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elfare panel study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9초

청소년기 내면화 문제 행동의 발달궤적 양상과 유형화 예측 변인 (Predictors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Adolescents)

  • 오영진;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89-10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data came from 3,188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the first year showed a rapid decline in these behaviors over time, whereas for adolescents with a low level of these behaviors in the first year the decline was slow. The predictors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related to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self-esteem, self-control, stress, self-stigmatiz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predictors of the pattern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ppeared to be related to individual variables.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Relations between Older People's Transfer incomes and Life Satisfactio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이전소득(공적이전, 사적이전 소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사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1,019.2만원(월평균 84.9만원)으로 공적이전 소득이 소득안정화 효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일반가구 노인의 공적이전 소득의 절반 수준인 508.5만원(월평균 4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비록 "마음이 편하지 않는" 소득원천인 사적이전 소득이 불안정한 소득안정화 부족분을 채워주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남녀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Single and the Married Couples Elderly)

  • 이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119-1135
    • /
    • 2012
  • 본 연구는 남녀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이들의 생활수준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복지서비스 이용을 파악하여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노력들이 연구대상들에게 어떠한 상태로 개입되고 있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5차(2010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716가구 노인들의 응답내용으로 기초통계, T검증, 카이스퀘어 검증, 분산분석,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성 독거노인의 경제수준과 건강수준이 가장 낮았고 노령연금수급과 식생활이나 간병, 일상생활지원 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도가 높았으며, 남성 독거노인은 노후보장수준이 미약하며 가족과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의료비와 물품지원서비스 이용도가 높았다. 상대적으로 부부노인은 연령대가 낮고 복지서비스 이용 수가 적으며 일자리사업 참여율은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복지서비스 이용도에는 세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노후보장 수준과 가족관계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결과를 통해 복지서비스 개입 시 우선대상 선별기준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경제 및 건강관련 복지서비스 영역 외에도 심리정서적 지원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 김동배;유병선;신수민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041-1061
    • /
    • 2012
  • 본 연구는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노인이 이용하는 사회서비스가 이 두 요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빈곤을 주거불안정, 과도한 주거비부담, 최저주거기준 미달로 정의하였고, 이러한 주거빈곤이 노년기의 정신건강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노인의 주거빈곤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빈곤과 우울 사이에서 사회서비스의 이용만족도는 우울을 완화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회서비스의 이용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환경의 개선을 통해 노인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적인 실천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기본소득 모델들의 소득재분배 효과 비교분석 (Basic Income models and its Effect on Income Redistribution.)

  • 백승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185-212
    • /
    • 2010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안적 소득보장제도로 제안되고 있는 기본소득(basic income) 모델들의 소득재분배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소득재분배효과는 빈곤율과 5분위 소득배율 그리고 지니계수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기본소득 모형은 현행의 소득보장 시스템에 비해 소득재분배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본소득모델은 절대적 빈곤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였다. 기본소득 모델중에서 빈곤감소효과가 큰 것은 정률과세 기본소득 모델이었으며, 소득불평등 감소효과가 큰 것은 차등과세 기본소득 모델이었다. 기본소득 모델이 현행 시스템보다 소득재분배 효과가 큰 것은 투입되는 자원의 양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편주의적인 프로그램이 소득재분배효과가 가장 크다는 '재분배의 역설론' 을 확인해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빈곤감소효과에서는 정률과세 기본소득 모델이 소득불평감소 효과에서는 차등과세 기본소득 모델의 성과가 양호하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소득 논의에서 정책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모델의 설계가 달라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노인의 성별에 따른 배우자 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의 관계 : 2015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by Gender in the Elderly: Based on 2015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 김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22-531
    • /
    • 2017
  • 국내에서 발생하는 배우자 폭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 노인의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가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노년기에 발생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실시된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노인 중 주요변수에 응답한 2,819명이며, 각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배우자 폭력 피해경험 및 우울 정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독립 t-tests, $x^2$-tests, 단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및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 노인뿐만 아니라 남성노인을 포함하여 배우자 폭력 예방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건강중재 계획 수립을 위한 근거가 될 것이다.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외현화 문제 간 관계 : 자아통제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Externalizing Problems in Single Parent Families : The Mediating Role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 이주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23-130
    • /
    • 2010
  • This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ternalizing problems in single parent families. Participants were 174(2003-2004 panel 1 data of Korea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self-control and self esteem did not medi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ime 1 parenting behaviors and time 2 middle school students' externalizing problems, after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time 1 middle school students' externalizing problems.

기업사회공헌과 재무성과의 쌍방향적 관계 및 자기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1000대 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f Bi-lateral and Autoregressive Relationship of Corporate So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 Panel Data Analysis on Top 1,000 corporations in Korea -)

  • 강철희;김창우;최정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205-232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사회공헌과 재무성과의 관계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효과방식(fixed effect method)에 기반한 동적패널모형(dynamic panel model)에 의한 분석을 활용하여 기업사회공헌과 재무성과의 쌍방향적 관계와 자기상관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1,000대 기업의 기업사회공헌과 재무성과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면서 6년간 결측치를 갖지 않는 430개 기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재무성과는 다음 시점의 기업사회공헌에 정적인 방향에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전 시점의 기업사회공헌은 다음 시점의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이전 시점의 기업사회공헌은 다음 시점의 기업사회공헌에 정적인 방향에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이전 시점의 재무성과는 다음 시점의 재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업사회공헌과 재무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 둘 간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기존 논의와 관련해서 실증적으로 관계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주목할 것은 기업은 재무성과가 높아 여유자원을 가질수록 사회공헌에의 투여가 높은 경향성을 갖고, 또한 이전 시점의 사회공헌은 다음 시점의 사회공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제한성을 극복하며 국내 1,000대 기업의 사회공헌과 재무성과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며 다양한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증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Poverty of the Elderly : Utilizing the Panel Data Model)

  • 최옥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5-2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노인으로만 구성된 가구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설명변수를 투입하고, 패널분석(panel data model)을 활용하여 노인의 특성별로 이들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학력, 혼인상태, 자산, 거주지역 등과 함께 과거의 직업력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노인의 특성별로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노후의 상황만을 고려한 노인의 탈빈곤정책은 사후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노인 빈곤층이 될 수 있는 현재의 근로빈곤층에 대한 정책의 중요성과, 현재 보험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적연금제도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시사한다.

  • PDF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Networks on Child Abuse)

  • 여진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2호
    • /
    • pp.99-127
    • /
    • 201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아동보호대책 마련을 위하여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빈곤과 부부불화, 그리고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검증하였다. 그런 후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빈곤과 부부불화는 아동학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져,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아동학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빈곤,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 지지 모두 빈곤,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나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통한 아동보호대책에 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