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nowledge taxonomy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단원평가문항 분석 (An Analysis of Unit Evaluation Item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조창현;최원호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1호
    • /
    • pp.29-39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산염기 및 산화 환원 단원의 문항을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모든 출판사의 교과서 문항에서는 지식 영역의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순으로 그 요소는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출판사에 따라 각 문항에 나타난 인지 영역의 하위 영역이 골고루 포함되지 않았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다양한 출판사의 교과서 단원평가 문항을 참조하여 수업에 이용할 필요가 있다.

  • PDF

XBRL Adoption Process in Malaysia Using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 ILIAS, Azleen;GHANI, Erlane K.;AZHAR, Zubi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263-271
    • /
    • 2021
  • The study examined the XBRL adoption process of Malaysian Business Reporting System (MBRS) by utilizing Everett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DOI) theory. The study focused on the three phases, namely, knowledge gathering and persuasion phase, decision-making phase, and implementation phase of XBRL adoption process gathered from a government agency in Malaysia. This study employ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incorporat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ur members of the regulator. The results reveal that the regulator has realized the advantages, management support, and need to skills development in phase one. On the other hand, in phase two, it finds the way the regulator makes decision related to XBRL taxonomy and submission template, platform, tools and software. Through phase three, the regulator is concerned with the complexity of XBRL taxonomy, resources, external support, promotion, stakeholder involvement, limited trading pressure, critical mass, and professional bodies. The factors from each phase suggest an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 of XBR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BRS that provides a success story to the other government agencies and regulators in Malaysia.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nsights on the factor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adoption of XBRL and the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doption process.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 개발 (Keyword-based networked knowledge map expressing content relevance between knowledge)

  • 유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9-134
    • /
    • 2018
  • 저장 및 관리하는 지식의 분류체계로서의 의미를 갖는 지식지도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지식을 조회 및 선택하는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고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계층형 구조를 갖는 기존의 지식지도는, 관리하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에는 이점이 있으나, 지식 사용자가 갖는 인지 및 활용의 논리를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식을 조회 및 추출하는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내용적 관련성을 갖는 연관지식을 연쇄적으로 조회 및 추출하는 사용자의 지식활용 패턴을 반영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즉,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공통된 키워드를 갖는 지식 간 링크를 해당 키워드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키워드는 해당 지식의 내용을 대변하므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정의된 링크는 내용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지식 간에 형성되며, 이를 종합하면 내용적 연관성을 지식 간의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형 지식지도가 완성된다. 제시된 방법론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50개의 연구논문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네트워크형 지식지도를 구현하였으며, 검토 결과 만족할만한 수준의 정밀도와 재현율을 보였다.

객관화된 구조화 임상시험의 학생평가와 교수자 평가 간의 차이 비교 및 영향 요인 (Comparison of Teacher's and Students' Evaluations on OSCE Performance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 이이쿠라 아츠미;서은영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53-161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contrast the evaluation scores on students OSCE performance between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Bloom's taxonomy. Methods: A total of sixty six students in a nursing college in Seoul, Korea and four instructors were recruited in the study. The 28 sophomore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OSCE on intravenous injection, whereas 38 junior students on tracheostomy care. Knowledge levels were measured by the students using the researcher developed knowledge questionnaires, and the attitudes and skills by the students and instructors by the modified clinical performance checklis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program. Results: For knowledge, the higher GPA of the previous semester was only significant factor of higher knowledge scor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of total (t=-2.740, p=.008) and skill (t=-2.528, p=0.014), but not in attitude between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evaluations. The students evaluated their skill scor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instructors. For knowledge, the higher GPA of the previous semester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of higher knowledge scores. In attitude scores, the students in higher grade significantly overestimated themselves (t=3.076, p=.003). Conclusion: Clinical performance assessment requires methodological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student to attain necessary clinical skills properly and effici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ndate various assessment methods for nursing simulation evaluations to be valid.

기본간호학 학습목표 및 문제집 문항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 김경희;강규숙;김금순;김원옥;변영순;손영희;양선희;조현숙;송경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5
    • /
    • 2002
  • Purpose: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for Fundamentals in Nursing which were established between 1999 and 2000 and to develop these items toward a nationwide faculty workshop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Korean nurses Results: 1.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1999 mainly consisted of two domains, comprehension (56 1%) and knowledge (27.7%). The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2000, mainly consisted of comprehension (45.2%) and application (25.4%). 2. According to McGuire's taxonomy, domain of test items established in 1999 consisted of recall (66.7%). interpretation (28.0%) and problem solving (4.9%). Domain of test items established in 2000, consisted of recall (65.1%), interpretation (22.0%) and problem solving (12.9%). 3. The propor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knowledge and comprehension domains established in 200, decreased from 27.7% to 13.5%, and from 56.1% to 45.2% respectively over that of 1999. But the domain of application Increased from 5.3% to 25.4% over that of 1999. 4. With regard to McGuire's taxonomy, the proportion for the recall and interpretation domains established in 2000 decreased from 66 7% to 65.1%, and from 28.0% to 22.0% respectively. But the proportion for the problem solving domain increased from 4.9% to 12.9% over that of 1999. For type of test items, the proportion of A type established in 2000 decreased from 47.2% to 37 6%, and K type increased from 52.1% to 60.8% over that of 1999. Conclusi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established in 2000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compared to those established in 1999. For better learning objectives and test items in Fundamentals of Nursing,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essential content and standardization of job analysis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nurses in Korea.

