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nior high school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9초

건강한 삶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PR Training for Healthy Life on CPR Performance Confidence to Middle School)

  • 국종원;박상규;박정제;김보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91-400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한 삶을 위하여 중학생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수행자신감의 차이가 있었다. 교육을 받기 전 남학생과 여학생의 자신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은 후 남, 여 학생 모두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에서 심폐소생술 수행 교육과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간의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인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최소 초등학생 고학년 이상의 연령 이후의 심폐소생술 교육은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 형성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심폐소생술 수행 교육자 연령이 낮을수록 주위에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망설임 없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자신감 형성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는 중학생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심폐소생술 교육 후의 평가방법 종류에 수행자신감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산지역 기숙사 고등학생들의 급식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of Foodservice in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Busan)

  • 윤나영;최희선;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33-1740
    • /
    • 2015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부산지역 4개교의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약 10일간 급식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기숙사 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 학생 중 각 끼니별 식사를 매일하는 학생은 아침 83.8%, 점심 96.9%, 저녁 93.6%이며, 아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매일 먹는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식사 섭취량은 '거의 다 먹는다'가 아침은 53.2%, 점심은 86.6%, 저녁은 87.5%이며, 아침과 저녁 섭취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점심 섭취량은 1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음식을 남기는 이유는 '싫어하는 음식이어서'(33.9%)와 '맛이 없어서'(23.5%)였다. 급식만족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4.04점이며, 음식 영역 3.95점, 서비스 영역 4.03점, 위생 영역 4.16점이었다. 성별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 평균 점수는 1학년이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음식 영역은 1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1)으로 높았으며, 서비스 영역은 1학년이 3학년보다 유의적으로(P<0.05)으로 높았다. 각 끼니별 만족도는 아침 3.15점, 점심 4.04점, 저녁 4.12점이며, 각 끼니에서는 아침과 저녁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학년별로는 1학년(4.03점)이 2학년(3.79점), 3학년(3.60점)보다 유의적으로(P<0.01) 높았다. 각 끼니별 선호 식단에서 아침은 한식 70.3%, 양식 16.0%, 점심은 한식 32.8%, 양식 35.6%, 중식 11.5%, 저녁은 한식 35.9%, 양식 32.8%, 일품식 14.0%였다. 남학생의 아침 선호 식단은 한식 60.7%, 양식 20.7%, 여학생은 한식 76.5%, 양식 12.9%이며 유의적(P<0.01) 차이를 보였는데, 점심과 저녁의 경우 남학생은 한식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점심에 양식을 선호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학년별로는 3학년이 매끼 식사에서 한식을 더 선호한 반면, 1학년은 점심식사에서 한식보다 양식을 더 선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숙학생들의 급식섭취 횟수를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선호 식단 고려, 급식실의 위생적 관리, 메뉴의 다양성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전통음식의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 이영남;신민자;김복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81
    • /
    • 1991
  • This study was surveyed the Preference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 500 wives residing in Seoul, Kyngkee, Kangwon region, and 150 cookers of Korean Restaurants in Kyugin region were sampled random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food was 53.5% in more ${\ulcorner}$excellent than that of overseas${\lrcorner}$, 59.8% in ${\ulcorner}$excellent and delicious${\lrcorner}$, 78% in ${\ulcorner}$the need for the partial development of fastfood${\lrcorner}$. 2. The present viewpoint of traditional food was 78.7% in preference for korean food, 81.3% in preference for boiled rice and podrridge at breakfast, Soy-Sauce and Kimchi of home-making was highly marked in 65.9, 96.1% respectively. The kinds of traditional food descended to home were rice cake (dduk), shikke, kimchi, stuffed bun (mandu), fruit punch in the order named. Korean kookies and beverage were preferred, but they were very difficult in making at home. Therefore 50.8% of the answered bought them at market. The preferred korean kookies and beverage were shikke, yakgwa, sujunggwa, gangjung, fruit Punch in the order named. 3. When dined out, 65.6% of the people made much of ${\ulcorner}preference{\lrcorner}$. In the case of few side dishes, 34.1% answered using fast food. 4. ${\ulcorner}Preferrence{\lrcorner}$ for boild rice and podrridge was generally high, but ${\ulcorner}frequency{\lrcorner}$ was low. Both ${\ulcorner}preference{\lrcorner}$ and ${\ulcorner}frequency{\lrcorner}$ of sauce and stew were high. ${\ulcorner}Preference{\lrcorner}$ for traditional beverage was low on the whole. Therefore we must activate the unknown kinds of traditional beverage earnestly. 5. The need of education about the traditional food at home & school was very high. 6. The answers of the cookers in Korean Restaurants could be summarized as; 1) The Korean traditional food was relatively excellent (54.3%). 2) The taste of food ought to be shown food stuffs property (65.8%). 3)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s, the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enforced.

