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management

검색결과 7,259건 처리시간 0.04초

웹 2.0 시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context of Web 2.0 period)

  • 이석용;정이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143-16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시대적인 흐름에 따른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도구로 인식되고 있는 SNS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파급효과를 통찰하기 위해 첫째, 웹 2.0 패러다임이 표방하는 기술 및 경제적 가치변화를 살펴보고 둘째, 블로그로부터 사회 네트워크인 SNS로의 진화과정을 고찰하며 셋째, 주요 SNS의 서비스 및 특징을 비교한 후 넷째, 모바일 웹 2.0으로의 진화에 따른 SN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기술, 사회, 경영 3가지 측면의 속성 변화를 통해 SNS의 진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으로는 첫째, 기술적 측면에서 웹 기반의 컴퓨팅 환경이 미디어 속성에서 플랫폼 속성으로 전환되고 있다. 초창기 인터넷 출현 이후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보고 듣고 읽어 체득하던 일방향의 미디어 속성이 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고 전파하기까지 모든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능으로 변화된 것이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지식의 생산주체가 소수 전문가에서 집단지성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사람들을 연결하는 SNS의 지향점과 일치하면서 정보권력의 분산 및 전파범위의 무제한이라는 장점을 살려 기업들의 홍보 및 마케팅 채널로서의 잠재성이 부각되고 있다. 셋째, 기업경영 측면에서 SNS와 같은 새로운 마케팅 채널이 생성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시장 확대와 더불어 일상에서 접근이 편리하도록 제공되고 있는 무선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와 호의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지향하는 대개의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소비자의 역할이 변화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단방향 정보를 받아들이던 소비자들이 1인 중심형 블로그와 개인간 관계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SNS를 이용하게 되면서 정보를 생성, 가공 및 확산하는 주체가 되면서 정보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정보의 이용자인 동시에 생산자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슈머로서 그 역할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 PDF

치과위생사의 근무지별 업무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Work of Dental Hygienists by Service Area)

  • 문경숙;황윤숙;김영경;정재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3-8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more efficient dental hygienist human resources utilization and for determining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supplementary education for dental hygienists, by examining how they actually worked and what they thought of job-related thing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37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a seminar by the Korea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50.2% of the dental hygienists investigated completed legally required eight-class education. Those who worked in clinics took less supplementary education classes than the others in the other types of dental institutions. The main reason they didn't receive supplementary education was financial burden and uncooperative employers. 73.2% took supplementary education at the association or its branches. The association was most favored by those in clinical sector as a place that provides supplementary education, followed by its branch and university in the order named. And the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sector preferred university most, and the next best favored one was the association and its branch in the order named. Those in clinical sector hoped to acquire clinical information on patient management, implant or aesthetics, and the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sector wanted to learn about health administration, public oral health operations and oral health education, which were different from what those in clinical sector wanted. 2. Regarding the period of service, 492% had worked for three years or more. This fact suggested that their service term and average age continued to grow. And they thought they would decide the retirement time on their own. 3. The most common yearly income ranged from 12 million won to 16 million won(40.7%). For-those in clinics, yearly income was 14.36 million won, and that of the dental hygienist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3 years was 12.90 million won. 4. The Korea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was most required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members and offer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5. The largest group of them were engaged in patient management, and this type of job also was the most favored one for them to do. The greatest number of the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sector were in charge of dental treatment. 6. Concerning their turnover rate, 492% had never changed their occupation. Specifically, 70.0% of the respondent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3 years had have no experience to do that. The time constraints for self-development and conflicts with other workers were the cause of their turnover. Those in dental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changed their occupation chiefly due to the lack of time for self-development, and for the dental hygienists in clinics, the conflicts with other workers were the main reas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way the dental hygienists looked at things was undergoing change. The service area made a difference to their preference for the type of supplementary education and institution in charge of it, as those in public health and clinical sectors had a different opinion. And the dental hygienists in clinical sector had a different opinion as well, according to service area, about salaries, reason of not taking supplementary education, preferred type of supplementary education, cause of turnover, and type of occupation to which they hoped to change employment. To utilize and supply human resources in a more stabilized manner, job description should be more segmented, standardized and classified clearly, and dental hygienists should be motivated to perform their substantial jobs, including oral disease prevention, oral prophylaxis and oral health education. To make it happen, it seems that dentists are requir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dental hygienist job and to change the way they look at it.

