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검색결과 82,026건 처리시간 0.077초

돼지의 Leptospira 속균에 대한 혈청항체조사 - 강원도 지역을 중으로 - (Serological Study on Leptospirosis in Pigs)

  • 정동수;김정기;박량주;김교승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4-68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Leptospiral antibody in the pigs with the serological test in two areas of Kangwondo from March to April. 1989. Twelve different living antigen (L. icterohaemorrhagiae, L. pomona, L. hardjo, L. australis, L. canicola, L. autumnalis, L. grippotyphosa, L. tarassovi, L. pyrogenes, L. bataviae, L. lai and L. ballum) of Leptospira interrogans was used for the serological test in the pigs. The blood sample of 280 pigs collected from the slaughter houses were detected by microscopic-agg-lutinat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serum sample of 280 heads of the pigs, 6 heads of the swine (2.14%) were positive. 2. Among the positive sample of 6 heads, 3 heads of the swine (1.1%) showed the antibody of L. ict-erohaemorrhagiae, 2 heads of the swine (0.7%) showed the antibody of L. canicola, and 1 head of the swine (0.4%) showed the antibody of L. pomona. 3. The positive rate of Leptospira interrogans in the swine of Kangwondo appeared to be very low.

  • PDF

돼지의 Leptospira 속균에 대한 혈중항체조사 -제천시 소재 도축장 출하돈 중심- (Prevalence of Leptospiral Antibodies in Pigs)

  • 강신석;곽학구;김홍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0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Leptospiral antibody in the pigs with the serological test by the microscopic-agglutination-test (MAT) from November 1991. to Januaury 1992. Antigen(living antigen) was used L. icterohemorrhagiae, L. pomona, L. canicola, L. hardjo, L. ballum, L. australis, L. autumnalis, L. grippotyphosa, L. tarassovi, L. pyrogenes, L. bataviae, L. hebdomadis for the serolgical test in the pigs.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of the total 202 serum samples examined, 1. Among the serum samples of 202 heads, 19 heads of the pigs(9.4%) were positive. 2. Among the positive samples of 19 heads, The detected were L. icterohemorhagiae 10 heads(5.0%), L. pomona 3 heads(1.5%), L. canicola 6 heads(3.0%). 3. Antibody titers of positive sera were ranging from 1:100 to 1 : 400. Serotiters appeared to be very low, 4. The seroprevalence of Leptospira in Chechon was higher than that other districts (5. 4% -5.8%), but the lower than Chung-nam, Kyonggi(13.7-15.9%)

  • PDF

대전지역별 지하수중의 우라늄, 라돈 농도준위 분포조사 연구 (The Study of Radon and Uranium Distribution in the Groundwater at Regional Difference of Daejeon)

  • 윤윤열;조수영;이길용;김용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25-30
    • /
    • 2006
  • 지역에 따른 지하수중의 라돈 과 우라늄의 농도차이를 알기 위하여 대전지역의 지하수를 분석하였다. 대전 5개 지역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75개 지하수를 채취하여 라돈 및 우라늄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우기 전 후로 40 개시료를 채취하여 지표수 유입에 따른 변화를 알고자 하였다. 지역에 따른 라돈 및 우라늄의 평균농도는 유성구에서는 $270.9{\pm}152.3\;Bq/L,\;43.8{\pm}23.5\;{\mu}g/L$, 서구지역은 $112.9{\pm}65.8\;Bq/L,\;0.45{\pm}0.23\;{\mu}g/L$, 동구지역의 경우는 $41.3{\pm}24.0\;Bq/L,\;4.9{\pm}11.3\;{\mu}g/L$, 대덕구는 $131.8{\pm}99.5\;Bq/L,\;54.3{\pm}127.5\;{\mu}g/L$ 그리고 중구는 $44.0{\pm}43.0\;Bq/L,\;8.1{\pm}11.6\;{\mu}g/L$이었다. 또한 지표수의 영향을 관찰한 시료에서 우라늄 농도는 최소 0.5에서 최대 640 ${\mu}g/L$까지 나타나며 라돈의 경우 최소 0.4에서 최대 729 Bq/L 까지였으며 건기시 채취한 시료가 우기후 시료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건기시 라돈과 우라늄의 농도는 평균 $253{\pm}14\;Bq/L,\;63{\pm}12.2\;{\mu}g/L$ 이었으며, 우기후는 $195{\pm}11\;Bq/L,\;45.4{\pm}11.7\;{\mu}g/L$를 나타내었다.

