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lled bacteria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5초

녹차추출물의 잇몸 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염증 효능 연구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Against Prevotella intermedia)

  • 민대진;이성원;이성훈;김승섭;김찬호;이존환;배지현;김한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7-73
    • /
    • 2011
  • 치아의 세균들은 잇몸에서 염증반응을 일으켜서 치은염과 치주염같은 잇몸 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잇몸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치아 세균에 의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현재 대부분의 구강 관리 제품들은 살균제를 이용하여 구강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심지어 열처리로 사멸된 구강 세균도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잇몸 염증반응억제를 위해서는 살균제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아직까지 구강 세균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의 기작과 효과적인 천연 염증 억제 물질들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치은염, 치주염 유발세균인 Prevotella intermedia와 인간의 잇몸상피세포를 이용하여, 실제로 잇몸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의 기작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천연 잇몸 염증 완화 물질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실험 결과, Prevotella intermedia는 잇몸상피세포를 자극하여 염증매개인자인 IL-8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잇몸 염증반응을 개시하였다. 또한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은 기전적으로 COX-2, AP-1, TNF-${\alpha}$와 연관되어 있었으며, 녹차추출물은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아 세균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의 기전 연구를 통해서 효과적인 천연 잇몸질환 개선 물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산양유 Kefir 발효물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efir Made of Goat Milk)

  • 임영순;김수영;이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2-90
    • /
    • 2008
  • Kefir 분말제품으로부터 점질물 생성에 관여하는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분리균의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국산 산양유 kefir제품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우수한 점질 생성특성을 갖는 2개 균주를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과 16S rDNA염기서열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 각 균주는 99% 이상의 상동성으로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LFG-1)과 Lc. lactis subsp. lactis(LFG-2)로 동정되었다.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LFG-1의 최적 생장온도는 $40-45^{\circ}C$, 최적온도에서 대수기의 세대시간은 40.6분이었고, $37^{\circ}C$에서 배양 24시간 후 최종 pH는 4.30으로, 상업균주인 Str. thermophilus Body-1의 pH 4.55보다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LFG-1의 단백질 응고력은 상업균주와 같이 높은 응고력을 보였으나, Lc. lactis subsp. lactis(LFG-2)는 낮은 응고력을 보였다. 모든 균주들은 0.3% bile extract 첨가조건에서 22-29%의 내담즙성을 나타내었고, pH 3.0 이하에서는 대부분 사멸하는 약한 내산성을 보였으나 pH 4.5에서는 생장이 양호하여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유 제품용 스타터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였다.

해양 플랑크톤 군집의 전기분해 염소소독 효과 (The Electrochemical Chlorination for Marine Plankton Community Disinfection)

  • 강정훈;신경순;현봉길;장민철;김은찬;장만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7-137
    • /
    • 2007
  • 전기분해 염소소독기로 처리한 결과가 국제해사기구의 협약에서 제시한 생물처리 기준(D-2 regulation)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10-50\;{\mu}m$) 및 동물플랑크톤($>50\;{\mu}m$)의 사멸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조건은 대조구와 잔류염소농도 10 ppm(Expt. 1)과 30 ppm(Expt. 2)을 실험구로 설정하였고, 시험수를 $23.8\;m^3/hr$의 속도로 전기분해염소독기에 통과시켰다. 시험수의 생물조건은 국제해사기구에서 작성된 선박 평형수 관리 장치의 승인을 위한 지침서에서 제시한 기준을 따랐다. 식물플랑크톤의 생사판별은 광학현미경, 형광현미경 및 형광측정기(Turner Designs 10-AU)를 이용하여 확인되었다. 두 농도 조건(10 ppm, 30 ppm)의 처리수에서 운동성이 있는 식물플랑크톤은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았고, 형광현미경 하에서 엽록소 형광색이 적색에서 녹색으로 바뀌었으며, 형광값은 고농도(Expt. 1: 6.95, Expt. 2: 7.11)에서 0으로 바뀌었다.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활성이 상실되어 모두 사멸되었음을 의미한다. 동물플랑크톤의 생사판별은 해부현미경하에서 부속지의 움직임을 토대로 결정되었다. 전기분해 염소소독기 처리 후 해양환경에서 채집되어 농축된 자연군집 동물플랑크톤은 모두 사멸되었으나, 일부 Artemia가 생존하였다. 그러나 각 잔류염소 농도조건의 암소에서 노출시킨 지 24시간 뒤에는 모든 동물플랑크톤이 사멸되었다. 박테리아는 Petrifilm plates($3M^{TM}$)를 이용한 접종배양법으로 처리수의 총 세균, 대장균 군 및 대장균의 사멸효과를 확인한 결과, 균주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염소농도 조건의 처리수에서 추가적으로 노출시킨 5일 동안 세 그룹의 생물에서 재성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세 그룹의 생물에 대한 전기분해염소소독기 처리결과가 국제해사기구에서 제정한 선박 평형수 배출기준을 만족시켰음을 보여주었다.

