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chujang powd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메주분말을 두부분말로 대체한 개량식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ified Kochujang Made with Tofu powder Instead of Meju powder)

  • 김하윤;박미란;김동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93-304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의 메주가루 첨가 고추장의 관능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고추장 제조시에 사용되는 메주가루를 대신하여 두부분말(메주가루 양 대비 25%, 50%, 75%, 100%)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고 제조당일부터 저장 45일까지의 품질특성 측정 및 저장 45일째 고추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두부분말 무첨가구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 30일가지도 지속되었고 두부분말 무첨가구와 첨가구 모두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pH는 두부분말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두부 분말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대체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도가 높아졌다. 색도는 L, a, b값 모두 두부분말 무첨가구가 두부분말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환원당은 저장 45일째를 제외하고는 두부분말 첨가구과와 무첨가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두부분말 무첨가구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두부분말 100% 첨가구(100% TP)는 저장 45일동안 지속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관능특성은 두부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추장의 색이 연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퀘퀘한 냄새가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 기호도의 측면에서는 냄새, 맛, 전반적인 기호도의 측면에서 두부분말 무첨가구에 비해 두부분말 첨가구의 기호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두부분말 100% 첨가구(100% TP)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호박벌꿀고추장의 담금조건 설정 (Establishment on the Preparation Condition of Pumpkin Honey Kochujang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진;이명회;이기동;서지형;김옥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02-1107
    • /
    • 2001
  • 호박추출물, 고춧가루 및 메주를 이용하여 호박고추장을 제조할 때 가장 우수한 관능적 품질의 배합조건을 설정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였다. 호박고추장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의 최대 배합비율은 호박추출물 함량 433.63 g, 고춧가루 함량 81.76 g 및 메주 함량 17.03 g 에서 그 관능점수가 가장 높았다 향에 대한 최적 관능조건은 호박추출물 함량 437.07 g, 고춧가루 함량 83.65 g, 메주 함량 11.90 g에서, 맛에 대한 관능평점은 호박추출물 함량 382.94 g, 고춧가루 함량 63.44 g, 메주 함량 13.10 g에서,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점은 호박추출물 함량 442.04g, 고춧가루 함량 62.58 g, 메주 함량 16.30 g에서 그 관능점수가 가장 높았다. 호박고추장의 최적 배합비율은 호박추출물 442.04 g, 고춧가루 62.58 g 메주가루 16.30 g이었다.

  • PDF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한 저염 고추장의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 활성의 변화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ies of Low-salted Kochujang added with Horseradish Powder during Fermentation)

  • 오지영;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63-467
    • /
    • 2005
  • 전통고추장의 유통 중 문제가 되는 가스팽창을 억제하면서 식염 첨가량을 낮추기 위하여 양고추냉이 분말 1.2%(w/w)를 첨가한 저염 고추장(식염 $4{\sim}10%$)을 $25^{\circ}C$에서 120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미생물과 효소 활성의 변화 및 가스발생량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일반 세균수는 발효 기간 중 $7.32{\sim}8.76 CFU/g$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고, 효모수는 발효 90일까지 차이가 없었다.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alpha$- 및 ${\beta$-amylase, 중성 및 산성 protease 활성은 발효 숙성기간 중 전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beta$-amylase 활성은 식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발효 초기부터 급격히 가스를 발생(5,892mL/pack)시켰으며, 식염 4% 및 6% 첨가한 양고추냉이 처리구는 각각 발효 8일 및 10일까지 가스가 발생되지 않다가 그 이후 약간의 가스($121{\sim}347mL/pack$)를 발생시켰다. 이때 가스의 주성분으로서 이산화탄소가 $74{\sim}80%$를 차지하였으며, 산소의 조성비는 0.5% 미만이었다.