  • PDF

개원의의 대도시 개원 이유 : 대구시 개원의를 중심으로 (Medical Practitioners' Reasons for Practice in Great Gity(Taegu))

  • 감신;천병렬;박재용;예민해;송달효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41
    • /
    • 1992
  • During the month of October, 1990, 676 practicing physicians in Taegu City were surveyed by mail questionnaires ab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reasons why they chose Taegu as a practice location and 331 out of them responded completel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provide basic reference data for future health manpower policy which intends to solve the problem of geographical maldistribution of physician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or the question asking why Taegu area is favored, following lists are as the order of their magnitude of the reasons replied by more than 20% of the respondents: 1) Taegu is a foundation of life until now(81.3%) 2)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available for their offsprings(73.7%) 3) They can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acquaintances or friends sharing same or similar interests(61.0%) 4) Due to characteristics of their specialty, metropolitan seems to fit better(52.0%), 5) They graduated from the medical school in Taegu(49.8%) 6) Never thought of selecting practice location in other area than Taegu without any specific reasons(45.9%) 7) Intelligent communications are available with other physicians(39.9%) 8)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al life, such as medical, or alumni association etc., can be given(33.2%) 9) No specific knowledge or relationships with other area are available(32.6%) 10) They finished internship or residency training in Taegu area(31.4%) 11) Facilitation of transferring patients including emergent patients can be obtained (30.8%) 12) Continuing medical educational programs are available(29.9%) 13) Sufficient medical demands are provided because of the large population(28.1%) 14) More chances to be grown up as a medical professionals can be achieved(25.7%) 15) More leizure time can be utilized for cultural activities(23.9%) 16) They had experiences to work in hospitals or facilities in Taegu area(23.3%) 17) Medical facilities of fellow physicians or alumni can be used(20.5%) In addition, 37% of female physicians answered that their spouse strongly influenced them to choose Taegu, and 33.3% of physicians with age of thirty replied that parents did so. Physicians of specialty in radiology, clinical pathology, anatomical pathology, and anesthesiology considered that patients from other hospitals and medical facilities would be referred often to them and that less competition seemed to be expected in their specialty (30.8%). In contrast, general practitioners anticipated that larger population would increase the medical demand(62.5%). 28.6% of medical practitioners who graduated medical schools in other are than Taegu and 22.0% of medical practitioners who were trained in hospitals of other area than Taegu were influenced to choose Taegu by their spouses. In consideration of above findings, we may conclude that long term and rational manpower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 of geographical maldistribution of physicians as well as short term physician-inducing policies, and they have to be incorporated with equitable community development.

