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8초

Determination and Prediction of Partition Coefficient Values (Kp) for Printing Ink Solvents on Cookie from the Kp of Each Cookie Ingredient

  • An, Duek-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46-251
    • /
    • 2009
  • The partitioning behavior of five printing ink solvents was studied in cookie ingredients and cookies to examine migration behavior, and to determine if one could predict Kp of a cookie from summing the Kp of each ingredient multiplied by its weight factor in the cookie formula. Solvents were ethyl acetate, hexane, isopropanol, methyl ethyl ketone, and toluene. Gas chromatography was used to measure Kp values on each raw and baked ($260^{\circ}C$ for 10 min) cookie ingredients, and lab-made cookies. The baking process-decreases in water content in each sample generally affected Kp of polar solvents, but did not affect that of the non-polar solvents. Structural changes in cookie ingredients during the baking process also caused some change of migration behavior. While the prediction of Kp of lab-made cookies using the Kp of raw ingred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lculated and experimentally found values, predictions with baked ingredients showed much smaller differences. This suggests that loss of water and changes of crystallinity in cookies and cookie ingredients due to the baking process are important and affect the Kp.

케토프로펜-폴리에틸렌글리콜 전구약물의 합성 및 가수분해 (Synthesis and Hydrolysis of Ketoprofen Prodrug Conjugated to Poly(Ethylene Glycol))

  • 이세희;김희두;오승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1호
    • /
    • pp.37-43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ketoprofen (KP) - poly(ethylene glycol) (PEG) conjugates and to investigate their degradation kinetics. KP-PEG conjugates were synthesized from KP and PEG methy1ester by esterification in the presence of DCC. The KP-PEG conjugates (KPEG) were characterized by IR and $^{1}H-NMR$ spectroscopy. The hydrolysis of KPEG with time was studied using HPLC by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KP and KPEG. The hydrolysis rate constant was high at low and high pHs, and showed minimum at pH 4 and 5. As the size of KPEG increases, hydrolysis rate increased. The slope of degradation rate profile suggests that catalytic reaction seems to occur by specific acid/base cat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PEG could be used as a prodrug for KP, which releases KP slowly in the body.

돼지 6번 염색체(6q28 - 6q32)의 BAC clone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Microsatellite Markers 개발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using BAC clone Sequencing on Porcine Chromosome 6q28 - 6q32)

  • 장길원;이경태;박응우;최봉환;김태헌;정일정;오성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301-306
    • /
    • 2004
  • 돼지 6번 염색체에서 근내지방 함량과 등지방 두께와 관련된 QTL이 탐색되어진 영역(6q28-6q32)에서 미세지도 작성을 위한 유용한 marker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량 염기서열 분석자료를 근거로, 반복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KP0290F2(TTCC), KP0248C11(AAAT), KP1231C91(TAG), KP1231C92(TTG) 그리고 KP1231C93(GA)의 5 부위에서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이 부위들에 대한 랜드레이스, 재래돼지, 듀록, 요크셔, 버크셔, 오지산돈, 향돈 그리고 민돈의 8품종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 결과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2.13, 4.63, 7.38, 2.75 그리고 6.25로 나타났다. 그리고 8품종에 대한 KP0290F2, KP0248C11, KP1231C91, KP1231C92 그리고 KP1231C93에 대한 평균 heterozygosity 값을 산출한 결과, 0.2110, 0.6865, 0.8304, 0.4057 그리고 0.7051로 나타났으며, 5markers에 대한 8 품종의 평균 heterozygosity 값은 0.6313, 0.5662, 0.5814, 0.6957, 0.4517, 0.4847, 0.5758 그리고 0.5559로 나타났다. KP0248C11, KP1231C91 그리고 KP1231C93은 적절한 대립유전자 수를 나타내었고, 또한 hetetozygosity 값이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도 적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앞으로 유용한 marker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marker는 SW71(98.6cM)과 SW1881(121.1 cM) 영역내에 존재하는 유용한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한 미세지도 작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marker로 판단되며, positional cloning에도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돼지 게놈 연구가 완성되어 염기배열이 밝혀지기 전에 이용 가능한 표지인자들을 다량으로 확보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건멸치의 저장안정성에 미치는 포장방법의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the Storage Stability of Boiled-Dried Anchovy)