  • PDF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박경진;류춘렬;최진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35
    • /
    • 2017
  • 이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학습목표를 분석할 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7개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중 과학 분야 169개 주제에 제시된 702개의 학습목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코딩한 후 각 학습목표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별로 사용된 학습목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은 약 3개, 중등은 약 6개의 서로 다른 범주의 학습목표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과 학교 급에 관계없이 지식차원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단순 통계 분석 결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 단계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실제실험과정에 적용해 보는 활동을 강조한 반면, 중등 단계는 이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념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기존 단순 통계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것에 비해 보다 다양한 학습목표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이 학습목표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of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박기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284-300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을 분석하여 곧 적용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초등학교 전체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의 진술이 특정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차원에 편중되어 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학과의 교수·학습 방향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유형의 활동과 탐구 학습이 가능한 성취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수준과 인지 수준의 위계화가 필요하다. 상위 학년군에서 오히려 하위 지식·인지과정 차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므로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 서술어를 다양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정 서술어에 의존하는 경향은 이전 교육과정보다 줄었지만, 한두 차례만 사용한 서술어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므로 다양한 서술어를 균형 있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성취기준에 반영하도록 성취기준 진술의 설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로 과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요소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 적절한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탐색 및 과학과 전체 교육과정의 위계성과 연속성 분석을 위한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제안하였다.

연관지식의 효율적인 표현 및 추론이 가능한 지식그래프 기반 지식지도 (Knowledge graph-based knowledge map for efficient expression and inference of associated knowledge)

  • 유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4호
    • /
    • pp.49-71
    • /
    • 2021
  • 문제해결을 위해 지식을 활용하는 사용자는 내용 면에서 관련된 또 다른 지식, 즉 연관지식에 대한 교차적이고 순차적인 탐색을 진행한다. 지식지도는 관리하는 지식의 현황을 보여주는 도식이자 지식저장소의 분류체계로서, 지식 간 연관성에 기반한 사용자의 지식 탐색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지식지도는 지식 간 연관성에 의한 네트워크 형식으로 표현되며, 이를 정의 및 추론하는 데에 최적화된 기술을 접목하여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리하는 개체와 개체 간 관계를 표현 및 추론하는 데에 최적화된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진 그래프DB를 이용하여 지식그래프 기반 지식지도를 개발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의 온톨로지 기반 지식지도 구축 사례 데이터를 그래프DB에 적용하여 지식그래프 기반 지식지도를 구현하고, 구현된 지식 네트워크의 유효성과 Class 자동 구성 능력을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는 성능 테스트를 진행한다. 성능 테스트 결과, 본 연구의 지식그래프 기반 지식지도는 선행 연구의 온톨로지 기반 지식지도와 동일한 수준의 성능을 나타냈으며, 지식 및 지식 간 관계 정의 및 추론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관지식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과정을 반영한 지식 탐색 기능의 구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추론에 의한 새로운 연관지식의 발견을 통해 자율적으로 확장되는 지능적 지식베이스의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온라인 주석시스템에서 학생들의 지식공유를 통한 과학교과서의 협력적 독해 양상 분석 (Collaborative Reading Comprehension of Science Textbook via Students' Knowledge Sharing in an Online Annotation System)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67-680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이용한 과학교과서 독해 과정에서 학생들이 동료들에게 요청한 지식의 종류, 학생들이 동료들에게 제공한 지식의 정확성, 지식공유행동의 빈도, 협력적 독해의 효과성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그리고 동료 간 신뢰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241명의 학생이 과학 교과서의 2개 대단원을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한 주석(질문과 답변)을 Bloom의 개정된 분류틀과 답변의 정확성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효과성 설문지, 인지기반 신뢰와 정서기반 신뢰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이 교과서를 읽으면서 만든 질문의 80%는 '이해 질문'이었고, 이 유형의 질문은 개인의 독해를 위한 메타인지 전략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학생들 간에 공유한 지식은 71%가 과학적으로 올바른 지식이었다. 지식공유행동의 빈도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이용한 독해과정에서 활발하게 지식공유행동을 수행하였으나, 행동의 빈도는 보상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온라인 주석시스템을 통해 수행한 지식공유행위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학생들끼리 서로를 지식공유자로서 신뢰하는 비율은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온라인 주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독해를 하였을 때 학생들이 지식공유를 함으로써 독해과정에서 발생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주석 시스템을 사용한 협력적 독해는 일방향적인 정보전달에 그쳤던 기존의 교과서 읽기와 달리, 쌍방향적이고 역동적으로 지식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함을 확인하였다.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9-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으로 교과서의 구성체계를 분석하였으며,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에 따라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교과서는 교과 핵심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활동, 수준별 학습, 소그룹 학습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인지과정 측면에서 이해하다(41%), 개발하다(20%), 적용하다(18%)가 높았으며,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는 개념(45%)이 가장 높고, 이어서 절차(32%), 사실(12%)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