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taxonomy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2초

화학 I 교과서의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 분석 (Analysis of Instructional and Evaluational Objectives in Chemistry I Textbooks)

  • 박현주;배정주;조계승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91-499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를 교과서의 학습목표 및 평가 문항에서 얼마나 반영하였는지에 대하여 Klopfer의 분류틀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 개정 화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4종의 화학 I 교과서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I 교육목표는 Klopfer의 과학목표 분류체계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화학 I 교과서의 학습목표에 기술된 행동목표는 지식과 이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과학적 탐구과정, 과학 지식과 과학 방법의 적용, 조작적 기능, 태도와 흥미, 지향에 관한 목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화학 I 교과서의 단원종합문항의 평가 행동목표의 빈도는 지식과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 시 교육과정의 다양한 교육목표를 반영한 학습목표의 진술이 필요하다.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이 인지적인 면에 편중되어 진술하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위해 학습목표의 진술을 다양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 학습목표와 평가문항목표의 일관성이 요구된다.

A Psychological Model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for High School Girl Students

  • Hajibaba, Maryam;Radmehr, Farzad;Alamolhodaei, Hass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199-220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i.e. math anxiety, attention, attitude, Working Memory Capacity (WMC), and Field dependency) and student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A sample of 169 K11 school girls were tested on (1) The Witkin's cognitive style (Group Embedded Figure Test). (2) Digit Span Backwards Test. (3)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MARS). (4) Modified Fennema-Sherman Attitude Scales. (5) Mathematics Attention Test (MAT), and (6) Mathematics questions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RBT).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effect of these item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s different in each cognitive process and level of knowledge dimension.

중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인지적 영역 분석 (Cognitive Domain of Problems in Korea Mathematics Textbooks)

  • 이지혜;허유진;신민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51-465
    • /
    • 2019
  • Textbooks are official materials so that thes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The teacher constructs the less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Thus,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becaus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n textbooks affect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gnitive domain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Values and Expression'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 also looked at cognitive levels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was dominant in 'Values and Expression'. Also, although the problem of requiring a higher level of cognition is increasing as the unit finishes, there are still a high percentage of low level of problems.

『의학입문』 간엽(肝葉) 관련 문장의 새 해석 (An Interpretation of Verses Related to Lobes of Liver(肝葉) in the 『Yixuerumen(醫學入門)』)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36
    • /
    • 2021
  •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solve difficulties surrounding the verses related to lobes of liver in the 『Yixuerumen』. Methods : First, relevant verses were selected from the 『Yixuerumen』, then compared to texts from which they had originated. The differences and contrarieties between the texts were resolv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plant taxonomy. Results : Wangbing's 'buye(布葉)' was taken as the seed leaf of the dicotyledonous plant and corrected to 'daye(大葉)' by Li Chan. The expression 'Yixiaoye(一小葉)' was understood as describing the many main leaves that look like one big leaf, which grow in between the seed leaves. 『Nanjing』's interpretation of there being three leaves on the left, and four on the right describes the leaf pattern that grows in alternation. Conclusions : Through analysis of the verses related to lobes of liver in the 『Yixuerumen』, we can presume that Li Chan ha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required in plant taxonomy such as characteristics of a dicotyledonous plant and phyllotaxis.

방향 비순환 그래프의 중심성을 이용한 위키데이터 기반 분류체계 구축 (Taxonomy Induction from Wikidata using Directed Acyclic Graph's Centrality)

  • 전희선;김현호;강인호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82-587
    • /
    • 2021
  • 한국어 통합 지식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분류체계(taxonomy)를 구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위키데이터를 기반으로 분류 후보군을 추출하고, 상하위 관계를 통해 방향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를 구성한 뒤, 국부적 도달 중심성(local reaching centrality)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정제함으로써 246 개의 분류와 314 개의 상하위 관계를 갖는 분류체계를 생성한다. 워드넷(WordNet), 디비피디아(DBpedia) 등 기존 링크드 오픈 데이터의 분류체계 대비 깊이 있는 계층 구조를 나타내며, 다중 상위 분류를 지닐 수 있는 비트리(non-tree) 구조를 지닌다. 또한, 위키데이터 속성에 기반하여 위키데이터 정보가 있는 인스턴스(instance)에 자동으로 분류를 부여할 수 있으며, 해당 방식으로 실험한 결과 99.83%의 분류 할당 커버리지(coverage) 및 99.81%의 분류 예측 정확도(accuracy)를 나타냈다.