  • PDF

가열살균한 Lactobacillus rhamnosu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yophilize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대원;양대혁;김선영;김광수;정명준;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9-74
    • /
    • 2009
  • 유산균은 사람의 장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는 배지에서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균주 Lactobacillus rhamnosus CBT 1702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BT 1209를 screening하였다. 이 균주들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보았다.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이 함유된 MRS배지에서 콜레스테롤을 동화, 담즙산을 탈결합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렛트에게 이들 균주를 혼합식이하여 콜레스테롤 제거능 정도를 보았다. 실험은 대조군, 고콜레스테롤군(HCD군), 고콜레스테롤에 생균첨가군(LLAB 군)과 고콜레스테롤에 가열살균 균 첨가군(HKLAB)으로 하였다. 그 결과 LLAB군과 HKLAB군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HCD군에 비하여 각각 35%, 40%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특히 HKLAB군은 HCD군 및 LLAB군과 비교하여 HDL-C를 약 20%씩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LDL-C를 각각 60%, 20%정도 씩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동맥 경화지수인 AI와 심장위험인자 CRF를 비교하였을 때 LLAB 군과 HKLAB군은 HCD군 대비 각각 1.5배, 2배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HKLAB군은 LLAB군에 비해 AI는 30% 유의적으로 낮고 CRF도 24%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년 CBT 1702와 Lactobacillus plantarum CBT 1209는 고지혈 랫트의 AI와 CRF값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심장질환의 가능성을 감소시켰으며 이의 가열살균 균체는 이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증상을 개선시키는 유용한 기능성 원료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광어(Paralichtys olivaceus)의 스쿠치카감염증(感染症) -스쿠치카섬모충(纖毛蟲)의 배양성상(培養性状).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병원성(病源性)-

  • 길수 수;일향진일;오 명주;생도삼내자;목촌교구;삼 립성;야촌철일;회면량남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5-218
    • /
    • 1993
  • On the development of hirame(Paratichtys olivaceus) culture, outbreak of scuticociliata infection was reported to cause severe damage in Japan. To establish effective measures for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this ciliate, we tried to culture this pathogenic ciliate using medium for bacteria and fish cell lines in vitro. Scuticociliata from the brain tissues of infected fish was aseptically inoculated to CHSE-214 cells cultured in MEM-10 without antibiotic. Scuticociliata grew well and the number of ciliate reached $10^6\;cells/ml$ at temperatures of $15^{\circ}C$ to $20^{\circ}C$ for 10d. The number of ciliate cultured in the cell lines is 10 times higher than the numbers cultured in the liquid medium alone. This ciliata could be cloned by dilution method. Scuticociliata isolated could grow well on 42 different cell lines that were established from marine fish, warm freshwater fish, and salmonids. This ciliate could be preserved in liquid nitrogen for more than 6 months. Subsequently, we observed the optimal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growth, and tested the sensitivities of this organism to formaldehyde, flagyl(Metronidazole), Ekuteshin(Combination compound of sulfamonometoxin and ormethoprim), and ozonixation. Optimal temperature for growth was $25^{\circ}C$ and salinity was 1.0 to 1.5%. Washed scuticociliata was killed by formaldehyde at the concentration of 50ppm for 10min, but was not completely killed even at a high concentration of 400ppm for 20min in MEM-5. Flagyl and Ekuteshin can inhibit the growth of scuticociliata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and $100{\mu}g/ml$ in MEM-10, respectively. More than 99% of this scuticociliata could be killed by ozonization at a dose equivalent to $1.0mg/\ell$ oxidant for 30sec in sea water. Isolated scuticociliata showed the pathogenicity to the cultured hirame by artificial infection(I. P. injection, $10^5\;cells$/fish). The number of scuticociliata in the water could be counted by most probable number(MPN) method using tissue culture, and the minimum detectable number was $1.8\;cells/\ell$. The number in the reservoir tank for water supply to the culture tank was 110 cells/l. After cleaning by elimination of the sediments from of the reservoir tank and disinfected with formaldehyde, number of scuticociliata decreased and was counted less than $1.8\;cells/\ell$ and infection rate of cultured hirame was decreased.

