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6s rRNA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6초

Predictive value of C-reactive protein in response to macrolides in children with macrolide-resistant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 Seo, Young Ho;Kim, Jang Su;Seo, Sung Chul;Seo, Won Hee;Yoo, Young;Song, Dae Jin;Choung, Ji Ta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4호
    • /
    • pp.186-192
    • /
    • 2014
  • Purpose: The prevalence of macrolide-resistant Mycoplasma pneumoniae (MRMP) has increased worldw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MRMP in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and to find potential laboratory markers that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efficacy of macrolides in children with MRMP pneumonia. Methods: A total of 95 patients with M. pneumoniae pneumon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etection of MRMP was based on the results of specific point mutations in domain V of the 23S rRNA gene. The medical records of thes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the clinical course and laboratory data were compared. Resul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RMP was 51.6% and all MRMP isolates had the A2063G point mutation. The MRMP group had longer hospital stay and febrile period after initiation of macrolides. The levels of serum C-reactive protein (CRP) and interleukin-18 in nasopharyngeal aspi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did not respond to macrolide treatment. CRP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he efficacy of macrolides in patients with MRMP pneumonia. The area under the curve for CRP was 0.69 i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indicating reasonable discriminative power, and the optimal cutoff value was 40.7 mg/L. Conclusion: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RMP was high, suggesting that the prevalence of MRMP is rising rapidly in Korea. Serum CRP could be a useful marker for predicting the efficacy of macrolides and helping clinicians make better clinical decisions in children with MRMP pneumonia.

저용량 독시싸이클린 투여가 만성 치주염에 미치는 임상적 미생물학적 효과 (Clinical and microbiologic effects of the subantimicrobial dose of doxycycline on the chronic periodontitis)

  • 김상준;엄흥식;장범석;이재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37-44
    • /
    • 2009
  • Purpose: Tetracycline and its chemically modified non-antibacterial analogues can inhibit certain host-derived tissue destructive collagenases such as matrix metalloprotein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and microbiologic effects of the subantimicrobial dose of doxycycline(SDD) in conjunction with scaling and root planing.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who were going to receive scaling and root planing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either a doxycycline hyclate for 3 months or nothing. Clinical probing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gingival recession, and bleeding on probing were measured by one periodontist. After a periodontal examination, microbial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sterile paper points. The effect of SDD in conjunction with scaling and root planing on alterations of the periodontal pathogen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Tannerella forsythia, Porphyromonas gingivalis) were also assessed using l6S rRNA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clinical parameters for both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mproved. After 3 months, reductions in probing depth and gains in clinical attachment level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SDD group than control group. Microbi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alteration of the periodontal pathogens and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ubantimicrobial dose of doxycycline as an adjunct therapy with scaling and root planing might be effective and safe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periodontitis.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oxysporum, the Causal Agent of Fusarium Basal Rot in Onion by Bacillus spp.