  • PDF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최정인;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7-288
    • /
    • 2015
  •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 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를 이용하는 나이브 베이스 학습 알고리즘 (Naive Bayes Learner for Propositionalized Attribute Taxonomy)

  • 강대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406-40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를 이용하여 간결하고 강건한 분류기를 생성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Propositionalized Attribute Taxonomy)를 이용하는 나이브 베이스 학습 알고리즘(Naive Bayes Learner)인 PAT-NBL을 소개한다. PAT-NBL은 명제화 된 어트리뷰트들의 택소노미를 선험 지식으로 이용하여 간결하고 정확한 분류기를 귀납적으로 학습하는 알고리즘이다. PAT-NBL은 주어진 택소노미에서 지역적으로 최적의 컷(cut)을 찾아내기 위해 하향식 탐색과 상향식 탐색을 사용한다. 찾아낸 최적의 컷은 명제화 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와 데이터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인스턴스 공간(instance space)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UCI) 저장소의 기계학습 벤치마크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된 알고리즘이 표준적인 나이브 베이스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진 분류기들과 비교해 볼 때, 가끔은 보다 간결하고 더 정확한 분류기를 생성해 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를 이용하는 나이브 베이스 학습 알고리즘 (Propositionalized Attribute Taxonomy Guided Naive Bayes Learning Algorithm)

  • 강대기;차경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357-236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를 이용하여 간결하고 강건한 분류기를 생성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Propositionalized Attribute Taxonomy)를 이용하는 나이브 베이스 학습 알고리즘(Naive Bayes Learner)인 PAT-NBL을 소개한다. PAT-NBL은 명제화된 어트리뷰트들의 택소노미를 선험 지식으로 이용하여 간결하고 정확한 분류기를 귀납적으로 학습하는 알고리즘이다. PAT-NBL은 주어진 택소노미에서 지역적으로 최적의 컷(cut)을 찾아내기 위해 하향식 탐색과 상향식 탐색을 사용한다. 찾아낸 최적의 컷은 명제화된 어트리뷰트 택소노미와 데이터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인스턴스 공간(instance space)을 구성 할 수 있게 해준다. 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UCI) 저장소의 기계학습 벤치마크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된 알고리즘이 표준적인 나이브 베이스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진 분류기들과 비교해 볼 때, 가끔은 보다 간결하고 더 정확한 분류기를 생성해 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체언표현 개념분류체계와 OWL 온톨로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axonomy of Nominal Expressions and OWL Ontologies)

  • 송도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3-99
    • /
    • 2006
  • 컴퓨터에 의한 지능형 의미기반 지식/정보의 자동처리를 위해서는 사람이 보유하고 활용하는 상식을 포함한 지식을 정형화하고 체계적으로 표상하여 컴퓨터에게 이해시키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의 필요성은 각 분야에서 널리 공감되고 있고 온톨로지라는 지식/정보 표현 포맷으로 그 표상 형식이 수렴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정보는 매우 비정형적이고 때로는 모호한 개념에 기반하고 있어, 이를 정형화하기가 어렵다. 본고에서는 비질료적인 개념에서 직접 온톨로지를 구축하지 않고 개념을 그대로 사상한다고 여겨지는 언어기호 간의 관계로부터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논의한다. 기존의 개념분류체계에서 고찰된 개념간의 관계와 언어학적으로 규명된 어휘 간의 관계가 밀접히 일치함을 보이고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풍부한 어휘 간의 관계로부터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구체적인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온톨로지 표현 포맷은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의 OWL을 채택했다.

  • PDF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패션 속성 분류체계 및 말뭉치 웹사전 구축 (Development of Online Fashion Thesaurus and Taxonomy for Text Mining)

  • 장세윤;김하연;김송미;최우진;정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142-1160
    • /
    • 2022
  • Text dat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rends in consumer, business, and social sectors. For text analysis, there must be a corpus that reflects specific domain knowledge. However, in the field of fashion, the professional corpu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axonomy and thesaurus that considers the specialty of fashion products. To this end, about 100,000 fashion vocabulary terms were collected by crawling text data from WSGN, Pantone, and online platforms; text subsequently was extracted through preprocessing with Python. The taxonomy was composed of items, silhouettes, details, styles, colors, textiles, and patterns/prints, which are seven attributes of clothes. The corpus was completed through processing synonyms of terms from fashion books such as dictionaries. Finally, 10,294 vocabulary words, including 1,956 standard Korean words, were classified in the taxonomy. All data was then developed into a web dictionary syste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tests of the results were conducted through expert reviews. The performance of the thesaurus also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ext mining analysis through the previously developed corpus. This study contributes to achieving a text data standard and enables meaningful results of text mining analysis in the fashio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