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information era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8초

가상 커뮤니티의 멤버 유동성과 지식 협업: 멤버 유동성에 대한 다각적 접근 (Membership Fluidity and Knowledge Collaboration in Virtual Communities: A Multilateral Approach to Membership Fluidity)

  • 박현정;신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47
    • /
    • 2015
  • 오늘날의 지식기반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가상 커뮤니티의 성공을 위해 턴오버(turnover)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선, 턴오버를 측정하는 방법부터가 명확하지 않다. 가상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구성원의 유입은 비교적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지만, 탈퇴는 명시적으로 탈퇴 처리를 하는 사람들이 드물고 재방문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특정기간 동안 임의의 구성원이 해당 커뮤니티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진정한 구성원인지를 판단하는 방식이 분명하지 않아 전통적인 조직의 턴오버 공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힘든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과 가상 커뮤니티 구성원의 행위 패턴을 고려하여, 일차적으로 턴오버를 포함한 가상 커뮤니티 구성원의 유동성(fluidity) 관련 척도들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유동성과 가상 협업 성과의 관계를 작업의 전문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요컨대, 대표적인 지식 협업 커뮤니티인 영어 위키피디아의 2,978개 피쳐드 아티클(featured article)에 대한 지식 협업 행위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협업 효율성에 대한 턴오버의 관계는 오른쪽 부분이 짧은 U자 형태를 보이며, 똑같은 턴오버율에 대해 보다 학문적인 아티클을 완성하는 것이 더 오래 걸리고, 이 차이는 턴오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둘째, 협업효율성에 대한 재방문기간의 관계는 왼쪽 부분이 짧은 U자 형태의 관계를 가지며, 전문적이지 않은 작업일수록 재방문기간의 일단위 변화에 대한 협업 효율성의 변화가 크다. 그리고, 똑같은 재방문기간에 대해 보다 학문적인 아티클을 완성하는 것이 더 오래 걸리며, 이 차이는 재방문기간이 평균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진다. 셋째, 협업효율성에 대한 월(month)별 유입 신규 구성원 수의 관계는 왼쪽 부분이 짧은 역 U자 관계를 가지며, 이 관계에 대한 작업 특성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광역대표도서관 법정업무의 웹서비스 분석 (An Analysis of Web Services in the Legal Works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 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77-198
    • /
    • 2024
  • 2006년 12월에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제22조 제1항은 지역대표도서관을 법정기구로 규정하였고, 2021년 말에 재개정된 「도서관법」 제25조 제1항은 그 명칭을 광역대표도서관으로 개칭하고 수행해야 할 업무도 확장하였다. 시·도가 광역대표도서관을 지정 또는 설립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동법 제23조에 규정된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평생학습 등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역할에 더하여 제26조에 규정된 광역대표도서관의 법정업무를 주관하고 시·도 내 모든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도서관, 종합지식정보센터, 지원·협력 구심체, 조사연구, 공동보존서고 운영 등을 수행하여 도서관 및 지식문화 발전을 견인하는데 있다. 그렇다면 지난 15년간(2009-2023) 광역대표도서관은 법정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 왔는가, 특히 디지털·모바일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법정업무의 계획 및 추진실적을 웹사이트에서 제대로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대표도서관의 현행 법정 업무를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수행실적을 조사·분석한 후 웹사이트를 통해 어느 정도로 제공하는지를 평가하여 웹서비스 강화를 위한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광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법정업무에 대한 웹서비스는 상당히 부족하고 부실한 것으로 분석되어 홈페이지에서 법정업무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 독립된 웹사이트 제공을 통한 접근 편의성 및 가시성 제고, 다양한 정책정보 및 웹서비스(포털검색, 상호대차와 원문제공, 공동DB 구축, 자료이관 및 보존 등) 방안,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보장 등을 보완책으로 제시하였다.