  • 조길석;김영명;김현구;강통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199
    • /
    • 1987
  • 건멸치 저장중 포장방법이 건멸치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건멸치를 6개 월간 저장하면서 주요 품질지표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BA-값, 갈변색소 및 색깔(L,a,b) 변화는 KP포장 처리구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KP/PE film포장 이었으며 질소가스 치환포장 철리구가 가장 적었다. 종합적인 관능적 기호도를 보통정도 수준인 3.0을 기준으로하여 저장 기간을 설정하면 $5^{\circ}C$ 저장인 경우는 포장법에 관계없이 모두 6개월 이상 저장 가능하였고 상온저장고의 KP처리구는 3개월, KP/PE film 및 질소가스 치환포장 처리구는 4개월 가량 품질이 유지 되었다. 포장방법별 품질은 질소가스 치환포장>KP/PE film포장>KP포장 순으로 우수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건멸치의 품질은 포장방법에 따라 크게 좌우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건멸치의 장기 저장을 기하기 위해서는 투습성, 투기성이 적은 포장재의 선택 또는 가스치환포장 방법등이 강구 되어야 할것으로 생각 되었다.

  • PDF

돼지 인공수정용 국산 희석액 KpA 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보존온도와 pH 변화 측면 (A Study on Efficiency of Boar Semen Extender KpA for Swine AI Asp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H Change)

  • 정구민;김선의;신영수;김인철;이장희;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7-262
    • /
    • 1999
  • 본 연구는 독자 개발한 돼지인공수정용 희석액 KpA를 실용화하기 위하여 온도와 pH 변화가 KpA의 정자보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요크셔 계통의 종웅돈에서 채취한 신선정액을 KpA와 BTS으로 희석한 다음 17$^{\circ}C$에 1주일간 보존하면서 생존율과 pH 변화폭을 조사한 결과 KpA 희석정액은 BTS 희석정액보다 보존기간 동안에 높은 생존성을 나타내었으며, 5일까지 60% 이상의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또한 두 희석액과 희석정액 모두 보존 중 생리적인 pH 범위내에서 안정하였다. 희석액 KpA의 pH를 산성 (pH 6.3~6.8), 중성 (pH 6.8~7.3), 염기성화 (pH 7.8~8.0) 으로 조정한 다음 신선정액과 희석하여 4$^{\circ}C$, 17$^{\circ}C$ 및 37$^{\circ}C$에서 보존한 결과 희석정액의 pH 는 급격한 변화 없이 안정하였으나 중성에서 보다 산성과 염기성의 환경에서 더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희석액을 산성화 또는 염기성화 하였을 때 정자가 받는 스트레스는 17$^{\circ}C$보다 4$^{\circ}C$와 37$^{\circ}C$에서 더욱 현저히 나타났다. 따라서 KpA 는 17$^{\circ}C$ 보존에 적합한 희석액이며, 보존 중 정자의 생존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희석정액의 pH 와 보존온도의 조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해저케이블 작업에서의 KP와 XTE 구현을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Optimization Algorithm for KP and XTE Implementation on the Submarine Cable Work)

  • 이태오;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23-436
    • /
    • 2003
  • 해저 광케이블 공사는 해양조사, PLGR(Pre Lay Grapnel Run), 천해부공사, 포설/매설 순서로 이루어진다. PLGR은 해저 광케이블 매설전에 루트상의 해양 오염물(로프, 와이어, 그물, 어망 등)을 사전에 제거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PLGR은 케이블의 해저면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Plough 및 ROV(Remotely-Operated Vehicle) 매설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매설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작업이다. 본 논문은 해양조사, PLGR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항해 누적 거리(KP Kilometer Post)와 경로 이탈 오차(XTE : Cross Track Error)의 최적화 알고리즘 구현에 대해서 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전체적인 PLGR 작업을 구성하고, 항해 누적 거리와 경로 이탈 오차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PLGR 작업의 일부 루트를 따라서 KP와 XTE 결정 알고리즘을 실험하였다.

KP AGENT를 이용한 기술정보공간의 구축 (ICPIS Construction using KP Agent)

  • 박경우;배상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4-21
    • /
    • 2000
  • 이용자의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보충하는 새로운 지식표현 패러다임으로 기술정보공간(ICPIS: Information Communication Papers Intelligent Surveyor)을 제안한다. 이것은 기술정보로부터 자동적으로 구축되어 그 중에서 이용자가 자유롭게 탐방 할 수 있는 정보 공간이다. 구축방법과 탐방기능을 명확히 하여 실 시스템을 구축, 평가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ICPIS는 Keyword로 기술된 논문군을 입력하여 논문내용의 항목별 요약, 유사논문의 시각적 표시와 비교, 인과관계의 추출을 시작으로 논문의 요약정보, Survey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ICPIS에서 중심적 역할을 나타내는 것은 KP(Knowledge Piece)로 불리고, 이는 기술정보의 추출법과 구조화법을 일체화한 Domain지식의 패키지이다. ICPIS는 KP별로 기술된 Keyword에서 자연언어처리에 해당되는 기술정보를 논문 중에서 추출하여 KP에서 규정된 요약구조로 생성한다.

