study tried to examine the state of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According to Census data,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s increased to 1, 021, 000 in 1990, comprising 9.0 percent of total households. And the survey reveal that among total 11, 540 households, 8.0 percent, 923 households, are composed of one person households. Generally, the proportion of female single households is greater than that of male ones, and a big propor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is concentrated in the 25-34 age bracket in urban areas and 65 years and more in rural areas. It is shown than one person householders in urban areas hav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with 59.2 percent high schooling and over in 1991, Job seeking proved to be the main reason for leaving home and forming one person households. The number of young female single households with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self-reliance are found nil and the study did not allow to analyze the causal realtionship between female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one person household formation. However more research and deep analysis on the causal facors on one person household form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 are believed to be necessary.

  • PDF

노동자 이동의 원인에 대한 삼각 허브 도시의 유동성(독일, 폴란드, 헝가리) (The mobility of the triangular hub cities against a cause of workers' transfer(Germany, Poland, Hungary))

  • 서대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1-27
    • /
    • 2020
  • 본 논문은 국내외 경제 활동은 지역 간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연구한다. 동유럽에서는 인적 자원과 수요가 여전히 부족하다. 특히 우크라이나 인들은 희소 한 지역을 보충하기 위해 폴란드 노동 시장에 진출했다.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의 폴란드 수요와 공급은 불균형하다. 최저 임금 인상은 고용주에게 지속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구직자의 경제 활동 비율,y=AX2+B,(x=정착)형태의 회귀 방정식을 사용하여 곡선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주한 국내외 노동자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지역 인구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인근 대도시의 정착민이 더 비례한다. 실증적 분석에 따르면 인적 자원 허브가 대도시 및 산업으로의 이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브 A 국가는 4 차 재산업에서 이동성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다른 도시에서와 동일한 재산업화 (N2)가 인근 인력을 유치했지만 정착하지는 못했다. 결국 N1과 N2의 허브 관계는 이동 관계이다. 임금 불평등이나 긍정적인 후생 단절로 인해 노동자들은 공장 지역이 아니라 인근 도시에 정착하거나 국경 사이의 통근이 허브 중심 도시로 가기 쉽다. 그러나 이것은 인공지능 시대의 상대적으로 일시적인 정착민들로부터 대두된다.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서의 진화내용분석 (Analysis of Evolutionary Content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 김학현;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0-483
    • /
    • 2003
  • 1차에서 6차에 이르기까지 13종의 교과서의 진화내용을 분석하였다. 9가지 성분으로 구분된 교과서의 내용분석은 80가지 진화내용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교과서에서 진화내용의 총량은 증가하였으나 총 진화내용 중 본논문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1차에서 6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로 가며 점차 감소하였고 진화내용의 비중은 생물교육과정과 교과서 저자의 시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대체로 분석된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진화주제는 다양성면에서 부족하였다. 어떤 주제 항목은- '집단선택', '유전자 선택', '화석 기록에서의 공백', '공진화', 단속 평형설', '혼합진화', '인류진화에 있어서의 노동의 위치', 인종의 차이', ''개체발생의 계통발생을 반복한다'에 대한 비판',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활동'-다루어지지 않았고 또 어떤 항목은-'중립설', '지질시대에서 발견되는 주요사건에 관한 설(멸종에 관한 내용 제외)', '동소적 종분화', '연속변이적 종분화 및 지역효과 종분화', '배수성과 진화', '점진주의', '연장류의 기원과 진화'-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가장 강조된 주제 항목은 '일반적인 계통학', '세포전 단계의 형성', '기타' 순으로 많이 강조되었다. 자연선택설은 진화의 중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여러진화설중의 하나로 다루어졌다. 또한 유전적 평형을 붕괴시키는 요인으로서 유전적 부동이나 이주 등도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고 종분화의 속도와 관련된 주제도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신뢰성이 의심되는 발생반복설이 진화 증거의 하나로 교과서에서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 근거해 교과서 저자들이 진화와 진화설을 설명할 때 자연 선택설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의미 있는 주제를 소개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인구학" 게재물의 구성과 변화, $1977{\sim}2004$ (The Articles i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Changes in Their Contents between 1971 and 2004)

  • 김두섭;박효준
    • 한국인구학
    • /
    • 제28권2호
    • /
    • pp.219-243
    • /
    • 2005
  • 이 글은 1977-2004년의 기간 동안 한국인구학회의 공식학술지에 수록된 총 367편 게재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 동안 한국인구학의 발전과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초창기의 학회지에는 연구논문 이외에도 심포지엄 발표논문, 권두언, 특별기고, 동정 등 다양한 유형의 글이 실렸지만 점차 연구논문이 주류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1985년부터는 연 2회로 발간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게재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를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초기에는 인구정책, 출산 사망, 인구이동 등의 전통적 연구 주제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점차 인구규모와 특징, 노동력, 혼인, 가족, 노인, 고령화, 지역연구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주제의 연구논문들이 많이 게재되고 있다. 또한 게재논문의 저자들을 분석한 결과, 초창기에는 연구기관과 통계 관련 국가기관에 속한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리고 활동적인 몇몇 연구자들의 기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각종 사회조사자료 인구센서스와 문헌자료가 과반수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초기의 분석방법은 주로 정책분석, 빈도와 교차표분석, 평균차분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회귀분석이, 그리고 1990년대 이후에는 로지스틱분석, 생존분석 등 정교한 기법들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귀향농가(歸鄕農家)의 발생원인(發生原因)과 적응과정(適應適程) (The Cause and Adaptation Process of Kwihyang Nongga)

  • 우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99-113
    • /
    • 1997
  • 본 연구는 영농을 목적으로 도시에서 농촌으로 거주지를 이동하는 귀향농가의 발생이유와 그들의 적응과정을 미시적 사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전의 귀향농가 발생은 가족 부양이나 도시적응실패 등의 사회적 원인이었지만 최근의 귀향농가 발생은 재배작물의 수익성을 고려한 경제적 원인이 더 크게 작용된 결과이다. 귀향농가의 발생유형은 이촌 후 고향으로 귀농하는 경우가 많지만 직접적인 영농경험이 없는 도시거주자가 수익성을 고려한 특정작물의 재배를 목적으로 귀농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의 귀향농가는 농업경영형태에 있어서 소유농지가 전혀없이 순수 임차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며 농지의 매입보다 임차지의 확대를 통해 경영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그런점에서 귀향농가의 증가는 산업화 이후 노동력부족에 따른 농촌의 경지이응을 저하를 완화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는 귀향농가의 비중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들어 증가 추세에 있고 귀향하는 경영주가 젊은 연령층이므로 이들에 의한 파급효과는 기대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과소지역으로서의 농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귀향농가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모색되어야 하는데 이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자금지원이나 영농조건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교육여건과 생활시설의 개선 등 하부구조의 확충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