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4초

엄나무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myloid Activitie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adical 소거 측정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엄나무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에서 모두 라디칼 소거활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KP-HE가 KP와 HE에 비해서 더 높은 소거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과 관련 있는 $A{\beta}_{1-42}$의 응집에 KP, HE, KP-HE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KP와 HE는 $A{\beta}_{1-42}$의 응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KP-HE는 $A{\beta}_{1-42}$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A{\beta}_{1-42}$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에 엄나무 발효물을 $3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20.3% 높게 증가되었다. 또한 엄나무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ROS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들을 통해 엄나무 발효물은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엄나무 발효물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신경세사 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on oxidative damage of neurofilament protein)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4-204
    • /
    • 2018
  • 본 연구는 신경퇴행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neurofilament-L(NF-L)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액 상에서 pe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AAPH를 처리하여 NFL의 산화적 변형을 유도하고 엄나무 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을 각각 처리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P와 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NF-L의 산화적 손상을 막지 못했으나 KP-HE는 NF-L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NF-L 변형에서 나타나는 dityrosine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peroxyl radical 소거활성도 증가시켰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발견되는 신경독성물질인 tetrahydropapaveroline(THP)에 의한 NFL의 변형에 KP, HE, KP-HE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KP-HE는 KP와 HE에 비해서 THP에 의한 NF-L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KP-HE는 THP에 의한 NF-L 변형에서 나타나는 dityrosine 형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THP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 생성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KP-HE가 활성산소와 신경독성물질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므로 엄나무 발효물은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Quality and Lactic Acid Bacteria Diversity of Pork Salami Containing Kimchi Powder

  • Yoon, Ji Yeol;Kim, Dongwook;Kim, Eun-Bae;Lee, Sung-Ki;Lee, Mooha;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12-926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and bacteria diversity of pork salami containing homemade kimchi powder (KP). Pork salamis were manufactured with commercial starter culture (control), and 1% KP (KP1), 3% KP (KP3), and 5% KP (KP5). The salami was fermented and aged for 2 days and 56 days, respectively. The pH and $A_W$ values of salamis with K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s of all salamis with KP increased but were below 0.2 mg MDA/kg. Salamis with KP, decreased the $L^*$ value, but increased the $a^*$ and $b^*$ values (p<0.05). The Lactobacillus cou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lamis with KP than in the control by day 14 (p<0.05). The number of Leuconostoc was higher in salamis with KP than in the control and was the highest in salamis in KP1. The KP1 protected lipid oxidation and showed low TBARS value of pork salami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KP can improve pork salami properties and can serve as a potential natural compounds for fermented meat prodcuts like Metzgerei.

음나무(Kalopanax pictus) 추출물과 비타민 C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활성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Kalopanax pictus and Ascorbic Acid on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 손미예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34-1640
    • /
    • 2007
  • 음나무 (Kalopanax pictus, 이하 KP)의 추출물과 ascorbic acid(AA)의 DPPH와 ABTS 라디칼, FRAP 및 NO 소거능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능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AA 첨가에 의해서 그 활성이 향상되었다. 인간 간암세포주에 대한 KP추출물+AA의 항암능은 MTT법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또한 KP 추출물+AA는 세포주기의 G0/G1-phase 또는 G2/M-phase에 영향을 미쳤으며,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KP추출물+AA는 대식세포주를 이용한 NO생성과 억제의 면역활성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P추출물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조절 효과는 KP추출물 단독으로 처리할 때보다, KP 추출물과 AA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객관적인 태풍 통계자료 구축을 위한 '한반도 근접 태풍'의 정의 및 기준 설정 (A Definition and Criterion on Typhoons Approaching to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Objective Statistical Analysis)

  • 문일주;최의수
    • 대기
    • /
    • 제21권1호
    • /
    • pp.45-55
    • /
    • 2011
  • A definition on the tropical cyclone (TC) that influenced the Korean Peninsula (KP), the KP-influence TC, is widely used in the TC communities, but its criterion is not clear mainly due to the ambiguity and subjectiveness of the term such as 'influence', which led to the inconsistent TC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 definition and criterion on the TC approaching to the KP (KP-approach TC) additionally, which is more obvious and objective than the KP-influence TC. In this study, the criterion on the KP-approach TC is determined when the TC's center from the RSMC best track data encounters the box areas of $28^{\circ}N{\sim}40^{\circ}N$ and $120^{\circ}E{\sim}138^{\circ}E$. The range is chosen by finding a minimum area that includes all official KP-influence TCs except three TCs that affected the KP as a tropical depression (TD). Statistical analysis reveals that, among total 1,537 TCs that occur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during 1951-2008, the KP-approach TC was 472, the KP-influence TC was 187, and the KP-landfall TC was 87. August was the month that the largest TCs approach and influence to the KP.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o determine the KP-influence TC by the strong wind and heavy rain advisories in the KP based on the observation after the storm's passage.

