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imchi juice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김치제조시의 온도 및 염농도에 따른 저장효과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 최신양;김영붕;유진영;이인선;정건섭;구영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7-710
    • /
    • 1990
  • 김치의 산업화를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김치를 제조할 때 작업장의 온도조절과 제품의 염농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김치를 대규모로 제조시 작업장의 온도는 $25^{\circ}C$보다 $15^{\circ}C$에서 작업하는 것이 김치저장에 효과적이었으며 염의 농도는 3%가 저장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들 조건에서 저장온도는 $-1{\pm}1^{\circ}C$가 바람직하여 120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고 $-5^{\circ}C$에서는 동결되는 현상을 보였다. 포장시기는 발효전 포장이 김치의 품위유지에 바람직하였다.

  • PDF

김치공장의 배추 절임폐수를 이용한 효모 균체 생산 (Production of Yeast Biomass from Waste Brine of Kimchi Factory)

  • 최민호;박연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5호
    • /
    • pp.331-336
    • /
    • 1998
  • 김치공장에서 배출되는 배추 절임폐수를 이용한 효모 균체 생산을 위하여 절임폐수에서 생육이 우수한 Pichia guilliermondii A9를 분리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균주는 pH 3부터 pH 8 범위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NaCl의 농도가 10%까지는 생육저해를 받지 않는 내염성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배양 후 절임폐수의 BOD가 약 90% 제거되었다. 그러나, 절임폐수에서는 생산된 균체량이 낮은 편이었으므로 P. guilliermondii A9의 생육 증가를 위하여 절임폐수에 암모니움염, 인산염 및 철, 망간 등을 첨가하였으나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한편, 김치공장에서 다량 발생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배추 쓰레기의 착즙액을 첨가한 결과 첨가량에 비례하여 균체량이 크게 증가하여 배추 쓰레기와 절임폐수를 동시에 효모 균체 생산의 기질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

숙성온도와 염농도에 따른 동치미 국물의 성분변화 및 관능적 특징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uice)

  • 김지향;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8-3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동치미를 제조하여 그 국물의 식품학적인 특성과 관능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담금변수는 첨가되는 염농도와 숙성온도로, 염농도 2%, 2.5%, 3%의 동치미를 제조하여 담금 초기부터 4$^{\circ}C$의 저온과 12$^{\circ}C$의 비교적 고온, 그리고 12$^{\circ}C$에서 12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로 옮겨 각각 숙성시켰다. 색도와 총 비타민 C 함량, 유리당과 같은 이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총 12명에게 6가지 항목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치미 국물의 색도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탁하고, 적색과 갈색을 띄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는데 숙성중기 이후에 더 급격히 변하였다. 총비타민 C는 염농도보다는 숙성온도에 더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는데 역시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옮긴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비타민 C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최고치를 유지하는 기간도 길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가 분석되었는데 이들 유리당의 총 함량은 염농도에 따라서는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숙성온도에 따라서는 숙성온도를 바꾸어 가며 숙성시킨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관능검사는 숙성도, 짠맛, 탄산미, 불쾌취, 투명도, 전체적인 수응도를 평가하였는데 탄산미는 각각의 변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9가지 시료중에서 가장 수응도가 좋은 동치미 국물은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바꾸어 숙성시킨 염농도 2.5%, 3% 동치미이고 이 중 2.5% 염농도의 동치미액은 불쾌취도 적게 나는 것으로 평가되어 관능적인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우리나라 여대생의 식이와 혈청이 ascorbic acid 수준의 상관관계 평가 - 섭취량 계산방법에 따른 비교 연구 -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ascorbic acid in diet and serum)

  • 계승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1-18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ascorbic acid in 96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Dietary intake level was estimated with three day diet records. Serum ascorbic acid were analyzed with fasting blood. Nutrient intakes was calculated using three different food composition databases ; analysis data of cooked food items ; analysis data of raw foods ; published food composition table. Ascorbic acid intake levels calculated with different food composition databases differed by 15% Using analysis data of cooked foods resulted in the lowest intake level 49.26 mg per day. Main sources of ascorbic acid investigated were Cheju mandarin orange juice and hard persimmon orange juice and Kimchi. Mean value of serum ascorbic acid level was 1.04 mg/dl and 4.2% of subjects were in marginal risk or deficient range. It was found to significantly correlate asscorbic acid intake with serum ascorbic acid conten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results calculated using analyzed data was higher than that using published data. Serum levels and mean daily intake levels of ascorbic acid in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ascorbic acid content of cooked foods should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Tables in Korea.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 lower risk of ascorbic acid deficiency.

