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wi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2초

혼합염 및 키위주스 침지와 조리 방법에 따른 돈육등심 가공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ation with Mixed Salt and Kiwi Juice and Cook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Pork Loin-Based Processed Meat Product)

  • 김일석;장애라;진상근;이무하;조철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7-222
    • /
    • 2008
  • 돼지고기 등심에 혼합염(NaCl, $CaCl_2$ 및 인산염 각각 육 중량 대비 0.5, 0.5 및 0.3%(w/w))과 키위즙(육 중량 대비 10%(v/w))을 넣지 않은 것을 T1, 혼합염만 넣은 것을 T2, 키위즙만 첨가한 처리구를 T3, 키위즙 및 혼합염을 모두 첨가한 처리구를 T4로 하고, 이때 혼합염은 육중량의 10%(v/w)의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냉장 상태로 24시간 동안 각 처리구별로 침지한 돈육 등심을 조리조건 형태별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볶음 형태의 돈육 등심의 pH는 5.60 내외로 조리 방법 간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pan broiling은 돈육 등심의 pH가 $6.02{\sim}6.16$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Simmering의 경우 키위즙을 첨가한 돈육의 pH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전단력에 있어서 김치볶음의 경우, 무 처리구와 비교시 혼합염과 키위즙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낮은 전단력을 보여 연도가 개선됨을 나타내었다(p<0.01). Pan broiling한 경우 무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혼합염과 키위즙이 첨가된 처리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Simmering의 경우 혼합염을 첨가하였을 때(p<0.001) 낮은 전단력을 보였다. 보수력은 김치볶음 형태와 simmering 처리군의 보수력이 무처리군보다 낮아서 첨가된 김치와 양념혼합물 또는 볶음 방법이 혼합염과 키위즙의 돈육 품질 증진 효과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pan broiling한 돈육 등심은 키위즙과 혼합염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보수력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은 김치볶음 형태로 조리한 등심의 경우, 냄새에서만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첨가된 김치와 양념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p<0.001). Pan broiling 방법으로 조리한 등심은 풍미와 기호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p<0.05, p<0.01), 혼합염과 키위즙 처리구(T4)가 가장 좋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Simmering의 방법으로 조리한 등심의 척도묘사 분석결과 냄새, 풍미는 T3에서, 다즙성은 T4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종합적 기호성에는 T4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simmering 방법의 경우 종합적 기호성은 냄새, 풍미보다는 입에서 느껴지는 식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비선호 부위인 돈육 등심의 조리 식품 등으로의 원료육 활용 등 이용 증진을 위해 김치볶음 형태의 조리법에서는 돈육 등심에 10% 키위즙만 첨가하고(T3), pan broiling 방법과 simmering 방법의(p>0.05) 경우는 혼합염과 키위즙을 함께 첨가하여(T4)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산 키위에서 분리한 단백질분해효소 Actinidin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etense Actinidin Isolated from Cheju Kiwifruit)

  • 조성자;정수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7-94
    • /
    • 1994
  • A protease, actinidin, was isolated from Cheju kiwi fruit Actinidia chinesis. The enzyme was purified about 8.5 fold with the yield of 25% by column chromatographies of DEAE-Toyopearl and Sphadex. G-100. Purified enzyme gave a single protein band on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its molecular weight estimated by SDS-PAGE was about 27, 000.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were 7.0 and 4$0^{\circ}C$, respectively. This enzyme was stable at the ranges of pH 5.0~9.0 and below 5$0^{\circ}C$. It was also found that Fe+2, Fe+3, and Na+ ions increased enzyme activity, whereas Hg+2 and Co+2 ions decreased. The enzyme was inhibited by phenylmercuric acetate and leupeptin, which indicated that active center of the emzyme had thiol-group. The enzyme reaction followed the Michaelis-Men-ten dkinetics with the Km value of 0.32 mM for casein.

  • PDF

건조 다래순의 조리 중 라디칼 소거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의 변화 (Changes i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Dried Daraesoon (Shoot of Hardy Kiwi, Actinidia arguta) during Cooking)

  • 김정하;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8-213
    • /
    • 2016
  • 다래순 묵나물을 찬물에 16시간 불리고, 30분 삶은 후 1시간 찬물에 불리는 재수화 과정을 거친 후 다래순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활성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재수화된 다래순을 $180^{\circ}C$에서 10분 또는 20분 동안 가열 조리한 경우 들기름 첨가와 관계없이 라디칼 소거활성은 증가하였으나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은 들기름을 첨가하고 가열 조리한 경우에만 증가하였다. 다래순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억제 활성 변화는 색소보다는 산화방지제, 플라보노이드 또는 토코페롤보다는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변화와 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다래순 묵나물의 재수화 또는 가열 조리 시 산화 방지, 항당뇨 등 건강기능성 개선을 위해 폴리페놀 화합물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하였다.

주스제조 장치에 따른 채소 및 과일 주스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 Vegetable and Fruit Juice by Various Juicers)

  • 최문희;김민주;전영진;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45-154
    • /
    • 2014
  • A fresh vegetable and fruit juice has become a new healthy food available for detoxification, dieting and health. This paper presents th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changes of fresh juice according to different juicer. Quality of fresh juice could be evalua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juice yield, enzyme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content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 juice yields of 12 different vegetables and fruits were compared using 6 different juicers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yield of slow juicer was bet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blender. Among 12 samples, the juice yield of grape is the best and the pH of the juice was in the acidic range of 3 and 4. Kiwi and grapefruit were the best in terms of protease enzyme activities by Hemoglobin units on the tyrosine basis and Spectrophotometric acid protease unit and papain units on the tyrosine basis of KFDA protocol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also high in kiwi and grapefruit. The antioxidant activity by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radical scavenging assay were high in the order of kiwi, grapefruit, grape, tomato, and orang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also assay for 12 samples with 6 juicers. It can be concluded that of fresh fruit and vegetable juice provides a source of antioxidant components and enzymes with high activity. And the enzyme activities could be used as one of the quality indicator of fresh juice. Concerning the juicers used in this study, slow juicer could be recommended to prepare the fresh juice in terms of the juice quality.