  • PDF

경남지역 일부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 업무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Care Activities of Some Industrial Nurse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Kyungnam Area)

  • 김영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호
    • /
    • pp.48-5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role and function of some industrial nurses and to characteri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ir activities. Thus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s nurses' activities effectively. During a period from January 10 to March 31, 1994,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7 industrial nurses, who were working as health managers in the plants, in Ulsan city and the vicinity in Kyungnam provinc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nurses in this study were 82.8% being 30 years old or less, 60.9%, being not married, and 93.1% having eduction levels above junior college. 2. With respect to general work conditions, 94.3% were working in a separate room provided for health care division, 40.2% working under the safety and health department, and 98.9% working as common-level staffs. And 60.9% were working less than 44 hours a week, 70.1% had work experiences less than 5 years, and 50.6% had annual incomes ranging 10 to 14 million wons. 3. As work conditions related to health care activities, 49.4% performed the activities not related to health care as always or occasionally, and 87.4% answered that occupational physicians were appointed in their plant and among them, however, only 6.9% worked on full-time basis and 52.8% perform little activities as occupational physicians. For a decision related to health care activity, 69.0% discussed the problems with the supervisors, and 19.5% made decisions by themselves. 4. As for attitude and perception to their activities as health managers, 66.7% moderate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health manager in the workplace, with 63.2% being satisfied their wages and treatment from the company, 57.5% being satisfied with their job positions and 51.7% having positive attitudes as being health managers. 5. The degree of performance at least in one of health related activities were very high in activities such as general medical care(100%), general health examination(98.0%) and specific health examination(100%), and relatively high in health education(72%), new employee health examination(60.9%), document handling(79.3%) and activity for work environment(70.1%). However, the performance rate was very low in preparing protective equipment (20.8%). 6. The levels of activities related to health car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making decisions by themselves, when occupational physicians not being full-time, and when satisfying their job positions, and,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ly decreased as work hours increased. 7. In addition to some kinds of periodic education asked by all of the nurses, 89.7% wanted a specialized licensing system for industrial nurse, and 97.4% wanted to apply for the license test. As a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ndustrial nurses should be given more authority and placed in more self-controlled system to perform health care and other activities more efficiently,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occupational physician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industrial nurse as a health manager to avoid an unnecessary overlapping.

  • PDF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Temperament and Character of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 최민경;이행은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89-107
    • /
    • 2013
  •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최근 새롭게 떠오른 분야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의 선천적 특성과 후천적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표준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과 2011년 두 해에 걸쳐 특허청 및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선발 육성하는 '지식재산기반 차세대영재기업인'으로 선발된 중학생과 고등학생 총 246명의 JTCI 수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업영재는 모든 기질 및 성격 척도에서 동일 학교급의 일반 청소년집단과 구분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업영재의 표준적 특성으로 기질적 낙천성과 성격적 성숙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영재는 기질적인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하는 등 적응적인 측면에서도 일반 청소년들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기업영재는 과학영재집단 및 성적우수집단, 그리고 고지능집단과도 차별화됨으로써 하나의 독특한 영재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기업영재 및 창의적 인재 개발 분야에서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용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ress Level of Workers in Beauty Shops)