가공방법을 달리하여 열풍건조한 고춧가루가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d Pepper Powders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박소희;구혜진;임호수;유진현;황성연;신언환;박영희;이종호;조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70-875
    • /
    • 2003
  • 고추장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열풍건조시 처리방법을 달리한 고춧가루를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하고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pH는 숙성중 vit. C 첨가구가 가장 낮았고, 총산도 또한 vit. C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이후 90일까지 모든 고추장에서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아미노태질소함량은 숙성 75일까지 계속 증가하여 마쇄건조 첨가구의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색도에서 L값과 a값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모두 증가한 반면 b값은 감소하였으며, 마쇄건조 첨가구 고추장의 L, a, b값이 다른 시료보다 모두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고추장의 외관,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마쇄건조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고추장 제조시 고춧가루는 고추를 마쇄하여 열풍 건조시킨 것을 첨가하면 고추장의 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ermented Wheat Grain Products and Kochujang Inhibit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 Kim, Su-Ok;Kong, Chang-Suk;Kil, Jeung-Ha;Kim, Ji-Young;Han, Min-Soo;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49-352
    • /
    • 2005
  •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wheat grain, fermented wheat grain products, red pepper powder and kochujang was examined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The kochujang samples were prepared by mixing red pepper powder and each fermented wheat grain products, such as first fermented wheat grain (FFWG), second fermented wheat grain (SFWG) and final fermented wheat grain (FiFWG). The methanol extract of FiFWG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effec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wheat grain products at each stage of fermentation on anticancer activity, the kochujang prepared with red pepper powder and each of FFWG, SFWG and FiFWG were fermented until reaching pH 5.1. The kochujang adjusted to pH 5.1 by fermentation increase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however, the kochujang prepared with FiFWG showed the highest effect. Increased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kochujang when prepared with FiFW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kochujang on the gastric cancer cells was affected by the fermentation periods of the wheat grains. The well-fermented end products of the wheat grains seem to be one of the major components that showed anticancer activity of kochujang.

Effects of Strawberry Puree and Red Pepper Powder Cont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naly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Lee, Jun-Ho;Kim, Hui-J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31-236
    • /
    • 2008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strawberry Kochuja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entral composite design, selecting strawberry puree content and red pepper powder conten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oluble solids content,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olor characteristics ($L^*-$, $a^*-$, and $b^*$-values) as response variables. The polynomial models developed by RSM were highly effective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y factors and the responses. Kochujang containing a higher amount of red pepper powder had a higher soluble solids content; on the contrary, soluble solids conten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strawberry puree content in the sample.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ed strawberry puree content but decreased with increased red pepper powder content. Water activ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trawberry puree content in the sample but was less affected by the amount of red pepper powder content. Decreases in $L^*$-values with increasing amount of red pepper powder were noted. $a^*$-valu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s in red pepper powder content bu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trawberry puree content in the Kochujang formulation. $b^*$-valu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s in red pepper powder content but was less affected by the strawberry puree content. Overall optimization, conducted by overlaying the contour plots under investigation, was able to point out an optimal rang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in which the six responses were simultaneously optimized. The point chosen as representative of this optimal area corresponded to strawberry puree content=14.36% and red pepper powder content=11.33%, conditions under which the model predicted soluble solids content=$59.31^{\circ}Brix$, moisture content=45.30% (w.b.), water activity=0.758, $L^*$-value=24.81, $a^*$-value=7.250, and $b^*$-value=10.19.

양파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dded with Onion Powder)

  • 서권일;김용택;조영숙;손미예;이상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25-430
    • /
    • 2000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OK) added onion powder (OK ) were Investigated duringstorage at 20"C The pH value of Kochujang tended to decrease by condition of storage. Initial pH value of O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but the difference of pH value was getting smaller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the Process of 90 days storage period, the pH value of OK containing 8 and 10% of onion powder was higher than control. Salt content was lower in OK than in control as the onion content was higher No changes in salt content were observed during the storage process. Reducing sugar was higher in OK than in control, and It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onion content. Amino acid nitrogen content which was slightly higher in OK than in control increased during 45 days of storage period and tended to decrease afterward. In the sensory attribute data of Kochujang after 3 months of storage period, OK had higher scores in sweetness,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control, especially the OK with 10% onion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scores.