  • PDF

전북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식품 기호도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Food Prefer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ollabukdo Area)

  • 장혜순;안연일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23
    • /
    • 2004
  •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and meal planning preference, Children's preference according to cooking method is high in fruit. drink, fried foods, dish food, but low in Sangchae, Sukchae, and Jangachies. The preference of staple food was that the most preferred foods were plain rice in rice, chicken gruel in gruels, rolled rice in one dish foods. and Jajangmyeon in noodles. The preference of side dishes was that the most preferred foods were seaweed in soups, Kimchi in Chigaes, beef and pork rib in steamed foods, beef in braised foods, Bulgogi in grilled foods, egg-fry in pan fried foods, Ddukbokki in stir-fried foods, pork cutlet in fried foods, Dotorimuk in Sangchaes, fruit in salads, bean sprouts in Sukchaes, Baechu Kimchi in Kimchies and Danmuji in Jangachies. The preference of snack was that the most preferred foods were citrus in fruits, Kkuldduk in rice cakes, hotdog in bread, ice cream in milk and dairy products and fruits juice in drink.

  • PDF

김치 유래의 내산성 유산균으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김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7-340
    • /
    • 2005
  • 전남 목포의 각 가정에서 담근 김치로부터 분리된 총 56균주의 유산균 중 14균주가 pH 2.5인 인공위액에 내성을 나타냈다. 이 내산성 유산균은 인공위액에서 2시간 배양할 경우, 초기 유산균수의 수 $10^9/mL$에서 유산균수가 $10^7{\sim}10^9/mL$의 범위를 나타냈다. 김치로부터 분리된 내산성 유산균 AK 3, AK 7, BK 28 그리고 DK 37균주들은 초기 생균수에 비해 인공위액에서 2시간 진탕 후의 생균수가 감소하였지만, 그 생존율이 59-77%를 나타나 다른 유산균에 비해 인공위액에 대해 비교적 높은 내성을 나타냈다. 내산성 유산균으로 배양한 요구르트 5종류는 전체적으로 pH는 $3.78{\sim}4.32$ 사이였으며, 산도는 $0.96{\sim}1.41%$, 그리고 점도는 $1,659{\sim}2,348cps$로 나타났다. 요구르트의 유산균 생균수는 $1.1{\times}10^9{\sim}2.1{\times}10^9\;cfu/mL$의 범위를 나타냈다. 내산성 유산균 BK 28이 다른 균주에 비해 pH 3.78, 산도는 1.41%를 나타내었고 점도가 2,348 cps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성 유산균의 ${\beta}-galactosidase$ 활성은 경시적으로 효소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48시간에 최고의 활성도를 나타냈지만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ytotoxic, Antioxidative,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Dolsan Leaf Mustard Juic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Yoo Eun-Jeong;Lim Hyun-Soo;Park Kyung-Ok;Choi Myeong-Ra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60-66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know whether there is any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J which is inocula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olsan leaf mustard Kimchi (DLMK) at $20^{\circ}C$. In the optimum ripening period, the population of Leuconostoc and Lactobacilli in the DLMK were found to be high. The Leuconostoc, Lactobacilli and Lactococci strains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nostoc gelidum, Weissella confusa,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affinolactis, Lactococcus lactis and Weissella confusa using the Biolog system. The most predominant strain which was isolated from DLMK was Weissella confusa. As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sequence, the Weissella confusa turned out to be Weissella kimchii, with 99.0% similarity. To investigated the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J by lactic acid bacteria, 7 predominant strains inoculated to DLMJ (Dolsan Leaf Mustard Juice). The cytotoxicity was found to be under $19.55\%$ all cases. Also,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was very low, which might have been due to the reduced antioxidative phytochemic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sterile sample. The ACE inhibiting activity of DLMJ by inoculation with Weissella kimchii was shown to be the highest ($94.0\%$). This could be that the degradation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LMJ by Weissella kimchii gave rise to ACE inhibiting activity.