  • PDF

병원서비스코디네이터 교육과정이 교육만족과 의료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spital Service Coordinator Education Curriculum on the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 최은경;박창식;서종범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7-154
    • /
    • 2008
  • The increase of the supply of medical service and the increase of hospitals have intensified the competition of hospitals, and the advancement towards internationalization in the opening of medical industry has triggered the infinite competition of medical profession. In addition, the high expectation of customers and quality improvement in the medical care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f overall income, and the change of active role of medical consumers according to the popularization and the improvement of rights awareness reflect the customer needs and choice in the medical service. Customers wanted to receive the kind and pleasant service under the up-to-date medical service. Therefore, as a solution, hospital coordinators were emerged for the purpose of smooth treat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generalizing all service of hospital. Accordingly, this thesi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curriculum on the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In order to sol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uthor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s, established hypothesis, and verified hypothesis by using the variety of statistics techniques such as reliability, validity,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is as followings: First, among education training factors of hospital coordinators, the quality of instructor significantly affects the satisfaction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raining. Second, among training factors of hospital coordinator, the attitude of trainee significantly affects the training satisfaction of hospital coordinator. Third, among education training factors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course significantly affects the training satisfaction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As the qualities of instructor are better equipped,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becomes higher. It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method of instructors is important as an index to represent the qualities of instructor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method, preparation, passion, visual materials, the adequacy of education procession, and specialized knowledge, and it has import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he cre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making trainee concentrate on the education, is required by appropriately allocating programs, arousing interest in education, based on the attitude of trainee, discussion, and preliminary programs, preparation, ahead of enforcement of education. Fourth, the satisfaction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raining significantly affects the reliability among the qualities of medical service. Fifth, satisfaction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raining significantly affects hospitality I kindness among the qualities of medical service. If the education satisfaction of trainee is high, it is effective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such as dealing with complaints, the duty performance for the patients, and so on in offering the medical service, related to reliability and furthermore, we can find the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change of medical profession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hospital coordinato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offering medical services such as the kind explanation on the duty, rapid response to the customers inquiry, and tidy uniform, practical effect was verified. Sixth, the education training factor of hospital coordinator significantly affects the reliability amo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Seventh, the education training factors of hospital coordinator significantly affect hospitality/kindness. In the education of hospital coordinator, the methods to attract the interest of trainee by emphasizing reliability should be sought and for gaining the practical effect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he sufficient preparation and investigation on the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prerequisite and under this condition, intensified discussion on the instructor and education course is needed. In the design of education course, more education hours and subjects should be allocated in the part of hospit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hospitality.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this study newly approached the components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and the need to modify the quality components of medical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subjects was raised. This study also finds its meaning in that it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the study of future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by suggesting the system development model of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hrough preliminary study of education train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training by showing how the hospital coordinator education training would applied to the hospital coordinator course of the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t Pusan and Kyungnam National University to some extent. Since all investigation of this study was approached from the side of hospital coordinator, the thoughts of patients who are beneficiaries of medical service, and care givers cannot be identified. 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care giv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medical service, which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of medical service,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and investigated. Accordingly, The study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iews of both patients and care giver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PDF

DEA를 이용한 호텔 관광 서비스 업계의 CRM 도입 효율성 분석 (The Efficiency Analysis of CRM System in the Hotel Industry Using DEA)

  • 김태영;설경진;곽영대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91-110
    • /
    • 2011
  • 본 논문은 호텔 관광 서비스 업계에서 급변하는 전산화와 글로벌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IT 솔루션 도입을 통하여 기업의 업무 처리를 고도화하고 고객 서비스 대응력을 높인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내 유수의 호텔 관광기업이 효과적으로 고객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CRM 솔루션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실무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분석력을 높이고 고객별 마케팅 전략 수립과 고객에 특화 한 영업을 전개하는 활용 사례를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호텔 관광 업계의 CRM 솔루션 도입 과정과 CRM을 이용한 영업 업무 및 마케팅 업무에 활용해 나가는 과정에 대하여 논하였고, CRM 도입에 의한 효과를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CRM을 도입한 L사의 각 사이트별 상대적 효율성을 CCR 모형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다음 L사의 대표 사이트에 소속된 각 영업장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BCC 모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행정 노력 및 산학간 신뢰가 산학협력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s efforts' and 'Trust of I-U' on 'Industry-University Barrier')