  • PDF

동결건조 분말고추장의 재수화시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Rehydrated Suspensions of Freeze Dried Kochujang Powders)

  • 김석신;장규섭;윤한교;이상규;이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88
    • /
    • 1987
  • 동결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2종의 동결건조 분말고추장 재수화 현탁액의 리올리지 특성을 원료고추장을 대조구로 온도 $25{\sim}60^{\circ}C$, 고형물 함량 $47{\sim}56^{\circ}C$, 전단속도 $0.1965{\sim}1.9650\;sec^{-1}$의 범위에서 Brookfield 단 원통 회전점도계로 측정하였다. 급속동결 분말고추장 및 완만동결 분말고추장의 재수화 현탁액과 원료고추장은 모두 항복치를 지닌 의가소성을 나타내고. 전단초기 20분까지 Tiu의 모델에 따라 2차 반응속도식으로 붕괴되는 thixotropic거동을 보여주였으며. 분말고추장 현탁액의 구조붕괴 속도가 원료고추장 보다 빨랐다. 평형구조변수는 전단속도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으며 그 값은 세가지 시료 모두 비슷하였다. 급속동결분말고추장 및 완만동결 분말고추장의 재수화 현탁액과 원료고추장의 곁보기점도의 온도 의존성은 Arrhenius식과 일치하였으며. 활성화 에너지의 값은 가각 2.21, 2.18, $2.32\;Kcal/g{\cdot}mole $이었다. 세가지 시료의 점조도지수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었으며, 고형물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유동거동지수는 온두 및 고형물 함량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급속동결 분말고추장과 완만동결 분말고추장의 러올로지 성질은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매실분말 및 농축액을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중 품질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Fermented with Maesil (Prunus mume) Powder or Concentrate)

  • 박우포;조성환;이승철;김성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8-384
    • /
    • 2007
  • 매실분말과 매실농축액을 각각 첨가한 고추장을 만들고 숙성하면서 품질 변화를 고찰한 결과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험구의 수분 함량이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숙성 8주에는 고추장 담금시에 비하여 $3{\sim}4%$ 정도 높았다. 매실분말과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시험구의 pH는 각각의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추장이 숙성되어감에 따라 모든 시험구의 pH는 점차 낮아졌으나 대조구와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 첨가구 사이의 pH 차이는 숙성 8주까지 유지되었다. 고추장 담금 직후의 총균수는 $3.6{\times}10^7\;{\sim}\;5.4{\times}10^7\;cfu/g$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2.0{\times}10^7\;{\sim}\;3.6{\times}10^7\;cfu/g$였다. 숙성 기간 중 L, a, b값이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숙성 8주를 기준으로 했을 때 매실농축액 1.0% 첨가구의 L값을 제외하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추장 담금 직후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나타내는 유리 래디칼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숙성기간에 따라 에탄올 추출물의 유리 래디칼 소거능은 감소하였다. 6주간 숙성한 고추장의 관능검사 결과 색도에 대한 점수는 대조구 1, 매실분말 0.5%, 매실농축액 0.5% 첨가구 순이었으며, 매실농축액 1.0%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맛은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 1.0% 첨가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받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화학적 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 배태진;김경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4-152
    • /
    • 2001
  • In order to improve functionality of kochujang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foods of Korea, sea tangle powder(2, 4, 6 and 8% sea tangle powder on the glutinous rice weight basis) was added to the raw material of kochujang and then investigated the change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with control kochujang during the fermentation at 3$0^{\circ}C$ for 120 days. During 120 days fermentation,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whereas crude fat content NaCl were slightly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of sea tangle kochujang was rapidly increased until 60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at it was increased slightly up to 90 days of fermentation to the highest value and then reduced slightly or not changed approximately until 120 days. pH was reduced up to 60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at it remained 4.63~4.91 in 90~120 days. Acidity was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and it was the highest value of 11.5~12.4$m\ell$ in 120 days of fermentation. Viscos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Especially a case of additional sample of 8% sea tangle powder was highly increased until 60 days. A case of color difference value, in initial time of preparation of kochujang was distinct difference of value for additional samples respectively but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among the samples not found consistent change of color difference value. L value was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 value was decreased up to 30 days of fermentation and it was increased again totally at 60 days of fermentation. B value was decreased totally at initial time of fermentation and a case of control was increased again at 90 days of fermentation, the other samples increased again 60 days earlier than 30 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