  • Jong-Hwan Shin;Ha-Kyoung Lee;Seong-Chan Lee;You-Kyoung 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6호
    • /
    • pp.600-613
    • /
    • 2023
  • Fusarium oxysporum is the main pathogen causing Fusarium basal rot in onion (Allium cepa L.), which incurs significant yield losses before and after harvest. Among management strategies, biological control is an environmentally safe and sustainable alternative to chemical control.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screened bacteria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e basal rot pathogen F. oxysporum. Isolates 23-045, 23-046, 23-052, 23-055, and 23-056 significantly inhibited F. oxysporum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Isolates 23-045, 23-046, 23-052, and 23-056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Fusarium basal rot in both onion seedlings and bulbs in pot and spray inoculation assays. Isolate 23-055 was effective in onion seedlings but exhibited weak inhibitory effect on onion bulbs. Based on analyses of the 16S rRNA and rpoB gene sequences together with morphological analysis, isolates 23-045, 23-046, 23-052, and 23-055 were identified as Bacillus thuringiensis, and isolate 23-056 as Bacillus toyonensis. All five bacterial isolates exhibited cellulolytic, proteolytic, and phosphate-solubilizing activity, which may contribute to thei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onion basal rot disease. Taken together B. thuringiensis 23-045, 23-046, 23-052, and 23-055 and B. toyonensis 23-056 have potential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basal rot in onion.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유래 carotenoid 생산 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the Carotenoid Production by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봉기문;김공민;서민경;한지희;박인철;이철원;김평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8
    • /
    • 2017
  • 본 연구를 통해 논, 시설재배 밭 토양, 쓰레기장, 하천 및 호수의 퇴적 토양 등 22개소에서 분리한 총 6종의 광합성세균 중 호기 암 배양이 가능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그람음성의 막대모양으로, 운동성이 있었다. 분리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Rhodobacter sphaeroides ATH2.4.1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Rhodobacter spharoides PS-24로 명명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별균주를 modifed Van niel's yeast 배지에서 배양 후 생성된 carotenoid를 추출한 결과 $12.03{\pm}0.15mg/L$의 함량이 측정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법 중 Plackett burman 분석방법과 Box-Behnken 분석방법을 통해 carotenoid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농도를 최적화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독립변수 yeast extract -0.4144 (1.23 g/L), $Na_2CO_3$ 0.8541 (3.71 g/L)와 $MgSO_4$ 1.00 (1.00 g/L)의 농도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지 조성을 최적화한 결과 yeast extract 1.23 g, sodium acetate 1 g, $NH_4Cl$ 1.75 g, NaCl 2.5 g, $K_2HPO_4$ 2 g, $MgSO_4$ 1.0 g, mono-sodium glutamate 7.5 g, $Na_2CO_3$ 3.71 g, $NH_4Cl$ 3.5 g, $CaCl_2$ 0.01 g/ liter로 선정하였다. 최적배지를 대상으로 5 L, 50 L, 500 L scale-up을 진행한 결과 최종 carotenoid는 각각 17.98 mg/L, 18.03 mg/L, 18.11 mg/L로 조사되었다. 최적배지의 경우 modified Van niel's yeast 배지보다 약 1.5배 많은 carotenoid를 생산하였으며, 대량배양을 통한 scale-up 과정 시 carotenoid의 생산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carotenoid를 생산하는 광합성세균 Rhodobacter spharoides PS-24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축산에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Control of Trophoblast Gene Expression and Cell Differentiation