Chitosan-Ascorbate 함유 동해심해수로 담근 물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Prepared Using Eastern Deep Seawater Added with Chitosan-Ascorbate)

  • 이예경;신경옥;노흥균;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50-1458
    • /
    • 2005
  • 우리나라 동해심해수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chitosan-ascorbate(CA) $0.1\%$를 함유하는 동해심 해수로 담근 물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물김치 제조는 담금 용수로 mineral salt $1\%$ 함유 증류수(DW), 염도 $1\%$ 동해심 해수(ED), DW+CA(DW-CA) 및 ED + EA(ED-CA)로 구분하여 $10^{\circ}C$에서 12일간 숙성시켰다. 그 결과, ED-CA는 물김치 숙성시 pH의 감소와 산도의 증가를 상당히 지연시키며, 총균수를 감소시키면서 젖산균비율을 높여 위생성을 증진시키며, 항산화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탁도를 감소시켜 국물을 맑고 투명하게 유지하며, 김치 조직의 연화현상을 막아 경도유지와 조직의 알코올 불용성 물질의 용출을 지연시키며, 종합적 기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물김치 담금용수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혼합염 및 키위주스 침지와 조리 방법에 따른 돈육등심 가공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ation with Mixed Salt and Kiwi Juice and Cook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Pork Loin-Based Processed Meat Product)

  • 김일석;장애라;진상근;이무하;조철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7-222
    • /
    • 2008
  • 돼지고기 등심에 혼합염(NaCl, $CaCl_2$ 및 인산염 각각 육 중량 대비 0.5, 0.5 및 0.3%(w/w))과 키위즙(육 중량 대비 10%(v/w))을 넣지 않은 것을 T1, 혼합염만 넣은 것을 T2, 키위즙만 첨가한 처리구를 T3, 키위즙 및 혼합염을 모두 첨가한 처리구를 T4로 하고, 이때 혼합염은 육중량의 10%(v/w)의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냉장 상태로 24시간 동안 각 처리구별로 침지한 돈육 등심을 조리조건 형태별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김치볶음 형태의 돈육 등심의 pH는 5.60 내외로 조리 방법 간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pan broiling은 돈육 등심의 pH가 $6.02{\sim}6.16$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Simmering의 경우 키위즙을 첨가한 돈육의 pH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전단력에 있어서 김치볶음의 경우, 무 처리구와 비교시 혼합염과 키위즙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낮은 전단력을 보여 연도가 개선됨을 나타내었다(p<0.01). Pan broiling한 경우 무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혼합염과 키위즙이 첨가된 처리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Simmering의 경우 혼합염을 첨가하였을 때(p<0.001) 낮은 전단력을 보였다. 보수력은 김치볶음 형태와 simmering 처리군의 보수력이 무처리군보다 낮아서 첨가된 김치와 양념혼합물 또는 볶음 방법이 혼합염과 키위즙의 돈육 품질 증진 효과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pan broiling한 돈육 등심은 키위즙과 혼합염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보수력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은 김치볶음 형태로 조리한 등심의 경우, 냄새에서만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첨가된 김치와 양념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p<0.001). Pan broiling 방법으로 조리한 등심은 풍미와 기호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p<0.05, p<0.01), 혼합염과 키위즙 처리구(T4)가 가장 좋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Simmering의 방법으로 조리한 등심의 척도묘사 분석결과 냄새, 풍미는 T3에서, 다즙성은 T4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종합적 기호성에는 T4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simmering 방법의 경우 종합적 기호성은 냄새, 풍미보다는 입에서 느껴지는 식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비선호 부위인 돈육 등심의 조리 식품 등으로의 원료육 활용 등 이용 증진을 위해 김치볶음 형태의 조리법에서는 돈육 등심에 10% 키위즙만 첨가하고(T3), pan broiling 방법과 simmering 방법의(p>0.05) 경우는 혼합염과 키위즙을 함께 첨가하여(T4)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listerial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Kim, Jo-Min;Kim, Ki-Hwan;Kim, Song-Yi;Park, Young-Seo;Seo, Min-Jae;Yoon, Sung-S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3-508
    • /
    • 2005
  • Screening for antilisterial activity was performed in about three thousand isolate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Chinese cabbage kimchi, and finally based on the relatively stronger antilisterial activities eight bacterial strains were selected. The bacteria were further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ir tolerance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bile salts (0.3% oxgall), and to the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Of the isolates, YK005 was especially investigated for 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it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Listeria monocytogenes as well as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O157:H7, as they have been constantly reported to be resistant against bacteriocins produced by a number of LAB strains. YK005 was found to be rod-shaped, $3.8\;{\mu}m$ long ${\times}\;0.5\;{\mu}m$ wide, non-sporeforming, non-motile, catalase-negative, and produced gas from glucose (heterolactic). Based on the biochemical data obtained by API 50 CHL medium, the isolate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To validate the result obtained by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rRNA-based PCR experiments using a pair of species-specific primers for L. brevis were conducted and a single band of 1400 bp was observed, which strongly indicated that YK005 belongs to L. brevis. The LAB isolates are potentially exploited as human probiotic organisms and are employed to control some food-borne pathogens like L. monocyto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