  • PDF

The Viable But Nonculturable State of Kanagawa Positive and Negative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 Bates, Tonya C.;Oliver, James D.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74-79
    • /
    • 2004
  • Ingestion of shellfish-associated Vibrio parahaemolyticus is the primary cause of potentially severe gas-troenteritis in many countries. However, only Kanagawa phenomenon (hemolysin) positive (KP$\^$+/)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are isolated from patients, whereas >99%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do not produce this hemolysin (i.e. are KP$\^$-/). The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are not known. Following a temperature downshift, Vibrio parahaemolyticus enters the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state wherein cells maintain viability but cannot be cultured on routine microbiological media. We speculated that KP$\^$+/ and KP$\^$-/ strains may respond differently to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conditions of seawater by entering into this state which might account for the low numbers of cul-turable KP$\^$+/ strains isolated from estuarine waters. The response of eleven KP$\^$+/ and KP$\^$-/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following exposure to a nutrient and temperature downshift in different salinities, similar to conditions encountered in their environment, was examined. The strains included those from which the KP$\^$+/ genes had been selectively removed or add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produce hemolysin did not affect entrance into the VBNC state. Further, VBNC cells of both biotypes could be restored to the culturable state following an overnight temperature upshift.

Kalopanaxsaponin B Ameliorates TNBS-Induced Colitis in Mice

  • Jeong, Jun-Ju;Jang, Se-Eun;Joh, Eun-Ha;Han, Myung-Joo;Kim, Dong-H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5호
    • /
    • pp.457-462
    • /
    • 2012
  • The stem-bark of Kalopanax pictus (KP, family Araliaceae), of which main constituent is kalopanaxsaponin B, has been used for asthma, rhinitis, and arthritis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To clarify anticolitic effect of KP, we examin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KP extract and kalopanaxsaponin B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 and 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induced colitic mice. Of KP extracts, KP BuOH-soluble fraction most potently inhibited LPS-induced IL-$1{\beta}$, IL-6 and TNF-${\alpha}$ expression, as well as NF-${\kappa}B$ activation. However, KP BuOH fraction increased IL-10,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KP BuOH fraction also inhibited colon shortening and myeloperoxidase activity in TNBS-induced colitic mice. KP BuOH fraction also pote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IL-6, and TNF-${\alpha}$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NF-${\kappa}B$. Kalopanaxsaponin B, a main constituent of KP, inhibited TNBS-induced colonic inflammation, including colon shortening, and TNBS-increased myeloperoxidase activity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and NF-${\kappa}B$ activation in mice. Based on these findings, KP, particularly its main constituent, kalopanaxsaponin B, may ameliorate colitis by inhibiting NF-${\kappa}B$ pathway.

Drosophila melanogaster 한국지반에서 분리한 KP Elements의 DNA 염기서열 분석 (Molecular Analysis of KP Elements Derived from Korean Populations of Drosophifa mefanogaster)

  • Kim, Wook;Kim, Jeong-Soo;Shin, Dong-Ji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4-172
    • /
    • 1996
  • KP elements derived from Korean populations (Seoul, Cheonan and Taegu) of Drosophila melunoguster were examined for their molecular structure. The entire 1.15 kb sequence of the three KP elements KC-137 (Cheonan), KS-95 (Seoul) and KT-99 (Taegu) have been obtained by PCR amplification using inverted repeat primers and DNA sequencing. The 1.15 kb fragments of KP elements were cloned into pCRmll vector plasmids, and subsequently sequenced. The sequence of the three KP elements in these populations suggest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derived from the complete P element by a 1753 bp internal deletion between positions 808 and 2560. Therefore these KP elements were confirmed to be identical to that isolated from M'10 strains widely distributed in most Eurasian populations of D. melanoguster. Sequence comparison with the 2.9 kb complete P element in pn25.1 revealed that KC-137 has only shown to be two base substitutions of A to G and G to A at positions 62 and 242, respectively. The retained sequence of the two KP elements KS-95 and KT-99 shows complete homology to the P factor in pn25.1. Based on this result, the two base substitutions in KC-137 might be due to Taq DNA pollunerase error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 copy numbers of KP elements provieds an explanation for the suppression of P-mediated hybrid dvssenesis in Korean population of D. melunogos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