동·서해안지역 해수에서 과불화 화합물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in the Seawater of the East and West Coast in Korea)

  • 손준효;정선용;권범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1호
    • /
    • pp.5-12
    • /
    • 2017
  • 과불화 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중요한 환경이슈이다. 하지만 한국의 동 서해안 하구의 해수에서 PFCs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동 서해안 하구의 해수에서 PFCs 모니터링 결과를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10종의 PFCs 중 동해안에서 PFOA, PFOS, PFBS, PFHxS의 농도는 각각 9.6-50.7ng/L(평균: $26.14{\pm}12.66ng/L$), 13.79-44.58ng/L($27.95{\pm}11.41ng/L$), LOQ-2.6ng/L($0.96{\pm}1.15ng/L$), 2.95-11.05ng/L($4.25{\pm}2.57ng/L$)이었다. 서해안에서 PFOA, PFOS, PFBS, PFHxS의 농도는 각각 8.97-22.53ng/L($14.47{\pm}4.25ng/L$), 27.66-51.71ng/L($36.27{\pm}7.79ng/L$), LOQ-2.27ng/L($1.63{\pm}0.93ng/L$), 3.0-7.66ng/L($4.27{\pm}1.49ng/L$)이었다. 다른 PFCs 화학종은 LOQ 이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동 서해안 하구지역에서 환경오염을 평가하기 위한 PFCs의 분포 양상을 제공한다.

지리산지역 고로쇠나무 및 거제수(거자수) 나무의 수액성분에 관하여 -Mineral과 Sugar성분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ngredients in the Sap of Acer mono MAX. and Betula costata T. in Mt. Jiri Area -On the Components of Mineral and Sugar-)

  • 서화중;김충모;정두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79-482
    • /
    • 1991
  • 고로쇠 수액의 주된 양이온 함량분포는 $Ca^{++},\;K^{+},\;Mg^{++},\;Na^{+}$이 각각 3.19, 1.74, 0.37, 0.24mEq/l이고 그 중 Ca와 K가 major ion이다. 주된 음이온은 ${SO_4}^{--}$가 2.0mEq/l, $Cl^{-}$이 0.19mEq/l 검출 되었다. 거제수 수액은 $K^{+},\;Ca^{++},\;Mg^{++),\;Na^{+}$이 각각 3.89, 1.95, 0.47, 0.42mEq/l로서 $K^{+}$의 비율이 월등히 높고 다음은 $Ca^{++}$ 순위이다. 음이온은 ${SO_4}^{--}$가 1.84mEq/l, $Cl^{-}$이 0.45mEq/l로서 ${SO_4}^{--}$가 높다. 이 양수액의 $K^{+},\;Ca^{++}와\;{SO_4}^{--},\;Cl^{-}$농도 상호간의 비율을 비교시 거제수가 고로쇠보다 $K^{+}$의 비율이 높고 $Ca^{++}$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SO_4}^{--}$는 고로쇠와 거의 비슷한 값이다. Sugar함량에서 고로쇠가 sucrose 2.7%함유로 비교적 감미가 높고 거제수는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0.097%, 0.305%함유되어 있다. 미량원소는 Cu, Zn, Mn에서 고로쇠와 거제수가 각각 0.057~3.038mg/l, 0.483~1.584mg/l, 5.507~4.354mg/l이고 거제수에서 Fe가 2.511mg/l 검출되었다.

  • PDF

방사선 일반 정면검사에서 허리뼈 추간판 계측 값에 따른 입사각 적용 (Application of Incidence Angle on Lumbar Spine Anteroposterior General Radiography Image according to Measured Intervertebral Disc Angle)

  • 문슬지아;김경립;조희정;성순기;곽종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71-480
    • /
    • 2019
  • 정상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전만각도에 따른 L-spine 3~4,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각각의 추간판각도를 비교 분석하여 입사각을 제시하였다. 체질량지수의 L-spine 3~4,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정면 입사각도는 머리 쪽 방향으로 5.66도, 13.23도, 29.13도였으며, 전만각도의 L-spine 3~4,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정면 입사각도는 머리 쪽 방향으로 6.32도, 16.09도, 35.36도였다. 체질량지수, 전만각도에 따른 정면 입사각도에 따라 적용한 팬텀의 일반 전후방향 영상의 왜곡정도를 면적비율로 비교한 결과 L-spine 4~5, L-spine 5~Sacrum 1의 추간판각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5), 전만각도와 추간판각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팬텀의 전만각도에 따른 추간판각도 계측 값을 머리 쪽 방향으로 입사각을 L4는 11도, L5는 26도로 적용하여 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 왜곡비율면적은 L4에서 14.90%에서 12.11%로 줄어들었고, L5에서는 15.25%에서 13.72%로 줄어들었다. 계측된 추간판 각도에 따른 입사각을 적용한 허리뼈 일반 전후방향 영상에서 허리뼈 4번, 5번을 목적으로 하는 허리뼈 정면 영상에서 왜곡을 줄여, 정확한 구조의 정면 추체상과 인접하는 관절 간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목적하는 부위의 영상의 질과 진단적 정보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Proximities and two types uniformities