  • 천종윤
    • 대한생식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불임학회 2001년도 제2차 연수강좌
    • /
    • pp.195-205
    • /
    • 2001
  • 태반 영양배엽 (trophoblast)은 포유동물의 발생과정 중 가장 먼저 분화되는 세포로서, 자궁환경내에서 배아가 착상, 발생, 및 분화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태반을 형성하는 색심적인 세포이다. 영양배엽 세포의 분화과정중의 결함은 배아의 사산이나 임신질환 등의 치명적 결과를 초래한다. 하지만, 영양배엽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분자생물학적인 메카니즘은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영양배엽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경로를 규경하기 위한 선결과제는 분화된 영양배엽 세포에서만 발현하는 많은 유전자들이 밝혀져야만 한다. 본 연구팀은 최근에 분화된 영양배엽 세포에서만 발현하는 두 종류의 새로운 유전자들을 찾았다. 한 종류는 homeobox를 보유하고 있는 조절 유전자 Psx이고, 다른 한 종류는 임신호르몬인 태반 프로락틴 라이크 단백질 유전자 PLP-C${\beta}$이다.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이들 유전자의 기능과 조절 메카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영양배엽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조절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1) Psx 유전자가 분화된 영양배엽 세포에서만 발현케 하는 조절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functional assays, in vitro footprinting, gel mobility shift assays, 생쥐형질전화, UV crosslinking, Southwestern blot 등의 방법을 통해 Psx 유전자의 cis-acting 요인과 trans-acting factor를 밝혀 분석한다. 2) 영양배엽 세포의 분화조절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random oligonuclotide library screening, DD-PCR, subtractive screening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Psx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하부유전자를 밝힌다. 3) Psx 유전자를 knock-out시켜 영양배엽 세포가 발달 및 분화하는데 미치는 역할을 밝힌다. 4) Yeast two-hybrid screening방법을 이용하여 태반 프로락틴 유전자의 수용체를 찾아 이들의 신호전달 기전을 밝힌다. 제1차년 연구결과로서, mouse와 rat으로부터 각각 Psx 유전자의 genomic DNA를 클로닝하여, 유전자 구조를 비교한 결과, mouse Psx (mPsx2)는 4개의 exons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에, rat Psx (Psx3)는 3개의 exons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즉, rPsx3는 mPsx2의 exon1이 없었다. Notrhern blot과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해 mouse와 rat에서 Psx 유전자가 다르게 발현 조절되는 현상을 밝혔다. 실제로 mPsx2와 rPsx3의 5'-flanking지역을 클로닝하여 염기서열 분석 결과 전혀 homology를 찾을 수 없었다. 또한, 이들 각각 promoter의 activity를 luciferase reporter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Rcho-1 trophoblast cells에서 각기 다른 activity를 보여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Psx 유전자의 transcription start sites는 Primer extension에 의해 밝혔다. 또한 Psx2 유전자를 knock-out 시키기 위해 targeting vector를 Osdupde1에 제작하였다. 본 과제를 시작할 때 새로운 프로락틴 유전자 하나를 클로닝하여 이 유전자를 PLP-I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 후 이 유전자 (PLP-I)는 PLP-C${\beta}$라고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Mouse PLP-C${\beta}$ 유전자의 counterpart를 rat에서 찾아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mouse와 rat에서 PLP-C${\beta}$유전자의 homology는 약 79% (amino acid level)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또 하나의 새로운 PLP-C subfamily member를 mouse로부터 클로닝 하였고, 이 유전자를 PLP-C${\gamma}$라 하였다. PLP-C${\beta}$와 PLP-C${\gamma}$의 발현 유형은 Northern blot과 in 냐셔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해 태반의 제한된 spongitrophoblast와 trophoblast giant cells에서만 발현하는 것을 밝혔다. 놀랍게도 이들 두 새로운 유전자는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두 종류의 isoform이 있음을 밝혔다. PLP family member 유전자로서 splicing에 의한 isoforms을 보여 주는 유전자로는 PLP-C${\beta}$와 PLP-C${\gamma}$가 최초이다. 이들 isoform mRNAs의 발현 유형은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또 하나의 새로운 발견은 PLP-C${\beta}$와 PLP-C${\gamma}$가 독특한 유전자 구조를 갖고 있었다. 즉, PLP-C${\beta}$는 exon3의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5개 혹은 6개의 exons을 갖는 two isoforms이 생긴다. 반면에 PLP-C${\gamma}$는 exon2가 alternative splcing이 되면서 7개의 exons을 갖거나 6개의 exons을 갖는 isoforms을 만든다. 그리고, PLP-C${\gamma}$의 promoter activity를 trophoblast Rcho-l${\gamma}$ 세포주를 이용하여 PLP-C${\gamma}$ 의 1.5 kb 5'-flanking 지역이 trophoblast-specific promoter activity를 갖고 있음을 밝혔다. PLP-C${\gamma}$ 유전자의 transcription start site는 Primer extension에 의해 밝혔다. 제 1차 년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2차년에서는 다음단계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1) mPsx2와 rPsx3의 promoter를 비교분석 함으로서 mouse와 rat에서 Psx 유전자가 다르게 조절되는 메카니즘 규명, 2) Psx와 PLP-C 유전자의 promoter에 있는 cis-acting elements 탐색, 3) Psx2와 Psx3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이들이 binding하는 target sequence 규명, 4) 제작한 Psx2 targeting vector를 이용하여 ES cells에서 Psx2 유전자 knock-out, 5) Psx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세포주를 만들고 Psx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탐색, 6) 새로 밝히 PLP-C members 유전자들의 조절기전을 Rcho-1 세포주를 이용하여 여러 거지 성장인자와 다른 호르몬에 대한 반응을 탐색, 7) Psx와 PLP-C${\gamma}$ 유전자의 chromosomal mapping 등을 밝힐 것이다.

