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competencie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2초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Analyzing the Levels of Vocational key competencies Required by Radiological Technologist Job Description in Blind Hiring process)

  • 장현철;이명화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03-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8년 11월 19일에서 11월 30일까지 S 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 총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결과 대인관계능력이 2학년 71.2점, 3학년 74.9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이 2학년과 3학년에서 낮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갈등관리 능력이 3학년 80.5점, 2학년 7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개발 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자아인식능력이 3학년 74.8점, 2학년 7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개발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 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는 임상과 잘 연계된 맞춤형 정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비정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사선사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STEAM 교육의 핵심역량 조사도구 개발 (Developmental Study of an Instrument for STEAM Education Key Competencies)

  • 박현주;심재호;김어진;함형인;이영태;이지애;권혁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2호
    • /
    • pp.258-269
    • /
    • 2019
  • 이 연구는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STEAM 교육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는 'STEAM 교육 핵심역량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STEAM 교육과 관련된 국내 외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반성적 재검토와 외부 전문가의 검증을 통하여 조사도구의 초안이 완성하였다. 개발된 조사도구는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신뢰도 확인과 확인적 요인 분석과 같은 통계 분석을 통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조사도구의 문항은 융합(7문항), 창의(11문항), 도전(5문항), 배려(9문항)의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요인별 Cronbach's ${\alpha}$값은 .849에서 .929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조사도구는 STEAM 교육의 효과를 학생의 핵심역량 관점에서 조사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해운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A Study on the Level of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철;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202-121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ility level of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F&M) high school students using F&M basic skills scal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level was analyzed with the Fisheries and Maritime ability scale, comparing each grade level & department.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literature and research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collecting preliminary data from 1,113 F&M high school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This survey of 46 questions was used to measure for F&M ability scale-divided into 6 areas-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management & utilization marine life and marine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F&M high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consciousness was higher,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were middle, management & utilization marine life was lower. Second, in the grade level, 5 competencies(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nagement & utilization life and marine consciousness) were not different, but 2 Grade was higher than 1 Grade in th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Third, comparing F&M department, Maritime department were higher than fisheries in 5 competencies. But, fisheries department was higher than maritime in the management & utilization life competencies.

영유아 가정방문간호를 위한 간호사의 역량 (Competencies of Nurses in a Maternal Early Childhood Sustained Home-Visiting Program)

  • 이지윤;전경자;조성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7-409
    • /
    • 2017
  • Purpose: Competency is a key foundation of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and a baseline element of nursing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of community health nurses in a maternal early childhood sustained home-visiting program based on nurses' field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 nurses who had more than 1 year of experience in this program. Reflective interviews were performed; lasting 1 hour per nurse, on August 18, 2016,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directed content analysis. Results: Twenty-four themes were extracted for 9 competencies. The major themes included implementing a long-term relationship-based approach, providing client-led service rather than expert-led service, helping mothers with psychosocial difficulties, and applying skills in a practical manner in the home environment.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a home-visiting program as part of maternal-early childhood nursing practice, nurses should develop competencies that help them make significant and positive interventions.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iculum for community health nurses should be changed to improve competencies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clients and to focus on the application of skills in specific cases and in clinical practice.

델파이 조사를 통한 영재교육 핵심역량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Core Competencies for Gifted Education Based on Delphi Technique)

  • 박혜진;차승봉;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19-328
    • /
    • 2021
  •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역량별 정의를 토대로 행동 요소 선정 및 척도 문항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선정한 후 각 역량의 정의가 역량명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1차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행동 요소로 표현하여 세부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태도와 실천의지, 의사소통과 협업, 정보처리와 도구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융합과 응용, 고등 추론, 공동체 의식, 학습성취지향의 8개 핵심역량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영재교육 핵심역량과 행동 요소를 선정하고, 역량 함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분석 (Identifying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STEM Occupations)

