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arket factor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4초

청년층 취업자 및 미취업자 노동시장 이동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of the Young Employed and Unemployed in the Labor Market)

  • 장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07-313
    • /
    • 2022
  • 우리나라 청년층에서는 경제활동참가와 실업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어 노동시장이동에 대한 연구는 청년층의 실업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용패널 중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통해 청년층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노동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이동 경로와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취업자의 경우 전문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고, 안정적이지 않은 종사상 지위의 경우 취업 후에도 안정적인 지위 변화를 위해 노동이동 노력하였으며, 정규직이어도 적성과 일치하지 않으면 비정규직을 택하기도 하였으며, 평균임금이 노동이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의 경우 일자리 경험이 없거나, 구직활동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노력을 하지 않을수록 미취업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의 경우개인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부모의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환경이 직·간접적으로 노동시장 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여전하였다. 한편 학력이 높을수록 안정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지역에 안정형이 가장 많았다. 이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의 산업체, 지역대학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한 지역노동시장의 활성화 전략이 지역균형발전과 더불어 어느 때 보다 시급하게 모색되어야 한다.

한국의류제품 수출의 유연성(flexibilit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ibility in Exporting Korean Apparel Products)

  • 김용주
    • 복식
    • /
    • 제34권
    • /
    • pp.37-56
    • /
    • 1997
  • The Korean Apparel industry has played an significant rol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which is mainaly due to the apparel exports to the world market. However the Koran apparel industry has confronted drastic changes in domestic and also in international market for the last several years. Korean apparel products have lost price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market because domestic labor costs have increased so fast and al-so newcomers such as China or other Asian countries have emerged as compet-itive producers. Furthermore domestic market has been saturated with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and also with the foreign retailers. Therefore the Korean apparel industry shoul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regain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for non-price competitiveness of Korean apparel industry and propose the way to regain competitiveness form the buyers' point of view. The present study utilize the survey data for the internet database which is established by the Cotton Incorpor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apparel industry is not competitive in terms of non-price factors such as minimum orders terms of payment preproduction stage use of new technolo-gy and lead times. These factor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ice of product which is suggested to the buyers. However these are flexibility factor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buyers because they can reduce risks in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Therefore the Korean apparel industry should establish global marketing strate-gies which can enhance non-price competitiveness as well as price competitiveness.

  • PDF

네델란드에서의 파트타임근로의 현황과 정책 (Part-time Work in Netherlands: Facts and Policies)

  • 전병유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69-295
    • /
    • 2011
  • 본 논문은 파트타임근로를 통해서 짧은 시간 내에 높은 고용률 향상이라는 성과를 달성한 네델란드에서의 파트타임근로의 현황과 전망, 제도와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글이다. 네델란드는 파트타임근로를 통한 고용률 제고뿐만 아니라 양질의 파트타임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네델란드에서 파트타임근로가 증가한 것은 시장, 제도, 정책, 그리고 노사관계 등 다양한 요인들이 파트타임근로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서로 보완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증가와 기업의 파트타임수요의 증가라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었고, 파트타임근로를 보호하고 파트타임에 유리하도록 인센티브 구조를 재설계하며 근로시간선택권을 보장하며 보육시스템을 강화하는 제도나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에서의 수요-공급의 선순환 구조와 파트타임을 촉진한 제도와 정책도 노사정 사이의 사회적 합의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그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거의 30년 가까지 지속된 네델란드모델은 노동시장의 문화와 관행으로 정착되어 풀타임근로나 노동시간 확대의 방향으로 전환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네델란드 모델은 네델란드의 사회적 조건 하에서 성립한 특수한 모델이고 높은 수준의 사회적 합의를 기초로 하여 제도와 시장이 보완적으로 잘 결합되어 있는 모델이기 때문에 여타 국가가 부분적인 제도 이식을 통해서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중국진출 경영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Risk Factors of Korean Firms in China)

  • 이동훈;이동명
    • 무역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계층화 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중국진출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위험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제조기업의 경영위험요인의 중요도는 인건비 상승, 치열한 시장경쟁, 인사관리 문제, 재료비 상승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품목별 분석결과를 보면, 전자제품의 경우는 인건비 상승과 더불어 조세정책 변화가 주요요인으로, 화학제품은 환경보호법 강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자동차부품의 경우에는 인건비 상승외에 재료비 상승 또한 주요 위험관리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중국 진출시기별로는 1990년대 진출한 기업은 치열한 시장경쟁 및 조세정책 변화가 주요 위험요인으로, 2000년대 진출한 기업의 경우 재료비 상승 등이 인건비 상승 외에 중요한 관리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What Causes Children to Work in Indonesia?

  • SANDRA, Heri;MAJID, M. Shabri Abd.;DAWOOD, Taufiq C.;HAMID, Abd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585-593
    • /
    • 2020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empirically exploring the causes of child labor in the Indonesian labor market. Factors identified include rate of poverty, average wages, education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utilized an aggregate data of 301 districts and cities across 34 provinces sourced from the National Labor Force Survey and the National School/Madrasah Accreditation Board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strong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 of poverty on child labor. Conversely, the study documented the adverse impact of average wages on child labor in Indonesia. Similarly, the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system also contributed negatively to the child labor. Finally,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i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hild labor in Indones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efforts to reduce the involvement of children in the workforce, the poverty eradication program should be enhanced. The wages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at least, in par with the changes in prices. Finally,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ts services ought to be further enhanced to attract more child student participation rates across junior high schools nationwide.