  • 김성우;남철현;이명선;최연희;곽형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9-15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o causes and symptoms of stress and factors influencing stress management of workers in beauty shops. 811 people who were working in the shops located in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0, 2000 to July 10,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emale was 90.8%. 42.1 % of them was in their twenties and 73.7% of them did not marry. 57.5% of the respondents grew up in big cities and 41.1% had no religion. 63.6% was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44.6% of them worked for below I year and 33.9% earned below four hundred and ninety thousand won per month. 55.8% of them was satisfied with their work aptitude, while 34.2% was not satisfied with it. In the case of satisfaction level with working environment, ‘common level’ was 46.3%, while 12.8% of them was unsatisfied with it. In the case of stress level by factors of stress related to working, male was higher (9.34 $\pm$ 2.38 points). Those who grew up in towns or villages and those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 showed high stress level. Those who married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lso displayed high stress level. It also appeared that monthly income influenced the stress level related to working.. The extent of stress level influencing physical causes appeared in order of health condition, education level, sex,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aptitude, economic status, and working hours. The extent of stress level influencing whole organizational level appeared in order of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aptitude, working hours, education level, health condition, and sex. The extent of stress factors influencing depressed feeling of stress symptom appeared in order of working hours, sex, amount of smoking, absence due to stress, age, health condition, and education level. The extent of influencing factors on active stress management appeared in order of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aptitude, health condition, size of the shop, drinking, sex, and the number of day off. The extent of influencing factors on avoidable stress management appeared in order of age, absence due to stress, drinking, health condition, and sex.

국민학교 학도의 구강보건 관리 및 지식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The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Pupils' care and knowledge of dental hygiene -Centering the rural area around Booan-kun Chollabuk-do-)

  • 강성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7-88
    • /
    • 1988
  • The survey, which was examined analysed of the knowledge level and the actual condition of care for dental hygiene and the situation of dental remedy, surveying over 1974 pupils of eight elementary schools, especially the 4th, the 5th and the 6th school year, ca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 1. The knowledge level of the pupils' dental hygiene was generally low but considerably high in upper school tear. 2. The rate of the boys who brushed their teeth every day was 61.8% among the boys, 68.5% among the girls. And the rate that they brushed their teeth before breakfast was yet 18.4%. 3. 45.1% of the boys and 60.4% of the gils used vertical technic using their toothbrush. 4. The rate of the boys who have ever suffered from toothache was 65.3%, that of the gils was 64.0%. And the eate of the boys who admitted to the remedy was 69.9%, that of the girls was 77.8%. 5. The rate of the boys who experienced the dental remedy was 43.0%, theat of the girls was 45.9%. In the place of the renedy, 46.4% of the boys and 45.7% of the girls cured at the Private Dental Clinic, 26.9% of the boys and 28.6% of the girls cured a Public Health Center. 6. The rate of the bous who had their teeth treated soon after dentist's advice was 34.4% that of the girls was 35.0%. 11.7% of the boys and 12.1% of the girls who would not have their teeth treated thought it was not just a serious disese. 7. 72.6% of the boys and 73.2% of the girls understood the notion of dental caries, and 96.4% of the boys and 97.3% of the girls understood the notion of the food makes a tooth decayed. 8. 54.3% of the boys and 47.5% of the girls knew the periodontal disease, and 18.3% of the boys and 17.0% of the girls knew the reason of the periodontal disease. 9. 86.0% of the boys and 86.7% of the girls recognized that the prevention against dental carise and periodontal disease should be taken. 10. 31.7% of the boys and 28.5% of the girls have experienced the prevention agains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 PDF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의 효과 - 교육가능 정신지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 (EFFECTS OF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S TRAINING ON ADOLESC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 오경자;이미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100-10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Spivack와 Shure(1982)의 국민학생용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학생들의 능력 및 특성에 맞도록 수정, 압축하여, 이를 교육가능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8주간 총 32회(1회 $30{\sim}35$분)에 걸쳐 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정신지체 학생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정신지체 학생보다 훈련 전에 비해 대안적 사고 능력과 결과적 사고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모에 의한 행동평가(CBCL) 및 교사에 의한 행동 평가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이 실제 문제해결 기술능력 가운데 중요한 인지기제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으나, 이러한 인지기제의 유의미한 향상이 짧은 훈련 기간 등의 문제로 인하여 행동상의 적응으로는 연결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훈련기간을 길게 하여 과잉학습을 충분히 시키고, 부모 훈련을 함께 실시하며, 행동적 접근을 병행한다면 대인관계 기술훈련의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고, 그 효과가 지속되며 실제 생활 장면에서 일반화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 PDF

중학생의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A DESIGNING HEALTH EDUCATION PROGRAM -Cigarette Smoking and Health for Junior High School-)