  • 홍은영;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05-1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장애를 확실하게 이해하고 이의 극복 요인을 대학행정 노력과 산학간 신뢰에서 찾아본다. 기존의 산학협력 연구에서, 산과 학 양자간의 관계는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에 대한 다양한 채널의 폭과 누적된 경험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협력이 누적될수록 '상호인식의 차','제도적 장벽'의 두 가지 관점으로 설명되는 산학협력 장애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상호간의 관계에서 비롯된 이러한 장애를 극복해야만 효과적인 산학협력 성과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산학협력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대학행정 노력 및 산학간 신뢰가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학의 전담행정조직인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를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국내의 대표적 산학협력프로그램인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표본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사업이 종료된 2011년과 2015년 사이에 본 사업에 참여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단위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오류 응답을 제외한 356개의 응답을 받아냈다. 연구결과, 대학행정 노력수준과 산학간 신뢰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장애요인인 상호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장애요인 중 제도적 장벽을 극복하는 데에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이 두 가지 요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실행 및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사용후핵연료 심지층처분장부지 지질환경 기본요건 검토 (Study on Basic Requirements of Geoscientific Area for the Deep Geological Repository of Spent Nuclear Fuel in Korea)

  • 배대석;고용권;박주완;박진백;송종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5
    • /
    • 2012
  • 사용후핵연료 심지층처분장 부지선정과 최종 처분장부지의 처분적합성을 평가하는 업무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기술적 신뢰성 확보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에 선행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처분장부지의 지질환경 요건 설정을 위한 기본방향과 개별 인자의 처분적합성지표를 가능한 한 정량화하여 설정하고 업무에 적용하여야 한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장부지 선정과 최종처분장 부지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처분요건과 관련하여 IAEA 및 OECD 회원국들과 처분연구 및 상용사업 수행 관련 선진국가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요건 별로 구분하여 현황을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사용후핵연료 처분장 부지로서 암석 암반이 갖추어야 할 충분 혹은 선호요건에 대한 이해 제고와 관련 세부 기술지침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떠한 암석 암반이 상대적으로 보다 유리한 조건을 가지는 선호요건으로 제시해야 하는지, 그리고 충분요건과 선호요건을 적용하여 후보부지 조사 선별평가 기간 동안 부지선정업무에 반영하고 평가하고 결정하여야 하는 방법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기본 골격을 제시하였다. 또한 처분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검토하고 서술하였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항목들은 처분안전성 확보를 위한 처분요건의 기술지침 구성 체계, 처분안전성 확보개념, 다중방벽 기능 조건, 천연방벽의 지질환경 기본요건, 그리고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처분장부지 지질환경 기본요건(안) 등으로 구성된다. 우리나라의 사용후핵연료 심지층처분장 부지의 위치에 관한 사업자 기술지침 요건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충분요건과 선호요건으로, 화산활동, 지진활동, 단층운동 융기 침강 운동 및 기후 해수면변동 등 장기지질안정성 요건을 비롯한 15개 충분요건과 48개 선호요건을 제안하였다. 이들 요건은 우리나라의 지질환경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후속되는 각 부문별 특성에 적합한 정량적인 기술 기준 및 지침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정량적 기술지침의 도출은 상용 처분장부지 선별평가과정 및 처분장 부지적합성평가 과정으로부터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부문별 안전사례(safety case) 작성 혹은 연구용 지하처분연구시설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URL)을 이용한 처분시스템의 실증과정 등을 통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정량적인 지침들이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하천 유량 예측 시스템 개선을 위한 강우 예측 자료의 적용성 평가: 플로리다 템파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Assessing the Benefits of Incorporating Rainfall Forecasts into Monthly Flow Forecast System of Tampa Bay Water, Florida)