돼지인공수정용 정액액상보존제 Kp 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Kp 의 pH 조절과 냉동정자에 의한 보존성 검정 (A Study on Development of Boar Semen Extender Kp for Swine AI I. Stabilization of pH Change and In Vitro Survival of Frozen-Thawed Boar Sperm in Kp Extender)

  • 김선의;정구민;서동삼;김득중;김인철;김현종;신영수;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0
    • /
    • 1998
  • 본 연구는 독자 개발한 돼지액상정액희석제 Kp(한국생명과학연구소)에 pH를 안정화하여 보존 중 정자의 운동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EDTA, Tris, Citrate buffer의 적정 첨가농도를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Basic Kp와 BTS (Mini-tube, Germany; BT-Sg), BTS (Tri-bio, USA; BTSa), Modena (SGI, USA)를 17$^{\circ}C$ 에서 각각 보관한 경우 모든 희석액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pH가 증가하였고, Basic Kp 는 희석 당일의 pH가 다른 희석액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돼지액상정액의 생리적인 pH인 6.8~7.5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정액내의 pH 저하를 방지해 주고 정액의 생리적인 pH를 유지하기 위하여 Basic Kp에 EDTA, Tris, Citrate buffer를 단계적으로 첨가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를 살펴 본 결과 1.25g /L EDTA, 1.42g /L Tris, 1.00g /L Citrate를 첨가한 경우 (Modified Kp) pH는 l일째 6.88에서 6일째 7.33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Modified Kp에 첨가된 buffer 의 농도는 Modena와 다른 희석제에 첨가된 농도에 비해 1/2 에서 1/4 정도로 낮은 수준이었다. Modified Kp 와 Basic Kp, BTSg, BTSa 및 Modena로 냉동-융해된 돼지 정자를 희석하여 보존한 경우 정자의 운동성은 Modified Kp가 다른 희석액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87.0% vs. 71.0~48.0% in day 1; 13.3% vs. 6.3~0% of day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odified Kp는 낮은 농도의 EDTA, Tris, Citrate buffer 첨가에도 불구하고 돼지정자의 생리적인 pH 수준을 잘 유지할 수 있었으며, 수입되어 냉동-융해된 돼지 정자에 사용하는 희석제 BTSg, BTSa, Modena 보다도 정자의 운동성에 효과적이었다.

  • PDF

항암제 KR 53170 및 관련 화합물의 항암효과 연구 -장내새균을 이용한 PL-Kp의 부분분절 및 항암력 증진-

  • 정경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0-170
    • /
    • 1994
  • 항암제 KR 53170 및 관련 화합물의 항암 효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Phellinus linteus 균사배양물로부터 분리한 항암성 단백다당체 (분자량 8000 이상의 고분자 분획) PL-KP률 장내세균의 효소활성을 이용하여 부분분절(partial fragmentation)시킴으로써 항암력 증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장내세균을 이용한 PL-Kp의 처리 :PL-Kp 5.62g을 기본배지 281m1에 용해 시킨후 그 중 100m1에는 Py-92 균주(endoglucanase 생성균주)를, 다른 100m1에는 초식동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균총을 접종한후 배양물 100m1 당 BH1 broth 10n1를 첨가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열탕에서 15분간 가열하고 투석, 동결건조하여 건조분말로 획득하였다. 이증 Py-92 균주로 처리한 시료를 Kp-F1, 균총으로 처리한 시료를 Kp-F2, 균을 접종하지 않고 처리한 시료를 Kp-FC라 한다. 2. 분절 (Fragmentation) 확인 : 증류수에 용해시킨 시료의 Sephadex G-25 컬럼을 이용한 gel filtration 유형(컬럼 통과 속도 및 착색대 유형)등을 관찰하여 Kp-F1 및 Kp-F2가 성공적으로 분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 분절 Kp의 항암력 실험 : ICR 마우스내 피하에 이식한 sarcoma 180고형암에 대한 항암력을 비교실험하여 부분분절에 의해 항암력이 증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L-Kp가100mg/kg/day ip의 용량에서 49.5%의 종양저지율을 발휘하였으나 균총을 이용하여 부분분절시킨 시료(Kp-F2)는 그 1/5용량에서도 87%의 종양저지율을 발휘하여 항암력이 현저히 증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Py-92 균주를 이용하여 분절시킨 Kp-F1도 100mg/kg용량에서 76%의 종양저지율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부분분절 조작을 통하여 항암성 단백다당류인 PL-Kp 의 항암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한국고추계통에서 분리한 이동 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Movement Protein Gene from Tobacco Mosaic Virus Korean Pepper (TMV-KP) Strain)

