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powder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6초

삼채(Allium Hookeri)의 급여가 당뇨마우스의 당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lium Hookeri on Glucose Metabolism in Type II Diabetic Mice)

  • 김남석;최봉겸;이선혜;장환희;김정봉;김행란;김대근;김유석;양재헌;김현주;이성현
    • 생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8-83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otential of Allium hookeri to control glucose metabolism in a diabetes model. We fed the experimental diets (AL, AR, Dex) supplemented with the powder of leaf, root, or dextrin as a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at 3% of diet to the diabetic mice (C57BLKS/J, db/db) for 8 weeks. Control mice were fed with the diet supplemented with cornstarch (Cont) at 3% level of diet. At 8th week of feeding the diets, we measured body weight, blood glucose, HbA1c, and plasma insulin levels and conducted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staining insulin immunoreactive cells in islets of pancreas. AL group treated with the leaf of A. hookeri showed significantly lower blood glucose and HbA1c levels, higher plasma insulin levels, and increased density of insulin immunoreactive cells compared with the Cont group. During the OGTT, AL group showed lower blood glucose levels than the Cont group for 120 min. Based on these results, leaf of A. hookeri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glucose tolerance by partially affecting insulin secretion and it may be used to prevent and treat diabetic disease.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C로 발효한 홍삼 및 복분자 발효물의 비만예방 효과 (The Effect of Red Ginseng and Black Raspberry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C in High Fat Diet-fed Mice)

  • 문혜정;이주희;이상천;이창현;최경민;차정단;황승미;고은실;이민정;장지은;최혜란;박종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59-1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L. acidophilus를 분리 동정하고, 이 균주를 이용하여 홍삼과 복분자 미숙과를 발효시킨 조성물을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항비만효과를 검토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C57BL/6J 마우스에 L. acidophilus C 및 홍삼 농축액과 복분자 미숙과 분말을 발효시킨 혼합발효 복합물을 6주간 투여한 결과, 혼합발효 복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체중증가량, 부고환 및 신장 주위 지방의 무게, 지방세포 크기와 간조직 내 지질 축적, 혈중 포도당 농도, 혈중GOT와GPT 농도및렙틴농도를감소시켰으며, HDL-콜레스테롤과 아디포넥틴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L. acidophilus C를 단독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비만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발효 복합물은 비만개선용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추후에 혼합발효 복합물의 비만 개선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담금방법을 달리한 부추김치의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Puchu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박문옥;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00
  • 본 연구는 부추김치의 담금방법이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처리구로는 소금으로 담근 것(A), 간장으로 담근 것(B), 간장과 들깨가루를 넣어 담근 것 (C), 멸치액젓을 넣어 담근것(D),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넣어 담근 것(E)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적 특성에서 외관, 냄새, 짠맛, 신맛, 감칠맛, 텍스쳐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간장을 넣어 담근 처리구 (B)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고, 고소한 맛은 들깨가루를 넣은 처리구(C)가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다. 2. 미생물학적 특성에서 총균수는 발효 전반에는 처리구 C가 많았고, 말기에는 처리구 E가 많았다. 반면에 처리구 A의 총균수가 가장 적었다. 처리구 C는 발효 2일에 최대 젖산균수에 도달했고, 처리구 E는 발효 13일에, 나머지 처리구는 발효 28일에 처리구 A>B>D순으로 최대 젖산균수를 보였다. 발효 말기인 43일에는 처리구 B가 가장 적은 젖산균수를 나타냈다. 분리동정된 젖산균은 Pediococcus속, Streptococcus속, Leuconostoc속, Lactobacillus속의 4가지였으며, Streptococcus속은 적숙기인 발효 8일에 가장 많았으며, 김치산패에 관여하는 Lactobacillus속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발효는 처리구 B>C>E>D>A의 순으로 빨리 진행되었다. 담금방법에 따라 간장은 부추김치의 맛은 좋게 하였으나, 숙성을 빠르게 하였으며, 들깨가루 첨가는 초기 발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말기에는 오히려 촉진한 결과로 보아 첨가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부추김치의 발효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부추김치 담그는 목적에 따라 첨가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농촌거주 노년가족의 일상 식품 생산과 가공 및 저장 -중년가족과의 비교- (The Elderly Families' Daily Food Cultivation, Preservation in Rural, Korea -Comparison with middle aged families-)