  • PDF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세균과 Candida alicans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s of Ozonized Olive Oil Against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 정경태;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3-230
    • /
    • 2019
  • 오존은 박테리아, 원생동물, 효모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는 기체 분자이다. 그러나 오존 가스는 대기 중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최근에 오존을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물성 오일을 활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존은 지방산의 C-C 이중 결합과 반응하여 오존화된 오일로 전환 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오존 처리된 오일의 지방산 내에서 오각형 고리 구조화합물인 오조나이드가 생성된다. 이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여 오존 처리된 오일이 4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에 대해 중요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는 가설을 연구하였다. 오존화 올리브 오일을 4 가지 피부 감염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2),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장내 세균인 Escherichia coli에 처리하였다. 항미생물 활성은 미국 국립 임상 실험 표준위원회 방법(National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USA)에 따른 disk 확산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C)는 S. aureus에 대해 0.25 mg, S. epidermidis에 대해 0.5 mg, P. aeruginosa에 대해 3.0 mg 및 E. coli에 대해 1.0 mg로 나타나 오존화 올리브 오일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 aureus와 MRSA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MRSA에서 오존화된 올리브 오일이 S. aureus보다 더 민감하게 작용하였으며, 진균인 C. albicans는 한 시간 이내에 사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이 강력한 항미생물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초제 Paraquat의 미생물 생육저해 작용 (Inhibition of Micobial Growth by Paraquat)

  • 김미림;박찬성;최경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283-288
    • /
    • 1995
  • 시판 농약류의 미생물에 대한 독성을 검정한 결과 제초제인 paraquat(1,1'-dimethyl-4,4'-bipyridylium dichloride)가 편성혐기성 세균을 제외한 세균류와 효모 및 곰팡이에 걸치는 광범위한 미생물의 증식을 저해하였다. Paraquat는 $1.0\;{\mu}M$(0.186ppm)의 농도에서도 공시균(Escherichia coli KCTC 1039)의 turbidometric growth를 지연시켰으나, 생균수 변화 및 well test 등의 결과로부터 공시균에 대한 paraquat의 생육저지 최소 농도는 1.0mM(186ppm)로 평가되었다. Paraquat 처리시 공시균의 생균수는 처리직후에 대조구의 약 50%로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이후 4시간 동안 1.0mM의 paraquat 존재하에서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처리 4시간 이후로는 생균수가 서서히 감소되었으며 계속된 배양에도 불구하고 재증식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 PDF

삼염화이소시아눌산, 브룸염화히단토인, 및 칼슘하이포클로라이트의 농도 및 접촉시간에 따른 미생물 사멸특성 (Comparative Characterization on Bacterial Disinfection Using Trichloroisocyanuric Acid, Bromochlorodimethylhydantoin, and Calcium Hypochlorite)