  • 이재열;정동수;장무웅;최장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0
    • /
    • 1995
  • Complementary DNA of the movement protein (MP) gene of tobacco mosaic virus Korean pepper strain (TMV-KP) was synthesized from purified TMV-KP RNA by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ystem. The synthesized double stranded cDNA was cloned into the plasmid pUC9 and transformed into Escherichia coli JM110. The movement protein gene of TMV-KP of the selected clones was subjected to sequence analysis by Sanger's dideoxy chain termination method. The complete sequence of viral MP gene from TMV-KP strain was 807 nucleotides long. The nucleotide of MP gene from TMV-KP has thirteen and two nucleotide differences from TMV vulgarae (TMV-OM) and Korean (TMV-K) strains, respectively. Thu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MV-KP MP gene showed higher homology of 99% with that of TMV-K MP gene.

  • PDF

청주의 주질 개선을 위하여 분리된 효모의 균학적 성질 (Characteristics of the yeast strains which isolated for improvement of Choungju quality)

  • 신철승;박윤중;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16-19
    • /
    • 1996
  • 청주의 주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보의 연구에서, 유용효모로서 분리된 균주에 대하여 균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일부의 사항에 대하여는 일본청주효모와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리효모 KP-16, KP-21 및 KP-54 균주는 모두 saccharomyces cerevisae로 동정되었고, TTC 염색성이 pink계이었다. 맥아즙 배지에서의 피막(被膜) 형성능은 KP-16 및 KP-21 균주는 약하였으나, KP-54균주는 강하였다. 당의 발효성과 탄소원의 자화성은 KP-16과 KP-21 균주는 동일하였고, KP-54 균주는 다소 달랐다. 분리효모는 모두 ${\alpha}-methyl-D-glucoside$를 발효도 자화도 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본청주효모와 다른 점 중의 하나였다. 비타민 요구성에 있어서 분리균주는 모두 biotin과 pantothenate를 요구하였으며, biotin을 요구하는 점은 일본청주효모와는 다른 특성이었다. 내알코올성은 분리균주 모두 일본청주효모 K-7및 K-9균주보다 강하였다.

  • PDF

Phellinus linteus 균사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Kp의 항암활성 (Antitumor Activity of Kp, a Protein-polysaccharide from the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 정경수;김신숙;김희수;한만우;김병각
    • 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8-165
    • /
    • 1994
  • A protein-polysaccaride fraction Kp(53.9% polysaccharide, 14.2% protein) was separated from the shake-cultured mycelia of a basidiomycetous fungus, Phellinus linteus, and its antitumor activity against sarcoma 180 in ICR mice was investigated. When administered after the tumor implantation, Kp exerted antitumor activity by inhibiting the growth of the sarcoma 180 solid tumor by 71.5% and increasing the life span of the sarcoma 180 ascitic mice by 51.5% at 100 mg/kg. In pretreatment tests, in which Kp was administered once daily for 9 days before the tumor implantation, Kp inhibited the growth of the solid and ascites form of sarcoma 180, respectively, by 35.4% and by 80.3% at 100 mg/kg. However, Kp showed no in vitro cytotoxic activity against a murine leukemia L1210 and a human gastric tumor SNU.1 upto the concentration of $200\;{\mu}g/ml$. From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the antitumor activity of Kp is exerted through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on the host's immun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