  • 이승교;정금주;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20
    • /
    • 2005
  • Recentl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the rural area of Korea has increased remarkably and their food security has become deteriorated mainly due to the low economic status. To investigate the food security for the elderly people, relevant data were obtained by offering questionnaire to the rural elderly people who were engaging in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for daily foods. The subjects of 1870 were collected in 9 provinces according to PPS(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Questionnaire contained the items of dietary habit, food cultivation, Production and Preservation, and the suey was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SAS (ver 8.1)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in which Chi-square tests and General Linear Models were made. Family of the elderly people was $45.4\%$ of the tot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families were that age of male head was 82.1 years and that of female was 67.7 years, and that $68.8\%$ of elderly women were working for family income or pocket money. The elderly families' food cultivation state was surveyed and they were pepper$(59.1\%)$, chinese cabbage$(61.91\%)$, and sesame$(48.6\%)$ for their own consumption. But, bean sprout$(6.5\%)$, tofu$(7.7\%)$ and egg$(5.1\%)$ showed low rate of cultivation for the family. The rate of cultivating chinese cabbage$(61.9\%)$, and sesame$(48.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iddle aged family. At the status of fermented food production for the elderly family, Doenjang$(87.4\%)$ and Gochujang$(86.3\%)$ Kanjang$(84.0\%)$ Kimchi$(92.9\%)$ Jangachi$(27.6\%)$ and Meju$(91.61\%)$maintained higher rate than that of middle aged families' Food preservation of elderly families was low and there are just jam$(5.3\%)$ and bottled products$(1.4\%)$. A little higher rate was observed lot the preserved food such as alcohol$(9.9\%)$ and powder$(9.8\%)$. For the elderly family the score of food cultivation was 4.08/12 points and that of food preservation was 0.62/12 points. The score of fermented food production for elderly family was 10.24/12 points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iddle aged family (9.58/12 points, p<0.001). This result suggests that for the elderly people food with more protein is needed for production.

  • PDF

발효식품 추출물과 미생물을 활용한 참깨 종자전염성 병 방제 (Effect of Extracts and Bacteria from Korean Fermented Foods on the Control of Sesame Seed-Borne Fungal Diseases)

  • 김용기;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박종원;박소향;지형진;김석철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97-308
    • /
    • 2015
  • 참깨 종자전염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용미생물을 함유하는 김치, 고추장, 된장, 간장, 막걸리를 채집하여 식품 추출물을 조제하고 종자전염성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가로 식품유래 미생물의 참깨 종자전염성 병해 억제 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50개 식품추출물에 처리한 참깨 종자를 샤레상에 처리하였을 때 20개 식품추출물이 유묘썩음증상을 92% 이상 감소시켰고, 7개 식품 추출물 처리는 온실조건에서 지상부 출현율을 58.3-66.8%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발효식품으로부터 얻은 218종의 발효미생물 중 7종의 종자전염성 병원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던 29균주를 처리하여 종자소독효과를 검정한 결과, 20균주가 병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균주 중 13균주는 모썩음 증상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건전주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6S rDNA region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균활성 및 종자소독 효과를 보인 식품유래 유용미생물 16종에 대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4균주는 Bacillus 속 세균으로,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2균주는 Saccharomyces 속으로 동정되었다.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선발 균주는 대부분 B. amyloliquifaciens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 균주 중 B. amyloliquefaciens Gcj2-1와 B. amyloliquefaciens Gcj3-1를 코팅제로 bentonite, kaolin, talc 및 zeolite를 첨가 혼화하여 제제화하였을 때 두 균주 공히 talc와 kaolin 제형이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zeolite 제형이었다. 그러나 bentonite 제형의 경우에는 타 제형에 비해 억제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선발된 발효식품유래 미생물은 in vitro와 온실조건에서 참깨 종자전염성병 방제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국내산 발효식품 추출물 및 발효식품 유래 미생물은 참깨 종자소독용 방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계근에서 분리한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이용한 밀 이삭마름병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Head Blight on Wheat by Polyacetylenes Derived from Cirsium japonicum Roots)