  • Kim Yong-Chan;Kim Young-Su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12-518
    • /
    • 2006
  • In a strictly two-sided, commutative biquantale, we introduce the notion of ($L,\;{\odot}$)-proximity spaces. We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L,\;{\odot}$)-proximity spaces, Hutton ($L,\;{\otimes}$)-uniform spaces, ($L,\;{\odot}$) uniform spaces, enriched ($L,\;{\odot}$)-topological spaces and enriched ($L,\;{\odot}$)-interior spaces.

L-filters and L-filter convergence

  • Ko, Jung-Mi;Kim, Yong-C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9권1호
    • /
    • pp.59-64
    • /
    • 2009
  •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lations between L-fuzzy topologies and L-filters on a strictly two-sided, commutative quantale lattice L. We define an L-fuzzy neighborhood filter and introduce the notion of L-filter convergence in L-fuzzy topological spaces.

(L,⊙)-quasi-uniform Spaces and (L,⊙)-neighborhood Systems

  • Kim, Yong-Chan;Ko, Jung-Mi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9권2호
    • /
    • pp.65-70
    • /
    • 2009
  • In this paper, we introduced the notion of (L,$\bigodot$)-quasi-uniform spaces and (L,$\bigodot$)-neighborhood systems on a strictly two-sided, commutative quantale lattice L. We investigate their properties and give the examples. In particular, we study the relations between (L,$\bigodot$)-quasi-uniform spaces and (L,$\bigodot$)-neighborhood systems.

금호강 오염의 종합적 조사 (A Survey of the Kumho River Pollution)

  • 배준웅;이상학;이성호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54-66
    • /
    • 2002
  • 금호강 수계의 수질판정과 낙동강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00년 5월부터 2001년 2월까지 5월, 8월 및 12월 3회에 걸쳐 16개 지점에서 BOD 등 총 24개 항목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각 지점별 항목별 대표적인 특징을 조사기간 전 3년간의 연구결과("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다으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기간의 금호강 전 지점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수온 $17.71^{\circ}C$, pH 8.06, BOD $2.26{\mu}g/mL$ COD $5.58{\mu}g/mL$, DO $7.13{\mu}g/mL$ SS $4.73{\mu}g/mL$ 전기전도도 $570.0{\mu}S/cm$ 유지류 $0.20{\mu}g/mL$ ABS $0.016{\mu}g/mL$ Phenol $0.29{\mu}g/mL$ 영양염류인 Total-N $5.03{\mu}g/mL$ Total-P $0.27{\mu}g/mL$ 이 었다. 중금속류인 Cu $0.005{\mu}g/mL$, Zn $0.007{\mu}g/mL$ Fe $0.044{\mu}g/mL$, Mn $0.001{\mu}g/mL$ 이었다. 한편 As, Cd, Cr 및 Pb는 불검출되었다. 금호강 전 지점에서 평균값으로 "전 연구결과" 와 비교할 때에 오염이 증가된 항목은 페놀 $NH_3-N$$NO_2-N$이며, 감소된 항목은 BOD, COD, SS, 유지류 ABS 등이고, 기타 항목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금호강 수질이 낙동강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금호강 하천수의 유입 전 지점 14와 유입 후 지점 16의 평균값으로서 BOD 1.07 에서 $1.42{\mu}g/mL$ COD 1.99에서 $2.44{\mu}g/mL$ 전기 전도도 221에서 $392{\mu}S/cm$ 총질소 2.21에서 $2.81{\mu}g/mL$ 총인 0.08에서 $0.19{\mu}g/mL$ 유지류 0.15에서 $0.16{\mu}g/mL$ ABS 0.006에서 $0.015{\mu}g/mL$ 페놀 0.06에서 $0.07{\mu}g/mL$으로 변화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