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medicine ontology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5초

한의 정보 시스템에서 처방 정보의 모델링 및 표현 방법 (Models and Representations of Formulas in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 김상균;김안나;오용택;장현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1-49
    • /
    • 2014
  • Objectives: We propose a method to model and represent formulas in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ystems. Methods: All the formulas were codified in the form of graphs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formula and its constituents. To identify a unique formula in a graph, the formula's name, the book in which the formula was written, the book where the formula was extracted, and the page number in the extracted book are used. All the formula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ulas are modelled as an ontology based on graphs. Results: A formula search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our ontology, which can represent formula information efficiently by grouping and filtering of formulas. Our formula model was also constructed as a mobile application. Conclusions: The information in our formula search system depends on our ontology. However, our model or our search scenarios could be extended according to formula information.

온톨로지를 활용한 웹 기반 한의 진료 지원 시스템 (Web based System for Supporting Medical Treatment in Korean Medicine based on Korean Medicine Ontology)

  • 서진순;김상균;오용택;김안나;장현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21
    • /
    • 2014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and information systems are being rapidly paced. In addition, doctor's needs of the system that assist decision making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the complex process of decision-making should be a lot. We propose a web based system for supporting medical treatment based on Korean medicine ontology. There are three kinds of processes. First, a pattern is decided for patient' symptoms, a formula for the pattern is selected and medicinal materials constituting the formula is added or removed. Second, a formula is decided for patient' symptoms, medicinal materials constituting the formula is added or removed. Third, a Treat method is decided for patient' symptoms, medicinal materials constituting the formula is added or removed.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supports flexible processes and necessary information and functions. The system shows the appropriate form of ontology knowledge as interrelated and provide analysis and processing, does not show simply search. The system is one of the systems utilizing ontology and a web based system that can be used in anywhere. Therefore, This system Will be useful as for doctors to make decision.

상한론(傷寒論)온톨로지 구축 방법론 연구 (Study on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Shanghanlun Ontology)

  • 정태영;김희열;박종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5-772
    • /
    • 2011
  • Knowledge which is represented by formal logic are widely used in many domains such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on retrieval, e-commerce and so on. And for medical field, medical documentary records retrieval, information systems in hospitals, medical data sharing, remote treatment and expert systems need knowledge representation technology. To retrieve information intellectually and provide advanced information services, systematically controlled mechanism is needed to represent and share knowledge. Importantly, medical expert's knowledge should be represented in a form that is understandable to computers and also to humans to be applied to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decision making. And it should have a suitable and efficient structure for its own purposes including reasoning, extendability of knowledge, management of data, accuracy of expressions, diversity, and so on. we call it ontology which can be processed with machines. We can use the ontology to represent traditional medicine knowledge in structured and systematic way with visualization, then also it can also be used education materials. Hence, the authors developed an Shanghanlun ontology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so that we suggested a methodology for ontology development and also a model to structure the traditional medical knowledge. And this result can be used for student to learn Shanghanlun by 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s knowledge. We analyzed the text of Shanghanlun to construct relational database including it's original text, symptoms and herb formulars. And then we classified the terms following some criterion, confirmed the structure of the ontology to describe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terms, especially we developed the ontology considering visual representation. The ont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database showing fomulas, herbs, symptoms, the name of diseases and the text written in Shanghanlun. It's easy to retrieve contents by their semantic relations so that it is convenient to search knowledge of Shanghanlun and to learn it. It can display the related concepts by searching terms and provides expanded information with a simple click. It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standardization problems, short coverage of pattern(證), and error in chinese characters input. But we believe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basic foundation to make traditional medicine more structural and systematic, to develop application softwares, and also to applied it in Shanghanlun educations.

검색 성능 향상을 위한 약품 온톨로지 기반 연관 피드백 (Relevance Feedback based on Medicine Ontology for Retrieval Performance Improvement)

  • 임수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56
    • /
    • 2005
  • 기계가 정보의 의미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기존의 웹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멘틱 웹은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지식을 공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교한 질의의 처리를 위하여 온톨로지 내에 존재하는 의미 관계들을 질의의 확장을 위한 연관피드백 정보로 이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은 도메인 온톨로지인 Medicine 온톨로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출현 용어들의 빈도정보만을 이용한 키워드 기반 문서검색과 제안한 온톨로지기반 문서검색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이 때, 두 시스템의 정확률과 재현율을 성능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 검색 엔진은 온톨로지에 정의된 개념들과 규칙들을 활용하면서 검색의 정확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고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론의 기반으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

생물학과 의학 온톨로지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Bio and Medical Ontologies)

  • 유정연;엄동명;이규철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2호통권17호
    • /
    • pp.31-45
    • /
    • 2006
  • Bioinformatics and medical informatics have moved to make its knowledge more systematically and computationally using ontology. These ontologies help querying ring and analyzing data and used to develop application in biomedical. However, no research about ontology of oriental medical exists. Thus, to maximize the power of transition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ontology for oriental medical. This paper compares the ontologies of bio and medic by an objective point of view to guide the construction of oriental medic ontologies.