  • 이경자
    • 대한간호
    • /
    • 제22권1호통권119호
    • /
    • pp.47-64
    • /
    • 1983
  • 간호원은 비록 그가 양호교사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가 처한 위치에서 거의 매일 건강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비정규직 교육은 상황에 따라 간호활동의 대상자들에게 수시로 별 준비 없이 실시한 경우도 있겠으나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체계적인 보건교육은 구체적인 학습목적과 교육과정이 교육적으로 미리 계획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양호교사의 기본적인 역할이 학교 구성원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있으며 효율적인 건강교육을 통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고 할 때, 양호교사는 자신을 그 학교공동체의 주된 건강교육자로 이해하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보건교육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여야만 한다. 그러한 역할중의 하나는 보건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는 학과목 교사나 담임교사들이 건강교육에 관련한 협의를 양호교사에게 요청하도록 적극적인 건강교육환경을 학교 내에 조성하여야 하는 일과 중요한 건강주제에 대하여서는 양호교사가 직접 수업을 교실에서 이끌어야 하는 것일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룬 보건교육 교안 연구는 양호교사에게 또 건강에 관한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하는 일반교사에게 중학생의 건강교육 과정의 한 모델로써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질병예방, 건강증진에 초점을 두어 설계한다고 할 때 건강교육의 주된 방향은 대상자 하나 하나의 생활에서 건강을 위한 바람직한 행위를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학교에서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건강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그 지식 위에 건강을 위한 바람직한 행위를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그러한 행위를 지속하도록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가지게 되면, 행위는, 그것에 상응하여 바람직하게 행할 것이라고 가정하기가 쉽다. 그리하여 건강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 건강교육을 했다고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건강을 위한 정보를 받고 지식을 가졌다 하더라도 바람직한 행위를 실천하지 않거나, 습관된 반건강 행위를 바꾸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건강한 행위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가 먼저 분명하게 세워져야 한다. 학생들의 경우에도 그 가치관이 확립되어야 하겠으므로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제시된 교육안 모델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건강문제에 대한 태도의 확립과 그에 따른 올바른 행위를 실천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치밀하게 계획된 건강교육 안이 연구되어 지는 것이 건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건강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많은 부분의 정보가 학생들 스스로에 의해서 수집되도록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이 흡연에 관한 사실들을 스스로 명백하게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소그룹 토의와 논쟁의 방법을 통해서 학생들이 흡연에 대해서 자신들의 생각하고 있는 것을 검토하여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한국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 FORM OF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 서동수;양석훈;이길홍;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68-177
    • /
    • 2004
  • 연구목적:자살사고에 관한 1차 선별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eynolds의 자가보고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SIQ-JR)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에 적용하여 한국판 SIQ-JR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서울시내 남녀 중고등학생 총 1,160명과, 정신과에 내원한 청소년 임상환자 1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SIQ-JR 이외에, 자살관련 8가지 국내 표준화된 척도(분노, 우울, 불안, 절망감, 공격성, 충동성, 내외통제, 자아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전체 SIQ-JR 총점 평균은 여자가 남자 보다 높았고, 고등학생이 중학생 보다 높았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임상군의 경우 일반 학생군과 높은 변별력(p<0.01)을 보였다. SIQ-JR의 내적일관성을 나타내주는 신뢰도계수는 0.92-0.94, 검사-재검사 상관계수는 0.68-0.78, 항목-전체 상관계수는 0.59-0.82로 모두 높은신뢰도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타인에 대한 고려가 독립된 요인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서구의 개인주의와 다른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을 반영한다고 여겨졌다. 공존 타당도 분석결과 자살사고와 자아평가척도와 분노조절척도 점수와는 역상관관계였으며 나머지 6개 척도와는 정상관관계였다. 전체대상의 자살사고 점수와 가장 연관이 높은 척도는 우울척도(r=0.42), 공격성 척도(r=0.36), 특성불안척도(r=0.35), 분노척도의 하위척도인 내재화된 분노(r=0.31) 순이었다. 남자와 고등학생의 경우 공격성(r=0.37)이 가장 자살사고와 관련이 높은 척도였다. 그러나 절망감척도와 충동성척도는 자살사고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상을 살펴볼 때 한국판 자살사고 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얻었다고 여겨지는바 학교, 지역사회, 임상현장에서 1차적 자살사고 선별검사 도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