Construction Partnering on Alternative Project Delivery Methods: A Case Study of Construction Manager/General Contractor Partnered Transportation Projects

  • Adamtey, Simon A.;Kereri, James O.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9권4호
    • /
    • pp.1-15
    • /
    • 2019
  • Since its adoption by the transportation sector in the early 1990s, partnering has been broadly used with the traditional delivery method by many agencies with significant reported benefits. During the same era, a number of transportation agencies (DOTs) started experimenting with a wide variety of alternative project delivery methods (APDMs) aimed at improving the delivery of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The effect of collaborative working strategies such as partnering, together with the APDMs have become somehow interrelated posing a potential challenge on how to effectively integrate partnering as a concept in the APDMs. The salient question has been if the collaborative nature of these APDMs has affected how partnering is being used by state DOTs.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32 CMGC RFPs/RFQs and review of three CMGC case studie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in state DOT documents that show procedures on the usage of partnering with CMGC projects. Majority of DOTs are relying on the inherent nature of the CMGC contract to promote healthy collaborative practices and there is the need to consider partnering during pr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eparately to cater for any personnel change over.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partnering may become less important at the construction phase due to overlap between partnering and CMGC practices. In support of this finding, a CMGC partnering model was developed that can be adopted by DOTs. This paper contributes to both research and practice by expanding the existing knowledge on partnering on APDMs.

3D 게임 캐릭터 제작에 있어서의 캐릭터 일러스트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Character Illustration Which the 3D Game Character Manufacture)

  • 이동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78-183
    • /
    • 2005
  • 현재를 산업사회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어지는 종합코드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코드 시대에서 가장 복합적인 매체산물이 게임 산업이다. 그 게임 산업 속에서도 게임 제작의 요소 중 하나인 게임캐릭터는 유저와 상호작용을 통한 시각적인 요소를 내포하므로 가장 중요 요소이다. 게임 산업에서 캐릭터 제작의 초기시작은 그 무엇보다도 부가가치를 확산시킬 수 있는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게임제작의 캐릭터라 함은 제작 요소 중 기본 원화로부터 시작을 뜻하는 확산성처럼, 2D 게임 캐릭터 일러스트에서 3D 게임 캐릭터제작으로 이어는 복잡성. 그리고 개체성, 가상성과 같은 게임의 발전 요소가 기존의 코드와 다른 차별적 마인드코드에서 세워질 때 그 초석은 만들어 질것이다. 따라서 게임제작에 있어서의 캐릭터 일러스트와 원화의 중요성을 파악함은 보다 완성된 3D 게임캐릭터를 제작하는 원인제공을 할 수 있다고 사료되어진다.

  • PDF

박물관 전시에서의 디지털 매체 적용에 관한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Digital Media Application in Museum)

  • 어일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12-219
    • /
    • 2010
  • 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 2010년 기획전시에 디지털매체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것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전시 내용에 적절하게 다양한 형식으로 영상 음향매체가 활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전시공간 연출에 있어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의 측면은 앞으로 다양한 전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성면에 있어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디지털매체의 표현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전시내용의 효과적인 전달과 엔터테인먼트적인 효과로 관람객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방문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전시에 음향매체를 활용한 것은 영상매체 보다 더 강렬한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고, 다른 전시매체와의 복합 연출에 따른 효과는 더욱 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관람객에게 일방향성 정보제공으로 잘못 활용되어질 수 있으므로 단독 음향의 지향성 스피커나 헤드폰 등의 기술적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로봇 활용 수학학습이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obot Based Mathematics Learning on Learners'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Skills)

  • 박정호;김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1-80
    • /
    • 2010
  • 지식정보화시대에 로봇은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성 신장, 문제해결력 그리고 긍정적인 학습동기유발에 효과적인 도구라는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수 학습 환경 개선측면으로 수학교과 학습에 로봇을 학습교구로 활용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로봇 프로그래밍 내용을 분석한 후 로봇통합 수학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학습에 총 16차시에 걸쳐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방식의 비교집단보다 로봇을 활용한 실험집단에서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로봇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수학 학습이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켰으며, 긍정적 수학 학습경험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전통문화 정체성에 관한 조형성 특성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연구 - Past, Present & Future - (Formative Characteristics Regarding Traditional Cultural Identity and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s - Past, Present, and Future -)