  • 오세현;유현덕;이한나;김응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4-338
    • /
    • 2007
  • 유기 염소계 소독제인 삼염화이소시아눌산(trichloroisocyanuric acid)에 의한 다양한 미생물의 사멸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장균, 고초균, 포도상구균, 레지오넬라균, 수도모나스균 등을 각각 증류수에 부유시킨 후, 접촉시간과 소독제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사멸률을 측정하였다. 삼염화이소시아눌산 8 ppm 수용액 하에서 미생물 99%의 사멸률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장균 60초, 수도모나스균 368초, 포도상구균 372초, 고초균 506초, 레지오넬라균 812초 순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대장균 사멸률 99%에 도달하기 위한 같은 농도(8 ppm) 세 종류의 소독제 접촉시간은 삼염화이소시아눌산 60초, 단토브롬(BCDMH, Bromochlorodimethylhydantoin) 114초, 칼슘하이포(calcium hypochlorite) 7,100초 순으로, 대장균에 대한 삼염화이소시아눌산의 소독력이 가장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염소계 소독제에 의한 사멸특성이 미생물 종 특이적이며 또한 소독제의 종류, 농도, 접촉시간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측정됨을 제시하고있다.

Lipoteichoic Acid Isolated from Weissella cibaria Increases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Monocyte-Like THP-1 Cells and Mouse Splenocytes

  • Hong, Yi-Fan;Lee, Yoon-Doo;Park, Jae-Yeon;Kim, Seongjae;Lee, Youn-Woo;Jeon, Boram;Jagdish, Deepa;Kim, Hangeun;Chung, Dae K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7호
    • /
    • pp.1198-1205
    • /
    • 2016
  •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beneficial effects on intestinal health and skin diseases. Lipoteichoic acid (LTA), a cell wall component of gram-positive bacteria, is known to induce the production of several cytokines such as TNF-α, IL-1β, and IL-8 and affect the intestinal microflora, anti-aging, sepsis, and cholesterol level. In this study, Weissella cibaria was isolated from Indian dairy products, and we examined its immune-enhancing effects. Live and heat-killed W. cibaria did not induce the secretion of immune-related cytokines, whereas LTA isolated from W. cibaria (cLT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cretion of TNF-α, IL-1β, and IL-6 in a dose-dependent manner. cLTA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c-Jun N-terminal kinases in THP-1 cells. The secretion of TNF-α and IL-6 was also increased in the cLTA-treated mouse splen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TA, but not W. cibaria whole cells, has immune-boosting potential and can be used to treat immunosuppression diseases.

Antimicrobial Effects of a Hexapetide KCM21 against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DC3000 and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 Choi, Jeahyuk;Baek, Kwang-Hyun;Moon, Eunpy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245-253
    • /
    • 2014
  • Antimicrobial peptides (AMPs) are small but effective cationic peptides with variable length. In previous study, four hexapeptides were identified tha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bacteria. KCM21,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peptide, was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to understand its modes of action by monitoring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cations, time-dependent antimicrobial kinetics, and observing cell disruption by electron microscopy. The effects of KCM21 on Gram-negative strain,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DC3000 and Gram-positive strain,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were compared. Treatment with divalent cations such as $Ca^{2+}$ and $Mg^{2+}$ inhibited the bactericidal activities of KCM21 significantly against P. syringae pv. tomato DC3000. The bactericidal kinetic study showed that KCM21 killed both bacteria rapidly and the process was faster against C.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The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that KCM21 induced the formation of micelles and blebs on the surface of P. syringae pv. tomato DC3000 cells, while it caused cell rupture against C.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cells. The outer membrane alteration and higher sensitivity to $Ca^{2+}$ suggest that KCM21 interact with the outer membrane of P. syringae pv. tomato DC3000 cells during the process of killing, but not with C.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cells that lack outer membrane. Considering that both strains had similar sensitivity to KCM21 in LB medium, outer membrane could not be the main target of KCM21, instead common compartments such as cytoplasmic membrane or internal macromolecules might be a possible target(s) of KCM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