  • PDF

맞춤형 진단 서비스를 위한 한의학 온톨로지 (Oriental Medical Ontology for Personalized Diagnostic Services)

  • 문경실;박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30
    • /
    • 2010
  • 의료 분야의 정보화와 다양화로 인해 한의학 분야에서도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온톨로지 기반의 지능형 의료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능형 의료 시스템은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복잡한 의료지식 및 개인의 의료정보등을구조화함으로써진단을과학화시키고보다나은의료서비스를제공하게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의학 데이터, 진단 시 발생되는 임상데이터, 개인의 신체정보와 같은 세 가지 지식을 표현하여 온톨로지로 구축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진단을 내리는데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한다. 특히, 한의학진단에서는 환자 개인의 병증과 체질 등에 따라 상이한 진단 및 처방이 내려질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인의 신체정보 및 질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의 진단 및 처방 서비스를 제공 해주는 지능형 진단보조시스템이 유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자 개개인에게 맞춤형의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의 신체정보 및 질병정보를 이용하여 한의학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추론을 통해 진단을 내리는 한의학 진단보조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온톨로지 기반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sign of Ontology-based Prescripti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of Oriental Medicine)

  • 이현실;이두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41-371
    • /
    • 2003
  • 본 연구는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요구되는 사항들이 온톨로지의 추상적 개념구조 를 기반으로 하는 용어의 개념, 속성, 관계의 명확한 정의를 통해 더욱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실 현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이에 따라 실세계 개념 모델링 방식으로 한의학 처방지식 온톨로 지를 개발하여 Protege-2000을 기반으로 온툴로지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시스템을 응용할 수 있 는 마크업 언어의 설계와 편집기를 만들어 지식의 추론이 가능한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XML 기반의 RDF와 온톨로지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 으므로 차세대 인터넷 기술인 의미웹과의 연옹이 가능하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소셜 네트워크 온톨로지 구축 (Construction of Social Network Ontology i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김상균;장현철;예상준;한정민;김진현;김철;송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85-4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연구자들이 연구를 하는데 있어 상호협력이 가능한 연구자들을 검색하고 연구자들이 가지고 있는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한국한의학연구원 소셜 네트워크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모든 연구자들의 개인정보, 학력/경력/자격/학회정보, 연구정보, 인맥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온톨로지 객체의 관계, 계층구조, 속성들을 정의하고 이를 FOAF와 OWL 기반의 온톨로지로 구축하였다. 또한 온톨로지에서 정보들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온톨로지에서 명시되지 않은 새로운 추론 가능한 정보들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온톨로지는 FOAF를 통해 다른 소셜 네트워크와 연계가 용이하며 또한 OWL 기반의 온톨로지 추론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어분해 지원도구를 활용한 약재.처방 주치 분해 연구 (Disassembling Indication Terms of Medicinal Treatment Using a Cooperation Tool)

  • 김안나;오용택;김상균;서진순;장현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2-366
    • /
    • 2013
  • We are building an Korean Medicine ontology and disassembling indication terms of medicinal materials and formulas. When we disassemble these terms, an expert can disagree about another expert's result, so participants have to consider another opinion and verify each other concurrently. To achieve this, we have developed a web-based tool that support users in refining terms, disassembling them into the minimum meaning efficiently. With this tool, plural participants refer to each other and make use of this as a verification method. This would have enabled participants to achieve consensus. Due to the n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nowledge which have rich implications and is complicated,E there would be a various result of refinement, disassembly, analysis and another processing. This tool assists users in minimizing the differences and maintaining objectivity by agreement. We have refined and analyzed 4,756 terms from materials and formulas indication in Korean Medicine ontology using this tool. And we concluded that disassembled data increases the percentage of linkage between diseases and medicinal treatments and established an infrastructure for the extensible knowledge.

의미관계 정보를 이용한 약품 온톨로지의 구축과 활용 (Medicine Ontology Building based on Semantic Relation and Its Application)

  • 임수연;박성배;이상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428-437
    • /
    • 2005
  • 온톨로지는 주어진 응용 도메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관련 개념들의 집합과 정의, 그리고 그들간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갱신할 때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텍스트의 분석결과를 이용한 도메인 온톨로지의 반자동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서들 내에 출현한 전문용어들의 처리방안을 제시하고, 추출한 개념들과 그들간의 관계를 온톨로지의 구축에 활용한다. 실험 도메인은 약품분야로 정하였으며, 구축한 온톨로지는 문서의 검색에 활용하였다. 온톨로지 내의 계층관계들이 문서검색에 효용이 있음을 보이기 위하여 일반적인 키워드기반 문서검색과 온톨로지 내의 관련 정보들을 연관피드백에 이용한 온톨로지기반 문서검색을 비교한 결과, 후자의 경우 정확률이 $4.97\%$, 재현율이 $0.78\%$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