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4.264

The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to the Professional Field  

Kim, Bok-Tae (한국여성정책연구원)
Choi, Cheon Geun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lity that the necessity to professionalize women marriage immigrant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ry into the specialized field. Th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social and institutional factors. Based on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theory, which finds the imbalance of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factors,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ering managerial or professional occupations were set as social relation factors, cultural adaptation factors, and policy support experience factors. As a result of analysis, they are all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ering managerial or professional occup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that for rural immigrant women to grow into professionals, social relations and cultural learning capabilities, including language skills, need to be strengthened, as well as continued governmental support.
Keywords
Female Immigrant; Professsional Field; Social Relations; Cultural Learning; Policy Suppo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옥엽, 인천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 R. S. Burt, Strucutral Hol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3 N. Lin, Building a Network Theory of Social Capital, in Lin, N, Cook, K, Hawthorne, R.S.B., eds,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New York:Aldine de Gruyter, pp.3-30, 2001.
4 손동원,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서울:경문사, 2002.
5 J. W. Berry, "Immigration, Acculation, and Adpatation," Applied Psychology, Vol.46, No.1, pp.5-68, 1997.   DOI
6 김이선, 민무숙, 김경미, 주유선,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7 N. Lin,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Vol.29, No.6, pp.785-795, 2000.   DOI
8 박재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 요인 분석," 농촌경제, 제29권, 제3호, pp.67-84, 2006.
9 김경아, "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의지 결정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6권, 제1호, pp.381-409, 2012.
10 양순미,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적응지원 정책개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78-84, 2006.
11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5-27, 2013.
12 류한수,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45-356, 2016.   DOI
13 김민정, 신성만, "도시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역량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여성, 제15권, 제4호, pp.711-737, 2010.
14 강희경,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청소년기 자녀 진로 지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259-269, 2019.   DOI
15 유승희, 김욱진. "국내 결혼이민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제12권, 제1호, pp.251-305, 2018.   DOI
16 하혜수, "지방소멸시대의 지방자치 재검토: 다양화와 차등화,"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4권, 제2호, pp.1-24, 2011.
17 J. W. Berry, U. Kim, S. Power, M. Young, and M. R. Bujaki, "Acculation attitudes in plural societies," Applied Psychology, Vol.38, pp.185-206, 1989.   DOI
18 R. M. Suinn, C. Ahuna, and G. Khoo, "The Suinn-Lew Asian self-identity acculturation scale: Concurrent and factorial valid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52, pp.1041-1046, 1992.   DOI
19 M. Stephesn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ephenson Multigroup Acculturation Scale(SMSA)," Psychological Assessment, Vol.12, No.1, pp.77-88, 2000.   DOI
20 김순은, "저출산.고령화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지방행정, 제66권, pp.26-29, 2017.
21 양순미,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제20권, 제1호, pp.233-263, 2010.
22 박종관, "다문화사회가 지역공동체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222-233, 2015.   DOI
23 강혜정,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영농활동 실태 분석," 농촌경제, 제32권, 제5호, pp.133-152, 2009.
24 김복태, 박성정, 문미경, 김둘순, 최천근, 결혼이민여성 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과제 , 농림축산식품부, 2016.
25 김영미, "분절 노동시장에서의 젠더 불평등의 복합성," 경제와사회, 제106권, pp.205-237, 2015.
26 조명우, 박종식, 강승백, 양수현, 비정규직 근로자의 안전 보건실태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27 최석현, 이병호, "노동시장 공간의 이중구조화와 불평등," 한국사회학, 제51권, 제2호, pp.63-94, 2017.
28 김화순, 북한이탈주민의 고용에 미치는 요인 연구: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구조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9 P. B. Doeringer and M. J. Piore, Internal labor markets and manpowr analysis, ME: Sharpe. 1985.
30 정이환, 한국 고용 체제론 , 후마니타스, 2013.
31 이규용,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정책방향," 노동리뷰 8월호(통권 89호), pp.74-90, 2012.
32 이은주,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인 메타분석," 한국사회정책, 제21권, 제4호, pp.9-44, 2014.
33 배옥현, "경상북도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실태와 역량 강화," 다문화와 인간, 제4권, 제1호, pp.53-86, 2015.
34 양인숙, 민무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35 김안나, 최승희, "결혼이주여성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295-334, 2012.
36 고혜원, 김상호,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방식: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