  • 전지현;앤드류래프터리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65-76
    • /
    • 2009
  • Korea has established a code for the economic and cultural industry that covers a wide range of classes unlike the old information era which was limited to the simple knowledge, technology, tools, morals, and customers that had been established in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culture marketing' is a series of marketing activities in which value-added items are created and shared. The combination of business management and culture seemed pretty awkward considering how rapidly the world was changing, however, the nature of today's culture has changed and the economic nature of culture products has resulted from those changes. In this paper, two authors who expressed the cultural identity in the culture products are studied through a comparison analysis; the author Min Yeongsoon expressed the identity confusion that she experienced in a foreign country and how she overcame homesickness in her work; and the author Kim Ata expressed his confidence in Asia and used his clear and loud voice to express the culture in his work. In addition, today's culture products ar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cultures such as the member's traditional society, environmental culture, and individual's culture. It is a good source for good works of art. In this study, the efforts of seeking the cultural identity, structuring the concept, seeking a new market and possibilities are used to make a consistent process in order to make a series of the systems required for planning and developing culture products.

패션소재의 입체적 표현에 대한 3D Scanning 및 소재특성 분석 연구 -Iris van Herpen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of Fashionable Textiles based on Analyses of 3D Scanning and Textile Properties -Focus on the Work of Iris van Herpen-)

  • 이레아;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2호
    • /
    • pp.124-133
    • /
    • 2016
  • Currently the fashion industry is developing to create a novel culture due to the very sensitive and knowledge-oriented advancement of the IT industry. With fast turnover of information, consumers have come to have a more diverse desire for purchasing. Cubical expression techniques, which empathizes formativeness, can be a creative expression method adjusting into the trend of this era. Along with functional aspects of consumers, even in a textile manufacturing sector, new materials are required to meet sensitive and emotional aspects. Consumers' desire for new and creative designs and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new materials are essential to meet their emotions. The IT industry and fashion industry are forced to combine and a 3D apparel CAD system has been developed, enabling virtual clothing to be represented within a computer virtual space. All processes such as design, pattern creation, sewing and simulation are possible in 3D level. Digital clothing can shorten the production process time and is very effective in that it can reduce clothing waste generated during the sample production. This paper reviewed the works of Dutch designer, Iris van Herpen, who has developed formative designs. She tries to build, construct, and sculpt employing diversified materials other than soft textile materials, as shown in her series of fashion shows. The materials include films, 3D printed polymers, stiff and sheer organza, and artificial leather textiles. A few characteristics of her works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prepare patterns exhibiting the traits. The paper further focused on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textile materials used to express similar techniques and its various forms were reviewed.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능형 프로비저닝 서비스 (Intelligent provisioning service using ontology)

  • 정훈;김난주;표혜진;최의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39-247
    • /
    • 2014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급격한 사회 문화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될 수 밖에 없는 흐름이다. 현재 세계 각국의 기술 연구는 핵심 기술의 선점뿐만 아니라 보다 지능화, 고도화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능형 프로비저닝 시스템을 구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프로비저닝 기술 시스템은 사용자의 적합한 상황을 인식한 뒤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환경과 상황이 고려된 지능형 상황인지 프로비저닝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황과 사용 패턴을 고려한 온톨로지 기반의 지능형 프로비저닝 서비스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적합한 추천을 위해 이에 따른 추론 기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능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공지능 왓슨 기술과 보건의료의 적용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ends and IBM Watson References in the Medical Field)

  • 이강윤;김준혁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2호
    • /
    • pp.51-57
    • /
    • 2016
  • This literature review explor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rends and IBM Watson health and medical references. This study explains how healthcare will be changed by the evolution of AI technology, and also summarizes key technologies in AI, specifically the technology of IBM Watson. We look at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overload,' in that medical literature doubles every three years, with approximately 700,000 new scientific articles being published every year, in addition to the explosion of patient data. Estimates are also forecasting a shortage of oncologists, with the demand expected to grow by 42%. Due to this projected shortage, physicians won't likely be able to explore the best treatment options for patients in clinical trials. This issue can be addressed by the AI Watson motivation to solve healthcare industry issues. In addition, the Watson Oncology solution is reviewed from the end user interface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global company platform business to explain how AI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are expanding in the market with use cases. It emphasizes ecosystem partner business models that can support startup and venture businesses including healthcare models. Finally, we identify a need for healthcare company partnerships to be reviewed from the aspect of solution transformation. AI and Watson will change a lot in the healthcare business. This study addresses what we need to prepare for AI, Cognitive Era those are understanding of AI innovation, Cloud Platform business, the importance of data sets, and needs for further enhancement in our knowledge 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