  • PDF

전통장류유래 Bacillus spp.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성과 청국장 발효 특성 (Potential probiotics activity of Bacillus spp.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 류명선;양희종;김진원;정수지;정성엽;엄정선;정도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68-11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 식품에서 균주를 분리하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우수한 발효특성 및 전통발효식품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부분을 통제하여 안전성을 갖는 Bacillus 속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전통발효식품 100종에서 400종의 균주를 분리 후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Bacillus 속 균주 100 종을 1차 선별하였다. 분리주를 대상으로 세포외 효소, 항균활성 등 기본 균주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biogenic amine 생성능, 용혈성 및 유해 대사산물과 효소 생성능을 조사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독소유전자, biogenic amine 생성 관련 유전자, 항균 펩타이드 유전자에 대한 보유 여부 조사를 통해 가장 우수한 5종의 균주를 2차 선별하였다. 5종의 선별 분리주를 대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산성 및 내담즙성, 세포표면 소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5종의 선별 균주 중 SRCM 100730은 pH 2.0 조건에서 4.24 log CFU/mL, 0.6% oxgall 조건에서 5.81 log CFU/mL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세포 표면 소수성 분석 결과 72.2%로 가장 높은 소수성을 지니고 있어, 잠재적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우수한 SRCM 100730을 최종 균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발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B. amyloliquefaciens로 확인되어 B. amyloliquefaciens SRCM 100730(KCCM 11966P)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청국장을 제조하여 대두를 이용한 발효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조 청국장은 B. cereus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gamma}$-PGA와 세포외 효소 활성이 시판 청국장과 비교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544.02 mg%, 유리 아미노산은 26종이 검출되었고, 쓴맛을 내는 leucine, isoleuc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이 시판 제품보다 낮으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억제 신경전달물질인 GABA는 시판 청국장에 비해 약 3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SRCM 100730은 세포외 효소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우수하며, 청국장 발효와 같은 발효식품 산업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 기대된다.

Effects of Dietary Chromium Methionin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Meat Colour and Expression of the Colour-related Gene Myoglobin of Growing-finishing Pigs

  • Li, Y.S.;Zhu, N.H.;Niu, P.P.;Shi, F.X.;Hughes, C.L.;Tian, G.X.;Huang, R.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7호
    • /
    • pp.1021-1029
    • /
    • 2013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chromium (Cr) as Cr methionine (CrMe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pork quality, meat colour and expression of meat colour-related genes in growing-finishing pigs, 189 crossbred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growing-finishing pigs (male, castrated, average initial BW $74.58{\pm}1.52$ kg)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groups. Dietary treatments per kg of feed were as follows: 0 (CT), 0.3 mg/kg (T1), 0.6 mg/kg (T2) and 0.9 mg/kg (T3) Cr (in the form of CrMet; as-fed basis), and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five times with 8 to 10 pigs per replicate pen. During the 28 d of the experiment, both the ADG and the ADFI increased linearly (p<0.05) as the level of dietary Cr increased. The F/G ratio decreased linearly (p<0.05). As dietary Cr increased, loin muscle areas (linear, p = 0.013) and average backfat thickness (linear, p = 0.072) decreased. Shear force (linear, p = 0.070) and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acute{E}$clairage (CIE) redness (quadratic, p = 0.028) were increased. In addition, CIE Lightness (quadratic, p = 0.053) were decreased as dietary Cr increased. As dietary Cr increased, total myglobin (Mb) content (quadratic, p = 0.015) and the mb mRNA levels (quadratic, p = 0.046) in longissimus muscles of pigs were up-regulated.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dietary Cr improved growth and meat colour, but increased shear force and decreased IMF reduced palatability of longissimus muscles. Moreover, the increasing total Mb content and mb mRNA levels indicated that CrMet dietary supplementation may improve meat colour via up-regulating expression of the mb gene.

Bacillus subtilis DJI을 이용하여 제조된 세균형 코지와 속성된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terial-Koji and Doenjang(soybean paste) Made by using Bacillus subtilis DJI)