경제적 자유가 외국인직접투자 촉진에 미치는 영향: 경제발전단계별 직접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Economic Freedom on the Facilitation of FDI Inflows: Focus on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 by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 김무수;이찬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25-4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 of intangible variable like economic freedom to facilitating factors on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and the difference of facilitating factors by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is with 19-year macro economic data from 2000 to 2019 including economic freedom index from Fraser Institute in 13 developed and 15 developing countries was used.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analysis of direct effect of 5 sectors in economic freedom, the influence of economic freedom was shown weaker than other macro economic factors on FDI inflows, which indicates that actual development of economic factors are more important. The effect of economic freedom on FDI inflows at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differed. In developed countries, human capital, GDP, export, free trade and regulation affected FDI inflows in decreasing order, as did human capital, GDP, consumption expenditure, export, investment expenditure, government expenditure, free trade and sound money in developing countries. I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freedom,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size, a flexible labor market which can provide a cheaper good human resources and government expenditures for improving social infrastructure under free economic environment facilitated FDI inflows.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oderating effect on export was not shown, which indicates that economic freedom policy itself without actual improvement of exports could not attract FDI inflows.

미취업 여성의 미취업 원인에 관한 연구: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Unemployed Women Labor Force-based on the Estimations of the Reservation and Market Wages)

  • 이성림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135-164
    • /
    • 2004
  • 본 연구는 미취업자를 취업의사와 더불어 미취업자의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을 비교하여 의중임금이 시장임금보다 큰 경우를 본래적 미취업, 그 반대의 경우를 파생적 미취업으로 미취업 유형을 세분화하여 미취업 원인을 고찰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미취업자의 의중 임금과 시장임금을 Heckman sample selection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고, 미취업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범주 로짓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미취업자 중 미취업 상태가 안정적인 취업의사 없는 본래적 미취업자는 약 50%, 미취업 상태가 불아정한 파생적 미취업자이거나 취업 의사 있는 미취업자는 약 50%로 나타났고 여성의 인적자본 수준, 자녀양육 및 가사 부담, 가계경제 상태, 이전직장 경험이 미취업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가임여성의 출산.양육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n the Birth.Bringing-up of Fertile-Women)

  • 공태현;임정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1-52
    • /
    • 2011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for birth bringing-up from 544 women from 20s to 40s who can be pregnant residing in Busan in order to explore the method for birth encouragement in the midst of the low birth reality in Korea. It was revealed from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married women who have a birth plan recognize the marriage and the value of the children more importantly than the economical burden. In addition, it was known that the wished number of the children for unmarried women was influenced most greatly by the marriage and the value of the children. The expectation of the institutional supporting for the birth encouragement was the consideration for the time of bringing up and support to returning to the labor market after the birth.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요인 (The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to the Professional Field)

  • 김복태;최천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64-272
    • /
    • 2020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인력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여,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시장의 불균형을 제도적, 구조적 요인측면에서 찾는 노동시장분절이론에 바탕을 두고,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가 관리자나 전문가 직종으로 진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관계 요인, 문화적 적응 요인, 정책적 지원 경험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 요인, 문화적 학습 요인, 그리고 정책적 지원 경험 요인은 모두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 관리자나 전문가 직종으로 진입하는데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와 언어능력을 포함한 문화적 학습 역량의 강화, 나아가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복지국가의 빈곤 추세와 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verty Trend and Driving Factors in Welfare States)

  • 김환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271-297
    • /
    • 2005
  • 본 연구는 룩셈부르크소득연구의 가구소득자료를 이용하여 1980년대 이래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의 실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빈곤의 변화추세를 인구집단별 및 소득원별로 분해함으로써 경제사회구조 및 공적소득이전제도의 변화가 빈곤의 추세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대부분의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이 심화되는 추세에 있음을 보여 준다. 이처럼 빈곤이 심화되는 추세에 있는 것은 노령층이나 편부모가구 등 전통적으로 빈곤의 위험이 높은 인구집단이 증가하고 있는 때문만은 아니다. 노령층의 경우 연금제도 등 공적소득이전의 영향으로 인해 생산연령층에 비해 빈곤상태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소득의 빈곤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편부모가구는 전반적으로 생산연령층 일반가구에 비해 빈곤의 정도가 심한 편이나 빈곤의 변화추세는 노동시장정책 및 공적소득이전제도의 차이에 따라 국가별로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이 심화되는 것은 무엇보다 생산연령층 인구의 빈곤, 특히 시장소득 빈곤이 심화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제의 세계화와 노동시장 유연화에 따른 실업 및 비정규직의 증가, 저임금 노동자의 증가 등 최근의 경제환경 변화가 생산연령층 인구의 빈곤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분석과 함께 이 계층에 대한 빈곤정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