키위와 무를 첨가한 검정콩청국장의 발효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Added wish Kiwi and Radish during Fermentation)

  • 손미예;권선화;박석규;박정로;최진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49-455
    • /
    • 2001
  • 키위와 무를 첨가하여 42$^{\circ}C$에서 72시간동안 발효시킨 검정콩 청국장의 pH, 총산, 환원당, 질소화합물 및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검정콩 청국장의 발효중 pH는 증가하였고, 총산은 감소하였으며, 키위를 첨가한 검정콩 청국장을 제외한 시료구 모두 24시간 이후로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24시간을 전후하여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검정콩 청국장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나머지 청국장은 비슷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24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키위와 무를 첨가하므로 검정콩 단백질의 분해율을 증진시켜 대두 청국장과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는 72시간 이상 발효할 때에는 검정콩 청국장이 대두 청국장에 비하여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질은 K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 > Mg > Ca순으로 많았으며, 대체로 검정콩 청국장류가 대두 청국장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많았다.

  • PDF

Effects of Dipping Chicken Breast Meat Inocula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in Lyophilized Scallion, Garlic, and Kiwi Extracts on Its Physicochemical Quality

  • Kim, Hye-Jin;Sujiwo, Joko;Kim, Hee-Jin;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18-429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yophilized extracts of scallions (Allium fistulosum L., SLE), garlic (Allium sativum, GLE), and gold kiwi (Actinidia chinensis, GKE) and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chicken breast meat inoculated with L. monocytogenes during storage for 9 days at $4^{\circ}C$. The low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25 and 100 mg/mL, respectively) against L. monocytogenes were observed for SLE and GLE, respectively. GKE had the lowest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fo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06 mg/mL). The pH values of meat inoculated with L. monocytogenes and dipped in 1% SLE (LSLE), 1% GLE (LGLE), or 1% GKE (LGK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day 3 of storage (p<0.05). The initial population of L. monocytogenes in meat was 4.95-5.01 Log CFU/g. However, the population in the LSLE (5.73 Log CFU/g)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6.23 Log CFU/g) on day 5 (p<0.05).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 of the LSLE (19.90 mg/100 g)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24.38 mg/100 g) on day 7 (p<0.05). Moreover, treatment with SLE resulted in the maintenance of meat quality and reduced the population of L. monocytogenes on the meat. Thus, SLE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natu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anitizer for reducing L. monocytogenes contamination in the chicken meat industry.

Kiwi-persimmon wine produced using wild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with sugar, acid, and alcohol tolerance

  • Hee Yul Lee;Kye Man Cho;Ok Soo Jo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2-64
    • /
    • 2023
  • 100 different yeast colonies were isolated from spontaneously fermented kiwis, persimmons, apples, pears, watermelons, grapes, grape fruits, peachs, and plums, and selected yeast strains were used to produce kiwi-persimmon mixed wine (KPMW). Among the isolates, five representative strains exhibited tolerance to sucrose, alcohol, pH, and potassium metabisulfit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yeas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615). All five yeast strains (Y4, Y10, Y28, Y78, and Y81) exhibited 99% 26S rDNA sequence similarity to S. cerevisiae. The pH, acidity, Brix, reducing sugar, alcohol, and organic acid contents were consistent in KPMW prepared from the S. cerevisiae KCCM 12615 and Y28 strains. KPMW made from the Y4, Y10, and Y28 strains exhibited lower quantities of free sugars than those of the KPMW made from the other yeast strains. The level of ethyl esters in KPMW prepared from the Y28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KPMWs. All strains, except for Y28, produced lower concentrations of sulfur and ketone compounds. Furthermore, the KPMW produced by the Y28 strains had total phenolic contents with 1.1 g/L, wit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57.06% and 55.62%, respectively, and a FRAP assay value of 0.72. Our results suggest that Y28 is a promising yeast strain for producing high-quality wines.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Wine on Alcohol Fermentation Strains)

  • 우승미;이명희;서지형;김윤숙;최희돈;최인욱;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00-80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균주에 따른 저온숙성 참다래 와인의 품질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알코올함량은 발효 2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8일 이후로는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발효 균주별 알코올함량은 Sacch. cerevisiae GRJ, Sacch. kluyveri DJ97 및 Sacch. cerevisiae Wine 3이 13.0% 이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Zigosacch. cerevisiae JK99 및 Sacch. cerevisiae OMK가 각각 12.7 및 12.3%이었다. 당도는 발효초기 25.0%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5종의 시료 모두 발효 8일째 10.0% 내외로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총산은 발효초기 5종의 시료 모두 $1.03{\sim}1.04%$의 범위였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숙성 동안에는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색도는 발효기간 중에는 L값 증가 및 a값 감소를 보였고 b값은 20.0 전후의 높은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기간 중에는 L값 감소, a값 증가 및 b값 감소를 보였다. Isobutanol, isoamylalcohol 등 비등점이 높은 fusel oil류는 Sacch. cerevisiae Wine 3가 가장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고, 알코올 발효 후 유리당은 모든 시료에서 glucose와 maltose가 확인되었으며 총 유리당은 Sacch. cerevisiae Wine 3, Sacch. cerevisiae GRJ, Sacch. cerevisiae OMK, Sacch. kluyveri DJ97 및 Zigosacch. cerevisiae JK99 순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