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119

Action Research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Bae, Jee-Hyun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major subjects by constructing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center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for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cultivate their teaching ability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ubjects centered on design thinking, the "plan" stage recognizes the problem of interest i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xecution of language areas. In the "action" step, they created a interesting stationery for plays that can be actively expressed for young children who are hard to write. In the "re-action after reflection" steps, they have developed creative writing based on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who have been working on a kindergarten field practice, Secon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for the major class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is listening to young children than given practice, and self-reflection and growth through sympathy and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eded to change the various major classes and the experience of problem solving is that it is also helpful for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Keywords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Design Think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종길, 최진령, "디스쿨 디자인 씽킹 프로세서를 활용한 유아부모의 창의적 발문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2호, pp.126-146, 2021.
2 남창우, 권종실, 신동민, "디자인 싱킹 학습 환경에서 성찰전략 유형이 예비교사의 집단응집력과 협력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pp.789-812, 2019.
3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20권, 제13호, pp.1023-1052, 2020.
4 송미연, 황재원,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40권, 제1호, pp.241-265, 2020.   DOI
5 홍지명, "디자인씽킹 기반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11권, 제1호, pp.1675-1686, 2020.
6 김정원, 이문정, 이연규, 전선옥, 조화연, 유아교육론, 양서원, 2019.
7 송태규, "유치원 만 5세 교육과정의 읽기 쓰기 실행 현황 및 고찰," 지방교육경영, 제24권, 제2호, pp.81-105, 2021.
8 김순환, 김희영, "유치원에서의 읽기, 쓰기 교육 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pp.161-190, 2016.
9 장은주, 조혜선.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유치원 현장 연계형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교사교육연구, 제58권, 제4호, pp.555-568, 2019.
10 김대욱,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공간 관련 교사의 어려움 및 공간 활용 방안에 대한 협력적 실행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279-307, 2021.
11 J. McNiff, Action research : principles and practice, Oxon; New York: Routledge, 2013.
12 M. A. K. Halliday, Explorations in language study, London: Edward Arnold, 1973.
13 이아영, 대학생의 디자인씽킹 경험에 나타나는 전환 학습과 사회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4 윤갑정,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놀이지도 수업에서 예비보육교사의 공감능력 향상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3호, pp.1-24, 2019.
15 양정은, 이진희, "언어영역에서의 브릿징 평가: 유아교실에서의 활동중심 평가의 적용 연구," 아동학회지, 제38권, 제5호, pp.95-113, 2017.   DOI
16 이종길, 안영혜, "디스쿨(d. School)의 디자인 씽킹 모델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창의력 수업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203-232, 2020.
17 이종길,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교과 논리 및 논술」 수업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3호, pp.647-673, 2020.
18 T. Harth and S. Panke, "Design Thinking in Teacher Education: Preparing Engineering Students for Teaching at Vocational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E Learning, Vol.18, No,4, pp.1537-2456, 2019.
19 천화영, 황혜정,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9권, 제1호, pp.25-49, 2013.
20 정지혜, 유치원 흥미영역의 언어 환경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1 김경숙, "전공연계(Bridge) 실습의 이론과 실제 교과목 수업 개선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식품영양분야에 대한 융.복합역량의 변화," 유아교육연구, 제41권, 제5호, pp.129-156, 2021.   DOI
22 K. Shively and J. Palilons, "Curriculum Development: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Design Thinking for Understanding Digital Literacy as a Curricular Framework," Journal of Education, Vol.198, No.3, pp.202-214, 2018.   DOI
23 김순환, 김희영, "유치원에서의 읽기, 쓰기 교육 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pp.161-190, 2016.
24 이연선, 연희정, "놀이중심 교육과정 전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1481-1507, 2021.
25 김경은, 김연아, "만 5세 유아가 경험하는 디자인씽킹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25권, 제1호, pp.169-196, 2021.
26 S. N. Mitchell, R. C. Reilly, and M. E. Logue, "Benefi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the beginning teache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5, No.2, pp.344-349, 2009.   DOI
27 김은아, 고경미, 이선경,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모의수업 분석경험,"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9권, 제3호, pp.245-269, 2015.
28 박수경, "대학과 현장의 협력 프로그램에서 예비유아교사 지원하기: 교육실습지도교수의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5호, pp.351-372, 2010.
2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6.
30 유효인, 창의적 문제해결(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31 김미진,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 개선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8호, pp.895-916, 2021.
32 T. Brown, "Design Thinking," Harvard Business Review, Vol.86, No,6, pp.84-92, 2008.
33 신은미, "협력적 컨설팅을 통한 초록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367-393, 2020.
34 송만용, 김수화, "융합디자인 교과과정을 적용한 대학 교양 창의성교육 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54권, pp.184-19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