  • 장미;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5-333
    • /
    • 2007
  • 전통된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DJI은 다른 Bacillus 속에 비해 균체 생육이 빠르게 진행되어 9시간 만에 생육이 최대값에 이른다. 그 이후 사멸기에 접어들면서 자기소화에 의해 급격한 세포파쇄가 이루어져 포자가 세포외로 방출됨과 동시에 다량의 단백분해효소가 세포 밖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B. subtilis DJI 특유의 생육특징을 이용하여 세균형 코지와 된장을 제조(DJI 된장)하였으며, 제조된장의 숙성 60일 이후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아미노태 질소 507 mg%, 조단백 14.3%, 조지방 4.8%로 식품공전상의 된장규격에 만족하였다. 또한 단백질 구성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이 숙성 30일에는 299.255 mg%에서 60일 이후에는 547.784 mg%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JI 된장과 6종의 가정식 된장의 혈전용해능을 비교한 결과 DJI 된장은 909.7 units/ml, 재래된장은 $363.3{\sim}618.6\;units/ml$로 나타내었다. DJI 된장은 관능적으로도 쿰쿰한 냄새가 거의 없고 구수한 된장향이 났으며, GC/MS를 통한 DJI 된장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재래된장 특유의 쿰쿰한 냄새의 원인물질 (3-methyl-1-butanol, 1-octen-3-ol, butanoic acid)은 적은양 검출된 반면 재래된장 고유의 맛과 향의 원인물질 (benzaldehyde, 2-furancarboxaldehyde, hexadecanoic acid)은 일정량 이상 검출되었다. 현재 식품공전상 된장은 대두나 곡물에 종국을 섞어 제국하여 발효 숙성시키거나, 메주를 식염수에 담가 발효하여 여액분리 후 이를 가공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현재까지 된장은 주로 곰팡이의 단백분해효소에 의한 발효, 숙성물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B. subtilis DJI의 특이한 생육특성에 의하여 이를 사용한 새로운 개념의 세균형 코지제조와 이를 활용하여 재래된장 고유의 구수한 풍미를 지닌 맛있는 된장제조가 2개월 안에 제조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와 야채 샐러드에서 Yersinia enterocolitica 검출을 위한 배지법과 real-time PCR법의 비교 (Comparison of Conventional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for Detection of Yersinia enterocolitica in Sausage and Vegetable Salad)

  • 김윤경;천정환;이재훈;곽효선;황인균;서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33-13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시지와 야채 샐러드에서 Y. enterocolitica의 검출을 위해 배지법과 real-time PCR법을 비교하였다. 소시지와 야채 샐러드에 Y. enterocolitica를 접종하고 PSBB에서 증균배양 하였으며, CIN agar에서 선택배양하였다. 동시에 증균배양액에서 1 mL을 채취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real-time PCR은 소시지에서 배지검출법과 비교하여 동일한 검출력을 보였으나 야채 샐러드에서는 훨씬 더 많은 양성을 검출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real-time PCR은 식품 시료와 관계 없이 표준 검출법인 배지검출법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민감도를 지닌 신속검출기법인 것으로 사료되며, 배지검출법에 앞서 선별검사로 사용할 경우 시간, 비용, 노동력 절감에 있어서 매우 유효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Enhancing Butyrate Production, Ruminal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through Supplementation with Clostridium saccharobutylicum

  • Miguel, Michelle A.;Lee, Sung Sill;Mamuad, Lovelia L.;Choi, Yeon Jae;Jeong, Chang Dae;Son, Arang;Cho, Kwang Keun;Kim, Eun Tae;Kim, Sang Bum;Lee, Sang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7호
    • /
    • pp.1083-1095
    • /
    • 2019
  • Butyrate is kn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ergy metabolism and regulating genomic activities that influence rumen nutrition utilization and func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isolated butyrate-producing bacteria, Clostridium saccharobutylicum, in rumen butyrate production, fermentation parameters and microbial population in Holstein-Friesian cow. An isolated butyrate-producing bacterium from the ruminal fluid of a Holstein-Friesian cow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s Clostridium saccharobutylicum RNAL841125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es. The bacterium was evaluated on its effects as supplement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Supplementation with $10^6CFU/ml$ Clostridium saccharobutylicum increased (p < 0.05) microbial crude protein, butyr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concentration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NH_3-N$ at 24 h incubation. Butyrate and total VFA concentrations were higher (p < 0.05) in supplementation with $10^6CFU/ml$ Clostridium saccharobutylicum compared with control, with no differences observed for total gas production, $NH_3-N$ and propionate concentration. However, as the inclusion rate (CFU/ml) of C. saccharobutylicum was increased, reduction of rumen fermentation values was observed. Furthermore, butyrate-producing bacteria and Fibrobacter succinogenes population in the rumen increased in response with supplementation of C. saccharobutylicum, while no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 in total bacteria, protozoa and fungi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Overall, our study suggests that supplementation with $10^6CFU/ml$ C. saccharobutylicum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ruminal fermentation through increased concentrations of butyr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and enhanced population of butyrate-producing bacteria and cellulolytic bacteria F. succino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