  • 황세운;마티네즈 크리스;아세파 터루소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4호
    • /
    • pp.127-135
    • /
    • 2012
  •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위한 수문 예측은 안정적인 장단기 용수 공급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는 다양한 기후 정보를 이용한 시스템의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플로리다 템파 지역의 연간 월 강우와 하천 유량 예측을 위해 본 시험지역에 운용되고 있는 유량 모의 시스템 (flow modeling system, FMS)을 소개하고, 관측된 강우 자료를 '최적 예측 강우 시나리오 (the best rainfall forecast)'로 가정하여 FMS의 기후 예측 정보에 대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적으로 FMS에 의해 예측된 월 강우량 앙상블의 중앙값이 관측 강우량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예측 모델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초기 월 강우량은 2개월까지의 예측에 간섭하며 이 후 예측치는 동일한 범주로 수렴하여 관측자료로 부터 추정된 통계치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측 모델이 최대 2개월간의 예측 효용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월 강우량 앙상블을 이용하여 예측된 하천 유량 앙상블은 4-6개월까지의 예측 효용성을 보였다. 예측된 강우량 대신 실제 관측 월강우 시계열 자료를 유량 예측을 위한 강우 입력자료로 적용한 결과, 예측된 유량의 범주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예측의 불확실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시험 지역에 대한 신뢰도 높은 강우 예측 자료의 확보가 기존의 수문 예측 시스템 개선에 기여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대칭 오류비용을 고려한 분류기준값 최적화와 SVM에 기반한 지능형 침입탐지모형 (An Intelligent Intrusion Detection Model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s and the Classification Threshold Optimization for Considering the Asymmetric Error Cost)

  • 이현욱;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7-173
    • /
    • 2011
  • 최근 인터넷 사용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에 대한 악의적인 해킹과 침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각종 시스템을 운영하는 정부기관, 관공서, 기업 등에서는 이러한 해킹 및 침입에 의해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인가되지 않았거나 비정상적인 활동들을 탐지, 식별하여 적절하게 대응하는 침입탐지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침입탐지 시스템의 예측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 역시 침입탐지 시스템의 예측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지능형 침입탐지모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안모형은 비교적 높은 예측력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일반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기반으로, 비대칭 오류비용을 고려한 분류기준값 최적화를 함께 반영하여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제안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인공신경망과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하는 SVM 모형이 다른 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남권 해양레저시설의 해양디자인기반에 관한 연구 - 해양레저시설 조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rine Design Base of Marine Leisure Facilities in Southeast Area of Korea - Focusing on the investigation of marine leisure facilities -)

  • 박광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85-212
    • /
    • 2014
  • 본 연구는 해양레저시설의 기반을 조사하고 디자인개발과 동남권역의 특성화를 위한 해양레저제품 카테고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해양산업 발전에 미래상을 연구하였다. 국민소득이 2만 불 시대엔 마이카시대라 하고 3만 불이면 마이보트시대라 한다. 영국에 본부를 둔 마린 사우스이스트(Marine SouthEast)의 보고에 의하면 2010년 세계 소형보트와 개인용 수상장비의 규모가 277조원에 이르고 국내시장 규모도 11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해양레저시설은 국가의 전략, 핵심 산업으로 육성해야하는 신 성장 동력산업이며, 정부는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 방안(2009년 6월, 지식경제부), 해양레저 활성화방안(2010년7월, 국토해양부), 제1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2010년1월, 국토해양부) 등을 발표하여 해양산업육성에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해양디자인은 바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해양활동에 디자인요소를 기능적, 예술적, 산업적, 문화적 발전을 통해 국가적 위치와 인간 삶의 질적 가치를 추구하는데 있다. 또한 해양과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과 연관된 것으로 물을 중심으로 한 특수한 조건을 포함하고 있는 디자인 영역이다. 3면이 바다인 조건이 국민의 질적 수준의 발전으로 국가 전략 방향이 산업과 문화융합과 지역의 특성화와 유망산업으로서 2010년대에 선진화된 해양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데 현재 우리의 가치기반이 되는 해양레저시설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지역별 현황 보유장비, 시설유형, 운영현황과 해양레저시설 이용객의의 부문별 이용현황, 해양레저 제품의 향후 전망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동남권 해양레저 제품별 실태조사를 통하여 유망한 해양레저제품 개발 시 디자인역할과 프로세스를 제시하여 시장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기반을 예측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