  • 김지인;김기현;박애란;최경자;박해웅;김인선;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45-151
    • /
    • 2016
  • 이삭마름병은 지금까지 화학살균제에 의해 방제되어 왔지만 잔류농약 문제로 인하여 합성농약의 사용은 곡류 수확 30일 전까지로 그 처리기간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수확 직전까지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생물농약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하여 F. graminearum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총 85과에속하는 225 한약재시료의 ethanol 추출물을 대상으로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억제활성을 가진 대계근을 선발한 후, 용매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생물검정을 거쳐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활성을 가진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두 물질은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ciryneol C와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의 polyacetylene계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F. graminearum의 포자발아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IC_{50}$은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이 $3.17{\mu}g/ml$, ciryneol C는 $28.14{\mu}g/ml$로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의 저해활성이 ciryneol C보다 더 높았다. 또한 온실에서의 대계근 EtoAc 추출물 분말수화제의 밀 이삭마름 병방제효과는 250배와 500배희석액처리시각각 78.92%와 31.56%로 유효성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방제효과도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계근의 조추출물이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한 식물유래 천연물 살균제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건조방법이 고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ying Method on the Quality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var. longum))

  • 윤화모;이정엽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39-149
    • /
    • 2004
  • 수확한 고추를 원형 그대로 한 원형과, 가로로 3등분으로 절단한 절단과, 직경 4mm의 송곳을 이용하여 고추에 6개의 구멍을 내는 천공과를 이용하여 천일건조, PE하우스 건조, $70^{\circ}C$, $80^{\circ}C$, $90^{\circ}C$각각 5시간의 열풍건조 후 천일건조 그리고 $50^{\circ}C$, $60^{\circ}C$, $70^{\circ}C$의 열풍건조 및 $70^{\circ}C$, $80^{\circ}C$, $90^{\circ}C$로 각각 5시간 건조 후 $60^{\circ}C$로 변온건조 하였을 때, 건고추의 품질 변화를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풍건조시 건조시간과 건조 후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절단과 건조는 $50^{\circ}C$에서 건조시간이 40시간으로 $90^{\circ}C+60^{\circ}C$에서의 15시간보다 2.6배가 더 소요되었고, 수분함량은 $60^{\circ}C$에서 건조 한 것이 10.0%로 가장 높았고, $90^{\circ}C+60^{\circ}C$에서 건조한 것이 6.7%로 가장 낮았다. 변온 복합 처리에서는 $70^{\circ}C+60^{\circ}C$, $80^{\circ}C$+60^{\circ}C$, $90^{\circ}C+60^{\circ}C$ 순으로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천공과 건조는 $50^{\circ}C$에서는 건조시간이 50시간으로 가장 많이 소요되었으나 $90^{\circ}C+60^{\circ}C$에서는 27시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수분함량도 $50^{\circ}C$에서는 9.5%로 가장 높았으며 $90^{\circ}C+60^{\circ}C$에서는 7.0%로 가장 낮았다. 천공과의 천일건조, PE하우스 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에는 백색 발생이 13.8-31.3%로 나타났고, 열풍건조 및 변온열풍건조 처리에서는 0-4.7%로 적게 나타났다. 부패과의 처리간 발생율은 백색과의 발생율과 같은 경향으로 원형과의 천일건조, PE하우스 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의 발생율은 8.2-23.7%이었고, 열풍건조 및 변온열풍건조 처리에서는 0-3.5%로 나타났다. 천공과 천일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는 7.4-21.6%이었으며, 열풍건조 및 변온 열풍건조처리에서는 0-2.8%이었다. 절단과의 천일건조 및 온도처리+천일건조 처리는 6.0-19.2%로 나타났으며, 열풍건조 및 변온열풍건조 처리에서는 0-1.6%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