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ergarten education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5초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 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19-13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중심의 유아언어교육 교과목을 구성 및 적용함으로써 전공수업의 개선을 도모하고,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실천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언어교육을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4학년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행연구의 결과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과정'중 '계획' 단계에서는 현장의 문제점인 언어교육에서의 유아 흥미 부족과 언어영역의 고정화 문제를 인식하고 1차 실행을 함께 계획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말하기가 활발하게 표출될 수 있는 놀이와 쓰기가 즐거운 재미있는 편지지를 창안하고, 현장교사 연계로 피드백을 받았다. '반성 후 재실행' 단계에서는 현장실습을 다녀온 예비유아교사들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쓰기 개발, 디자인씽킹을 반영한 놀이 사후실행안을 작성하였다. 사후실행안으로 모의수업으로 발표하며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진행하였다. 둘째, '디자인씽킹 기반의 유아언어교육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의 의미'는 '관행보다 소중한 유아에게 귀 기울이기'와 '공감과 협력을 통한 자기성찰과 성장'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변화는 필요하며, 유아에게 공감하며 각기 다른 문제를 해결해 본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조기 영어 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Children's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 황혜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7-506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children's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to see whether the early exposure to English education affects children's competencies of both English and Korean. Based on this purpose, it attempts to examine whether it supports additive or subtractive bilingualism. The competencies of both English and Korean of the children with early English education were, therefo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hildren without it,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mpetencies was also studied. For this research, two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 one with 48 children who attend English kindergarten and the other with 60 children who attend only Korean kindergarten - took PPVT-R in Korean and in English each. The result shows that children with early English education have more English competency than those without it.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are found in Korean competenc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mpetencies proves positive in children with early English education.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early English education is partially positive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hich may support the additive bilingualism that children's second language can improve without losing their native language competency. In addition, this result will be able to provide for us the direction and the guideline to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early education.

  • PDF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 김안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553-55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적 관계를 밝혀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AMOS 18.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 공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래동화는 유아교육의 중요매체이며, 부모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전래동화를 선택하고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부모와 유아교사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부모와 7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6편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일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유아에게 유익한지와 가치관형성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부모의 평가가 유아교사의 평가보다 높았지만, 전반적으로는 부모와 유아교사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는 편이었다. 이는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가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블랜디드 러닝 기반 STEAM 교육 적용 음악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지식 및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sic Lesson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based STEAM Education on the Musical Knowledge and STEAM Liter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7-2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 기반 STEAM 교육 적용 음악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지식 및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O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유아음악교육 수강생 20명과 B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유아음악교육 수강생 19명을 대상으로 음악지식 및 융합인재소양에 대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블랜디드 러닝 기반 STEAM 교육 적용 음악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적 음악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음악지식 모든 영역과 융합인재소양 중 융합, 창의, 소통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교육 현장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지식과 융합인재소양 향상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블랜디드 러닝 기반 STEAM 교육 적용 음악수업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n Early Childhood Value Education)

  • 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에 대한 교사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들이 느끼는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의 어려움은 '가치교육의 구체적 교수방법과 실행에 대한 정보 부족', '가치교육보다 우선시되는 다른 교육내용',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치교육 현장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가치교육의 연계',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가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와 참여', '가치교육에 대한 기관의 교육철학의 확립'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가치교육 자료는 실행사례집, 동영상, 부모교육 자료 등, 요구하는 교사연수의 방법은 온라인 영상연수, 직무연수, 전문적 학습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바른 인성에 대한 논의와 유아가치교육을 분리되지 않는 맥락으로 연계하길 바라는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였다는 점,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전문성, 학부모와 함께 만들어가는 가치교육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었다는 점, 교사가 원하는 자료와 연수 유형을 밝혀 유아가치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y about Teacher's Competency)

  • 성병창;부재율;한경임;이경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78-9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reas and standards of kindergarten teacher's competency through survey research and interview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 kindergarten teachers, vice principals, principals, administrators, parents, and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aw data from 62 interviewees were grouped into 25 codes including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abeled for representative themes. Based on the result of interview analysis, two areas of 'knowledge and skill' area (15 standards) and 'attitude and grounding' area (20 standards) were classified, survey researched for appropriateness and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704 memb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ere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observation and evaluation ability for young children' and 'affec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high appropriateness in 'knowledge and skill area' and 'attitude and grounding area', respectively. In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and counseling' for knowledge and skill area,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 'affection for young children', responsibility', 'positive attitude' for attitude and grounding area showed high relative importance in order.

유아 조기특기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State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for Kindergarteners and Maternal Beliefs Regarding Child Rearing)

  • 김보림;엄정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3-24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state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for kindergarteners and maternal beliefs regarding child rearing. This study included 238 mothers who had a child that was either four or five years old and currently attending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222 of the subjects indicated that their children participated early in extra curricula education, and 56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were involved in four types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2) In general,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felt extra curricula activities were more important for instilling values regarding humanity to children of very young ages than for learning and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a child is raised is more important than maturity when rearing children. 3) Parental beliefs regarding humanity an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ctual state of extra curricula education in kindergarteners.

예비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개발 및 효과-시지각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media Utilization Ability for Pre-Kindergarten Teachers-Focusing on Visual Perception Interface)

  • 홍수현;강성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13-1128
    • /
    • 2017
  • This study was practiced in order to develop a textbook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required by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its effects. First,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multimedia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was done along with looking through their attitude and anxiety. The expertise and the multimedia education was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urriculum. As a result, 15 categories and 50 subcategories under 4 themes were drawn through the procedures of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related to the tasks required in kindergartens is needed instead of the common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multimedia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multimedia education based on visual theory for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common features-centered multimedia education, is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Finally,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will be a chance to provide children with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Exploring the effects of unplugged play for children aged 3, 4 and 5 - Based on Bee-bot -

  • Kwon, Un-jou;Nam, Ki-won;Lee, Ji-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239-245
    • /
    • 2020
  • With the recent revised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exploring children's play through new teaching media is increasing in kindergarten. In this study, it is to use the robot 'Bee-bot' for early children to uncover the changes that children have through free exploration and pla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of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of 3, 4, and 5-year-old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ree sub-elements. We propose to u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est tools, propose and apply ideas for problem-solving, conclusion on problem-solving Building.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unplugged play using 'Bee-bot' is meaningful as a play environment and as a teaching medium for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