  • 장혜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81-792
    • /
    • 2018
  •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이 발전하고 산업이 분화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오랜 교육과 경력이 필요하므로 과학기술 직종에 필요한 역량에 기반을 두어 과학교육정책을 설계하고, 학습자가 가진 능력과 적성에 맞는 과학기술 진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 인력과 STEM 직종에 대한 정의를 탐색하고, 미국 노동부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표준 직업 정보($O^*NET$)를 사용하여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O^*NET$의 숙련, 지식, 직업 활동으로 구성된 총 109개의 지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은 STEM 문제해결 역량, 관리역량, 기술 역량, 사회 서비스 역량, 교육 역량, 설계 역량, 생물 화학 역량, 공공서비스 역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전체 분산의 70%를 설명한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직종의 다양성과 과학기술 직종에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어 중등 및 대학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목표를 설정하는데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개인의 적성에 맞는 개별화된 과학진로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Policy Suggestions for Fostering Teacher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An ODA Project Case in Peru

  • SO, Hyo-Jeong;SEO, Jongw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1권2호
    • /
    • pp.217-247
    • /
    • 2020
  • Many developing countries consider ICT as a key enabler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systems and teachers are viewed as change agents. This paper aims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concerning how to foster teachers'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e outcomes of an ODA project case in Peru.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stages: Literature survey, site visit, and policy suggestions. To draw relevant policy suggestions, we employed the framework of the 'macro-meso-micro'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discussed: (a) macro level: to develop the national framework of teacher ICT 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b) meso-level: to promote teacher communities of practices and school-based research programs, and (c) micro-level: to redesig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help teachers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beyond learning about basic ICT literacy skill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how ODA projects can approach the issue of teacher ICT capacity building at multiple levels.

자유학기제에 대한 도서관의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unterplan of Library to Free Learning Semester)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9-76
    • /
    • 2017
  • 자유학기제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과 진로교육 강화로 교육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의 이용,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 현황과 개선 방안, 그리고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학교도서관은 핵심역량 함양에 효과적인 교육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활용도는 매우 낮으며, 공공도서관의 학교 지원 프로그램은 외부 특강과 탐방에 치우쳐 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기에 미흡하다. 교육계가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의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교수, 학생을 연계하여 직업체험, 진로교육, 그리고 역량 함양을 아우르는 입체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공공도서관의 주도적 역할이 기대된다.

비즈니스 영어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의 유용성 탐색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in University Business English Classes)

  • 김부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91-103
    • /
    • 2015
  • 21세기가 요구하는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역량을 갖추게끔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은 대학의 의무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학과의 전공과목과 연계하여 다양한 역량이 배양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런 노력의 하나로 '비즈니스 영어' 전공과목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면서 인식하는 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평가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비즈니스 영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시키는 것의 유용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문제중심학습 상황에서 직업기초능력에 해당되는 핵심역량이 배양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비즈니스 전문지식 습득과 영어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끼쳐 학업성취에 있어서도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었다. 본 연구는 특수목적영어인 '비즈니스 영어'에 문제중심학습을 도입하여 학업성취와 더불어 다양한 핵심역량의 증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ey Promoting Tal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Utilizing Six Sigma MBB competency-

  • Kim, Kang Hee;Ree, Sang bok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77-69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at Six Sigma MBB should be used as a key talent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training them with big data processing capability.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between article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ix Sigma related papers, common competencies of data scientists and Six Sigma MBBs were identified and the big data analysis capabilities needed for Six Sigma MBB were derived. Then, training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big data analysis capabilities so that Six Sigma MBB is able to design algorithms requir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sults: Six Sigma MBBs, equipped with the knowledge in field site improvement and basic statistics, were provided with 40 hours of big data analysis training and then were made to design a big data algorithm.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after applying a AI algorithm which could forecast process defects in a field site. Conclusion: Six Sigma MBB equipped with big data capability will make the best talent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Six Sigma MBB has an excellent capability for improving field sites. Utilizing the competencies of MBB can be a key to succes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hared with many companies and many more improved case studies will aris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